$\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위문화 스타일에 나타난 헤어스타일 분석
A Study on Hairstyle in Style of Subculture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18 no.4, 2010년, pp.755 - 773  

손향미 (충남대학교 의류학과) ,  조현주 (경북대학교 가정교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concept of subculture and style of subculture by each age and to analyze internal meaning of hairstyle in subculture. The study carried out literary review on the basis of books related to subculture and hairstyle focused on the cradle of subculture and prece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위문화 스타일은 무엇에 대한 저항이 스타일로 표현된 것인가? 20세기에 들어서면서 패션은 그 어떤 시대보다도 젊은 세대의 영향이 크며, 후반부로 오면서 그 영향력은 더욱 증대되고 있다. 더욱이 기존의 복식 문화와 구별되는 독자적인 젊은이들의 패션인 하위문화 스타일은 기존 지배문화에 대한 저항이 스타일로 표현된 것으로서, 신체와 의복을 통한 금기 화 된 표현을 주된 내용으로 삼으며, 그들의 문화적․저항적 힘은 지배문화의 금기를 극복한다. 이들 하위문화 스타일이 지배적 패션문화에 가하는 문화적 충격과 낯설음은 오늘날 하이 패션디자인의 원천의 하나로서 그 역할이 어느 시대보다도 주목되고 있다1).
히피의 특징은 무엇인가? 하위문화 중 대표적인 집단인 히피는 헤어스타일을 이용하여 자유롭고 개성있는 자신을 표현하고, 외부와 구별하는 기호적 수단으로 사용하였으며, 펑크는 극단적인 헤어스타일인 모히칸족 헤어, 스파이크 헤어, 핑크 그린 염색 등의 헤어스타일로 분노와 허무감을 표현하는 등 그들의 정체성을 표현한다2).
주류문화로부터 주변부화된 것으로 표현되는 하위문화의 주체형태는 어떤 위치 속에서 형성되는가? 하위 문화는 한편으로는 그 내부의 능동적인 요인으로 인해 주류문화를 거부한 것이며, 지배적인 가치와 윤리를 배격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하위문화의 주체형태는 계급론적으로는 노동자와 하층 프롤레타 리아의 위치를, 세대론적으로는 부모들의 기성문화에 반대되는 청년문화의 위치를, 성애론적으로는 이성애에 반대되는 동성애의 위치를, 인종적으로는 백인정체성에 반대되는 유색(혼혈인) 정체성의 위치 속에서 형성된다 9) . 즉, 하위문화를 종속적인 구조적 위치에 있는 집단이 지배적인 의미 체계에 대한 반응으로 발전시킨 의미 체계 표현 양식 및 생활방식으로 규정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공차숙 (2002). "하위문화에 나타난 헤어스타일과 메이크업 분석 연구: 히피와 펑크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권기영 (2004). "현대 패션에서 헤어스타일이 지니는 의미: 젠더와 문화정치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8권 8호. 

  3. 김문섭 (1999). "사회구조와 청소년의 비행적 하위문화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학회지 2권 2호. 

  4. 김민자 (1987). "제2차 세계대전 후 영국 청소년 하위문화 스타일." 한국의류학회지 11권 2호. 

  5. 김정미, 설유진 (2006). "20세기 패션에 나타난 하위문화 스타일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헤어스타일을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8권 2호. 

  6. 김창남 (1994). "하위문화집단의 대중문화 실현에 대한 일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현섭 (2001).서태지 담론:신화의 부활. 서울: 책이 있는 마을. 

  8. 박길순, 손향미, 박수진, 윤소영 (2009). 패션 이미지 스타일링. 대전: 궁미디어. 

  9. 박길순, 이수인 (1999). "히피 헤어스타일과 패션의 의미 및 영향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학회지 7권 4호. 

  10. 손향미 (2005). "현대 펑크 패션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권 11호. 

  11. 손향미 (2007). "현대 뷰티 및 패션에 나타난 혼성 모방 분석: 헤어스타일, 메이크업, 의복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양미경 (2003). "하위문화 복식의 스타일 연구: 193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엄소희 (1988). "Punk Fashion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경수 (1997). "스트리트 패션의 미적 특성에 관한 연구: Young Women's Style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기봉 (2004). Art of Hair Coloring. 대전: 혜성출판사. 

  16. 이동연 (1997). 하위문화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 문화연구의 새로운 토픽들. 서울: 문화과학사. 

  17. 이연희, 김주애 (2005). "펑크 헤어스타일의 근원고찰." 한국의류학회지 29권 2호. 

  18. 이정후, 양숙희 (1999). "포스트모더니즘 패션에 나타난 불확정성." 복식 45권. 

  19. 이청자 (2002). "히피 패션에 나타난 히피 헤어스타일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임은혁 (2002). "1990년대 패션에 나타난 하위문화 스타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임은혁, 김민자 (2003). "1990년대 하위문화 스타일에 관한 연구." 복식 53권 3호. 

  22. Haye, A. and C. Dingwall (1996). Surfers Soulies Skinheades & Skaters: Subcultural Style from the Forties to the Nineties. London: V&M Museun. 

  23. Hebdige, D. (1995). Subculture: The Meaning of Style. London: Routledge. 

  24. Jones, D. (1990). Haircults: Fifty Years of Stlyes and Cuts. London: Thames & Hudson. 

  25. Gelder, K. and S. Thornton (1997). The Subcultures Reader. London.New York: Routledge. 

  26. Costantino, M. (1997). Men's Fashion in the Twentieth Century: From Frock Coats to Intelligent Fibres. New York: Costume & Fashion Press. 

  27. Storm, P. (1987). Functions of Dress: Tool of Culture and the Individual. New Jersey: Prentice-Hall Inc. 

  28. Synnott, A. (1993). The Body Social: Symbolism, Self, and Society. London?New York: Routledge. 

  29. Polhemus, T. (1994). Street Style. London: Thames & Hudson. 

  30. Jefferson, T. (1993). Cultureal Response of the Teds. in S. Hall et al, des, Working Papers in Cultural Studies. London: Routledge. 

  31. Takamura, Z. (1997). Root of Street Style. Tokyo: Gaph Sh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