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베이비부머의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삶의 만족도의 관계: 근로여부에 따른 다중집단분석
Self-Rated Health,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Babyboomers in Korea: Multiple Group Analysis according to Their Work Statu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6, 2020년, pp.349 - 357  

송인욱 (대구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원서진 (대구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부머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우울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또한 다중집단분석을 통해 근로여부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 차이가 있는지를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령화연구패널조사의 6차년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2차자료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연구대상은 6차년도 조사대상자 9,913명 중 1955년에서 1963년에 태어난 베이비부머 2,479명이다. 연구방법은 각 변수들간의 경로분석을 통해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였으며, 우울의 매개효과는 효과분해를 통해 직접 효과, 간접효과, 총효과를 분석하였다. 주관적 건강, 우울,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근로여부에 따른 집단간 차이는 자유 모델과 제약모델의 비교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베이비부머가 자각하는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삶의 만족도는 높아지고, 우울감은 낮아졌다. 그리고 우울감이 높은 베이비부머일수록 삶의 만족도가 낮아져, 우울이 주관적 건강상태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근로를 하지 않는 베이비부머의 경우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정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근로를 하는 베이비부머의 경우보다 높았다. 또한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도 근로를 하지 않는 베이비부머 모형에서 더 크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두 집단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이를 통해 베이비부머의 우울 감소를 위한 보호요인으로써 주관적 건강상태의 개선이 필요하며 근로활성화를 통해 노년기에 접어든 베이비붐 세대의 삶의 만족도를 긍정적으로 강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rated health on life satisfaction among Korean babyboomers and to address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on the self-rated health-life satisfaction relationship. Further,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any relationship between self-rated health,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의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근로여부에 따라 이들 요인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우울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 근로여부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여 노년기 경제활동의 중요성을 파악하여 지속적인 경제활동을 위한 여러 제언을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이러한 점에서 근로여부와 건강, 삶의 만족도와의 인과 관계를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한 연구 과제이며, 고령사회를 대비하는데 있어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에 본 연구는 노년기 진입을 시작한 베이비부머의 근로여부에 따라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그리고 삶의 만족도가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이상의 연구결과는 베이비부머의 우울 완화와 예방을 위한 보호요인으로써 근로활동, 주관적 건강상태의 개선, 이를 통한 삶의 만족도를 긍정적으로 강화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서 노년기에 접어든 베이비붐 세대의 근로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특히 본 연구는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삶의 만족도 및 근로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입증하여 노년기 근로의 의미를 보다 분명히 도출하고, 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베이비부머의 삶의 만족도를 강화하기 위한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베이비붐 세대는 언제 태어난 세대를 말하는 것인가? 2018년 말 기준 1955년에서 1963년 사이에 태어난 베이비붐 세대는 727만6천여 명으로, 같은 해 65세 이상 노인인구(765만408명)와 비슷한 규모이다. 이는 약 10년 뒤 지금의 노인인구와 비슷한 규모의 노인 집단이 하나 더 생긴다는 의미이다.
베이비부머의 신체적 건강상태가 좋을 때 얻을 수 있는 결과는 무엇인가? 이러한 결과는 궁극적으로 신체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게 되며[7,12], 신체건강이 정신건강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온다는 선행연구[10]를 지지하는 결과이다.
주관적 건강상태는 무엇인가? 주관적 건강이란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한 스스로의 평가를 말하는데, 이는 개인의 건강상태에 주요한 관심을 가지는 보건 및 건강 불평등 분야의 연구들은 물론, 사회과학분야의 많은 연구들에서 실제 건강상태에 대한 대리변수(Proxy Variable)로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32]. 본 연구의 독립변수인 주관적 건강상태 역시 응답자가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해 평가한 것으로 1(매우 나쁨)에서 5(매우 좋음)까지의 분포를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Korean registered population, 2019. 

  2. J. H. Son, M. J. Le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Status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the Elderly", Ewha Journal of Social Sciences, Vol.34, No.1, pp.43-71, 2018. DOI: https://doi.org/10.16935/ejss.2018.34.1.003 

  3. S. D. Jung, M. J. Ku,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A Comparison among Babyboomers, the Pre-elderly, and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52, pp.305-324, 2011. DOI: https://doi.org/10.21194/kjgsw..52.201106.305 

  4. D. J. Kim, N. H. Kim, K, J. Do, "Activities of Baby Boomers on Quality of Lif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Support",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Vol.11, No.1, pp.1233-1248, 2020. DOI http://dx.doi.org/10.22143/HSS21.11.1.90 

  5. E. K. Jung, J. K. Kim, "A Study on the Effects of Baby Boom Generation' Leisure and Preparation for Old Aged on Life Satisfaction and Moderated Regression for Spouse Suppor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5 No.10, pp.501-512, 2017. DOI: https://doi.org/10.14400/JDC.2017.15.10.501 

  6. H. H. Lee, H. J. Song, H. H. Yoon, K. H. Lee, "The Relationship on Life Satisfaction of Middle-old Aged' Assets: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7, No.11, pp.71-79, 2019. DOI: https://doi.org/10.14400/JDC.2019.17.11.071 

  7. J. N. Yoo, "A Longitudinal Analysis on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Middle-Old Aged",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68, pp.331-356. 2015. DOI: https://doi.org/10.21194/kjgsw..68.201506.331 

  8. Y. H. Oh, H. O. Bae, Y. S. Kim, "A Study on Physical and Mental Function Affecting Self-perceived Health of Older Person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Vol.26, No.3, pp.461-476, 2006. 

  9. OECD, OECD Health Statistics 2019, 2019 

  10. S. L. Kim, K. H. Ju, S. D. Jung, "The Effects of Income on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Vol.65, pp.103-136, 2018. DOI: https://doi.org/10.15300/jcw.2018.65.2.103 

  11. S. Y. Jeong,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Anxiety and Depression of Middle-aged Adults", Association of Life-span Studies, Vol.8, No.3, pp.117-136, 2018. DOI: https://doi.org/10.30528/jolss.2018.8.3.006 

  12. S. L. Kim, J. H. Kim, K. H. Ju, "The Effects of Subjective Health Status on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Age-friendly Public Service Resources and Age",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Vol.49, No.2, pp.65-92, 2018. DOI: https://doi.org/10.16999/kasws.2018.49.2.65 

  13. H. Brockmann, "Why Are Middle-aged People So Depressed? Evidence from West Germany",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97, No.1, pp.23-42, 2010. DOI: https://doi.org/10.1007/s11205-009-9560-4 

  14. H. Tanaka, Y. Sasazawa, S. Suzuki, M. Nakazawa, H. Koyama, "Health Status and Lifestyle Factors as Predictors of Depression in Middle-aged and Elderly Japanese Adults: A Seven-year Follow-up of the Komo-Ise Cohort Study", BMC Psychiatry Research Paper, pp.11-20, 2011. 

  15. B. K, Kim, Y. J. Ha, S. S. Choi, "A Vertical Study on the Factors Which are Influenced on Depression of the Aged: Focusing on Physical.Psychological.Social Factor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34, No.1, pp.115-132, 2014. 

  16. Y. K. Oh,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the Impact of Depression on Life Satisfaction of the Working Elderly",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9, No.6, pp.271-280, 2019. DOI: https://doi.org/10.5392/JKCA.2019.19.06.271 

  17. S. A. Park, H. M. Jung, M. H. Cha,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xclu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Elderly Peopl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8, No.3, pp.530-541, 2018. DOI: https://doi.org/10.5392/JKCA.2018.18.03.530 

  18. I. Song, S. Won, "Effect of Income on Depression of Korean Babyboomers: Testing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according to Gender",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9, No.7, pp.587-597, 2019. DOI: https://doi.org/10.5392/JKCA.2019.19.07.587 

  19. Y. R. Lee, S. J. Lee, "Factors Influencing the Asset and the Income Poverty of the Elderly: Focusing on 'Baby Boomers' and 'Liberation and Korean War Generation'", Journal of Social Sciences, Vol.57, No.2, pp.111-157, 2018. DOI: https://doi.org/10.22418/JSS.2018.12.57.2.111 

  20. J. I. Lee, K. H. Kim, S. H. Oh,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Man",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Vol.15, No.3, pp.422-431, 2003. 

  21. S. S. Jung,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cteric Syndrom, Job, Stress, and Mid-life Crisis in Middle-age Men, Master's thesis, Pusan University, Busan, Korea, 2015. 

  22. S. J. Jung, "The Influence of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on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Income and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74, No.1, pp.115-139, 2019. DOI: https://doi.org/10.21194/kjgsw.74.1.201903.115 

  23. Y. K. So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Health Status, Employment, Subjective Expectation and Quality of Life in the Middle-Old Aged", Conference on Employment Panel, Korea, pp.877-891, 2016. 

  24. S. J. Lee, Y. J. Kim, "A Study on Predictive Factors of Wishing to Work in Old Age of the Middle and Old Aged",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9, No.8, pp.209-218, 2019. DOI: http://dx.doi.org/10.35873/ajmahs.2019.9.8.019 

  25. H. J. Song, R, Im, S. H. Wang, E. Y. Lee, The Realities of Economic Life and Preparation for Old Age Among the Middle-Aged and the Elderly: The 7th (2017) Basic Analysis Report on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National Pension Research, Institute research report, Vol.1, National Pension Research, Institute, Korea, pp.1-222, 2018. 

  26. P. Meadows, "Retirement Age in the UK: A Review of the Literature", Employment Relations Research Series. No.18, 2003. 

  27. W. H. Ng. Thomas, C. F. Daniel, "Age, Work Experience, and the Psychological Contrac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30, No.8, pp.1053-1075, 2009. DOI: https://doi.org/10.1002/job.599 

  28. A. Jos, E. S. Scott, T. M. Stefan, "Tales of the Unexpected: Integrating Career Shocks in the Contemporary Careers Literature", SA Journal of Industrial Psychology, Vol.44, No.1, pp.1-10, 2018. DOI: https://doi.org/10.4102/sajip.v44i0.1503 

  29. J. H. Kim, "The Impact of Multidimensional Social Exclusions on Atypical Worker's Self-rated Health and Depression: Comparative Analysis with Typical Worker",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7, No.3, pp.398-432, 2017. DOI: http://dx.doi.org/10.15709/hswr.2017.37.3.398 

  30. S. H. Seok, "The Effect of Retirement on Health", Quarterly Journal of Labor Policy, Vol.11, No.1, pp.81-102, 2011. 

  31.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2019 User's Guide, Eumseong, Korea: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pp.1-2. 2019. 

  32. Y. H. Choi. "Is Subjective Health Reliable as a Proxy Variable for True Health? A Comparison of Self-rated Health and Self-assessed Change in Health among Middle-aged and Older South Korean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6, No.4, pp.431-459, 2016. DOI: http://dx.doi.org/10.15709/hswr.2016.36.4.431 

  33. L. Hu, P. M. Bentler,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Vol.6, No.1, pp.1-55, 1999. DOI: https://doi.org/10.1080/10705519909540118 

  34. S. H. Park, S. H. Kang, "The Effect of Combination Relationship of Factors for Old-age Preparation on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fsQCA)", GRI review, Vol.20, No.4, pp.1173-196, 2018. 

  35. A. Gigantesco1, C. Fagnani1, V. Toccaceli1, M. A. Stazi1, F. Lucidi, C. Violani, A. Picardi1,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Life and Depression Symptoms by Gender", Front Psychiatry, 2019. DOI: https://doi.org/10.3389/fpsyt.2019.00419 

  36. Y. J. Son,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Depression between Urban and Rural Older Adults: Focusing on Adult Children Network and Social Network", GRI REVIEW, Vol.12, No.3, pp.311-339, 2010. 

  37. S. Y. Kim, K. J. Moon, S. J. Chang, "Exploring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among Baby Boomers by Using Multi-Level Analysis",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71, No.4, pp.391-421, 2016. DOI: https://doi.org/10.21194/kjgsw.71.4.201612.391 

  38. M. A. Kobau, M. A. Safran, M. M. Zack, D. G. Moriarty, D. Chapman, "Sad Blue, or Depressed Days, Health Behavior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ehavioral Risk Factor Surveillance System",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 Vol.2, No.40, pp.1995-2000, 2004. DOI: https://doi.org/10.1186/1477-7525-2-40 

  39. S. L. Kim, C. H. Lee, G. S. Byun, S. H. Lee, H. K. Shin, H. J. Kim, J. H. Min, "A Study on Labor Market Forecast of New Older Generation and Estimation of Job Need", Korea Labor Force Development Institute for the Aged Research Report, Korea Labor Force Development Institute for the Aged, Korea, Vol.19, No.3, pp.1-218, 20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