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가노인의 우울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in Elderly People Living at Home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0 no.4, 2010년, pp.542 - 550  

문명자 (목포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factors which influence depression for elderly people who live at hom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34 elderly people living at home in M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 to 30, 2009 and analyzed using SPSS/WIN 12.0 and AMOS 5.0 program. I assu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그동안의 선행연구에서 노인의 우울 관련 요인으로 확인된 개념들을 통합하여 이들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 어떻게 재가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통합적으로 분석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재가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우울의 영향요인과 매개변수인 생활만족도의 영향 요인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재가노인의 우울을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통합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한편 노인의 자기 표현은 우울이 감소하고 가족 간의 상호작용과 결속력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 노인의 의사소통능력과 가족기능 간의 유의한 상관성을 제시한 연구결과(Cho, Yang, Hong, Lee, & Cheo, 1998)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자기표현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가설경로를 설정하였다.

가설 설정

  • 85로 모두 중간 정도의 점수를 나타내었다(Table 2). 우울과 관련 변인들의 왜도와 첨도는 모두 -0.9에서 0.8 사이로 1보다 작게 나타나 모든 변인들의 단일변량 정규분포 가정이 충족되었다는 가정하에 구조모형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의 우울은 어떤 것과 관련이 있는가? 노인 인구 증가에 따른 노인문제 중 노화로 인한 만성질환에 따른 신체적 문제뿐만 아니라 심리적 적응과 관련하여 노년기에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정신건강문제는 우울이다(Lee, 2008). 노인의 우울은 신체적 건강, 인지기능, 가족 및 사회적 지지 등의 사회 심리적 요인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우울정도에 따라 이들 변인에 영향을 받아 다양한 기능 상태를 저하시킨다.
노인의 우울에 관련 있는 요인으로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것은 무엇이 있는가? 선행연구에서 노인의 우울에 관련 있는 요인으로는 사회적 지지(Tak, Kim, & Lee, 2003), 생활만족도(Hwang, 2007; Moon, 2004), 자아존중감(Hwang, 2007; Moon, 2004), 수면 양상 및 수면의 질(Yao, Yu, Cheng, & Chen, 2008), 신체적 증상(Kaneko, Motohashi, Sasaki, & Yamaji, 2007; Shin, Kang, Jung, & Choi, 2007), 자기표현력(Kim, 1998; Segal, 2005), 건강 및 기능적 상태(만성질환 수, ADL 제한여부, 주관적 건강상태), 종교(An & Tak, 2009) 등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노인우울의 영향요인을 분석한 연구(Kim & Sok, 2009), 만성 관절염 노인을 대상으로 우울과 위험요인을 분석한 연구(An & Tak, 2009)들이 있으며 연구 결과는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복잡하고 다양하게 나타남을 확인하게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lexopoulos, G. S. (2005). Depression in the elderly. The Lancet, 365, 1961-1970. 

  2. An, J. Y., & Tak, Y. R. (2009). Depressive symptoms and related risk factors in old and oldest-old elderly people with arthrit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 72-83. 

  3. Beutel, M. E., Glaesmer, H., Wiltink, J., Marian, H., & Brahler, E. (2010). Title Life satisfaction, anxiety, depression and resilience across the life span of men. Aging Male, 13, 32-39. 

  4. Cho, N. O., Yang, K. R., Hong, Y. S., Lee, E. O., & Cheo, M. A. (1998).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 and depression of elderly according to their assertiveness and pattern of interaction in expanded families. The Seoul Journal of Nursing, 12, 185-201. 

  5. Cho, S. B. (1996). Structural equation model. Seoul: Youngji Publishers. 

  6. Choi, S. J. (198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fe satisfaction scale for elderly. Ewha Womans University Korean Culture Nonchong, 49, 233-258. 

  7. Djernes, J. K. (2006). Prevalence and predictors of depression in populations of elderly.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113, 372-387. 

  8. Hair, J. F. (1979). Multivariate date analysis. Oklahoma: Petroleum Publishing Company. 

  9. Hwang, H. K. (2007). The effect of exercise program on depressi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nam University, Masan. 

  10. Jeon, B. J.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Nonchong, 11, 107-129. 

  11. Jung, I. K., Kwak, D. I., Joe, S. H., & Lee, H. S. (1997). A study of standardization of 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GDS). Journal of Korean Geriatrics Psychiatry, 1, 61-72. 

  12. Kaneko, Y., Motohashi, Y., Sasaki, H., & Yamaji, M. (2007).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and related risk factors for depressive symptoms among elderly persons living in rural japanese community: A cross-sectional study.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43, 583-590. 

  13. Kim, K. B., & Sok, S. H. (2009).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of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0, 197-206. 

  14. Kim, P. K. (1998).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assertiveness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5. Korea National Statical Office. (2005). Cause of death statistics. Seoul: Author. 

  16.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8). Statistics of aged. Seoul: Author. 

  17. Kroenke, K., Spitzer, R. L., & William, J. B. (2002). The PHQ-15: Validity of a new measure for evaluating the severity of somatic symtoms. Psychosomatic Medicine, 64, 258-266. 

  18. Lee, H. S. (2008). Health status and utilization of long-term care facility in the urban and rural age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9, 260-269. 

  19. Moon, M. J. (2004), Analysis on the structural model of life satisfaction for elderly home resident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6, 202-215. 

  20. Oh, J. J., Song, M. S., & Kim, S. M. (199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 sleep scale 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8, 563-572. 

  21. Park, J. W. (1985). A study to develop a scale of social suppor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2. Rakos, R. F., & Schroeder, H. E. (1979). Development and empirical evaluation of a self-administered 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7, 991-993. 

  23.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 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4. Segal, D. L. (2005). Relationships of assertiveness,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among older nursing home residents. Behavior Modification, 29, 689-695. 

  25. Seo, H. S., & Han, Y. H. (2006). Effects of health-related index on life satisfaction for the elderly people.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Gerontology, 15, 159-170. 

  26. Shin, K. R., Kang, Y. H., Jung, D. Y., & Choi, K. A. (2007). A study on the depression, somatic symptom,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the elderly women in an urban a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1131-1138. 

  27. Song, M. S. (1991). Construction of a functional status prediction model for the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8. Taft, L. B. (1985). Self-esteem in later life: A nursing perspective. Advanced Nursing Science, 8, 77-84. 

  29. Tak, Y. R., Kim, S. A., & Lee, B. S. (2003). Perceived social support, instrumental support needs, and depression of elderly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9, 449-456. 

  30. Yao, K. W., Yu, S., Cheng, S. P., & Chen, I. J. (2008).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 depression and social network factors and sleep quality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ournal of Nursing Research, 16, 131-1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