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방차전용출동경로의 계획기법 및 적합성 검토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 북구를 대상으로 -
Consideration about the Fire Lane Plan and the Conformability - A Case Study on Daegu Metropolitan City Buk-gu - 원문보기

한국방재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10 no.5, 2010년, pp.83 - 90  

정군식 (부산대학교 건축공학과 BK21연수연구) ,  김한수 (계명대학교 도시계획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역의 방재성능향상을 위해 소방차 출동경로의 계획기법 및 기준마련을 위한 기초연구이다. 지역의 방재적 특성파악을 통하여 발생예상재난을 규정지었으며, 현행 소방차의 출동경로선택모델의 작성 및 네트워크해석을 통하여, 도시규모 대형재난의 발생 시에 다양한 출동경로계획의 유효성을 입증하였다. 그리고 실재(實在) 도로망을 바탕으로 네트워크모델을 작성하고 해석을 통하여, 출동경로상의 장해의 위험성에 대하여 정량적인 검토를 행하였으며, 소방차출동전용도로계획에 대한 형태학적 분석을 행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는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소방차출동전용도로(Fire Lane)의 형태학적 계획과 정량적인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써의 활용이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standard of fire lane design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disaster prevention in local area. To accomplish it, we have focused on three research methods as below: first, we have expected disaster occurrence based on emergency tendency in local area; s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구/경북지역에서 발생된 재난의 종류와 발생 빈도 및 피해규모 등을 소방방재청 2007 재난연감과 2009 재난연감에 기록된 자료를 바탕으로 검토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신뢰도개념을 근간으로 119소방안전센터에서 재난발생지역까지의 공간적 연결성을 고려한 도달 및 구난(救難)가능성을 신뢰도로 정의하고, 두 공간간의 연결성을 모델화하여 정량적인 공간해석을 행한다. 선행연구의 피난경로에서의 도달확률과 본 연구에서의 재난발생지역까지의 도달 및 구난 확률은 이론적으로 동등한 메커니즘이므로 평가수법에의 적용에 이론적 모순은 없다고 판단된다.
  • 본 논문에서는 대구광역시의 권역 내에 가장 주요화재 발생건수가 많은 북구를 대상으로 모델화작업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대구/경북지역을 대상으로, 소방차출동경로의 형태 및 운용시스템이 지역의 방재성능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법의 제안과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소방차출동전용도로의 계획법에 관한 것으로, 지역의 방재적 특성파악을 통하여 실재 방재인프라의 현황을 파악하고 예상되는 재난의 발생상황을 가정하여, 지역의 실정에 합당한 방재인프라의 구축 및 운용시스템의 구축을 위해, 공간의 정량적인 해석이 가능한 네트워크해석법에 적용하여 결과에 대한 분석과 고찰을 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대구/경북지역을 대상으로 지역별 방재인프라의 현황파악을 통하여, 합리적인 소방차출동전용도로의 계획을 위한 형태학적 기준의 제시를 위해 재난발생예상지역과 방재인프라간의 물리적인 위치관계를 네트워크해석법에 적용하여 정량적 고찰을 행한다. 단, 본 논문에서는 연구의 범위를 대구광역시권역으로 제한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차후 대구/경북지역 전역을 대상으로 연구의 범위를 확대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지역의 방재성능 향상을 위해, 방재인프라의 구축과 효율적인 운용 시스템의 구축에 대한 기준 마련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신속하고 안전한 소방차의 출동환경 조성으로 더욱 효과적이고 신속한 구난(救難)활동이 가능하도록, 소방차출동경로상의 장해요소(도로폭, 교통정체, 불법주정차, 불법점거물 등)와 도로망의 연결 형태를 고려한 적확한 소방차출동전용도로의 계획을 위한 형태학적 검토 및 정량적 평가를 통한 근거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가설 설정

  • 계산2에서는 장해의 정도에 따른 네트워크신뢰도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E1, E2, E5, E10, E14, E15, E17을 제외한 모든 변에서 장해가 발생한다고 가정하고, 네트워크 변의 신뢰도를 0.1~0.9까지 0.1씩 변화시켜 계산에 적용하고, 경로는 계산1과 같은 조건으로 계산을 행한다.
  • 그러나 이 모델의 경우는 실재도로교통상황의 적용이 배제되어 있으며 재난발생지점까지의 최단경로를 차량용 내비게이션(GPS) 및 운전요원의 감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선택된 출동경로의 이용이 불가능 하거나 예상된 소요시간 보다 지연될 경우, 도중에 다른 출동경로를 검색 및 선택하여 진행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행 출동경로의 선택방법에 사전조사 및 검토를 통한 대체 출동경로를 확보하였을 경우를 가정하여 그림 2의 Model 2를 제시하였다.
  • 평상시 출동경로는 출동정점S에서 재난발생정점G까지의 최단경로를 이용하며, 그림 5(가)의 경로A, 경로B, 경로C중 하나를 택하여 출동을 한다고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규모의 대형재난에 가장 우선시되는 현실적 방재 행위는? 현대의 도시가 겪는 재난은 예측이 곤란한 기상이변에 의한 자연재해를 비롯하여 반사회집단에 의한 테러의 위협 까지 다양하며, 그 피해는 가히 치명적으로 까지 전개될 수 있어, 작게는 도시민 개개인의 안위를 위협하고 크게는 도시전체의 존폐까지 위협할 수 있는 실정이다. 도시규모의 대형재난자체에 대한 완벽한 예방이 불가능 하다면, 효과적인 방재대책의 확립으로 피해의 최소화를 위한 지역의 방재성능 향상이 가장 우선시되는 방재행위라고 할 수 있다.
소방차출동경로상의 장해요소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지역의 방재성능 향상을 위해, 방재인프라의 구축과 효율적인 운용 시스템의 구축에 대한 기준 마련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신속하고 안전한 소방차의 출동환경 조성으로 더욱 효과적이고 신속한 구난(救難)활동이 가능하도록, 소방차출동경로상의 장해요소(도로폭, 교통정체, 불법주정차, 불법점거물 등)와 도로망의 연결 형태를 고려한 적확한 소방차출동전용도로의 계획을 위한 형태학적 검토 및 정량적 평가를 통한 근거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김영, 류태창 (2006) 방재시설의 지역적 불균형 해소를 위한 유비쿼터스 시스템개발에 관한 연구/경상남도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Vol.41, No.2, pp. 211-225. 

  2. 김경석 (2008) 재난 재해 대응형 도로 네트워크 및 도시시설 배치 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논문집, 제8권 3호, pp. 59-65 

  3. 久貝 壽之, 加藤 孝明, 小出 治(2001) パ一コレ一ション理論に基 づいた地?レベル道路網の防災性能評價に關する基礎硏究, 日本建築學會計畵系論文集, Vol. 549, pp. 231-237. 

  4. 久貝 壽之, 加藤 孝明 (2005) 通行可能確率分布を考慮した道路網 の防災性能評?手法の構築, 日本建築學會計畵系論文集, Vol. 593, pp. 139-144. 

  5. 鄭軍植, 吉村英祐 (2007) 避難經路の信賴度の距離減衰を考慮した避難安全性の定量的評價について. 日本建築學會計畵系論文集, 第616號, pp. 71-76. 

  6. 鄭軍植, 吉村英祐 (2008) 避難障害による避難經路の信賴度の低下を考慮した避難安全性の定量的評價について. 日本建築學會計畵系論文集, 第625號, pp. 551-557. 

  7. 정군식 (2009) 피난거리와 장해에 의한 피난시간 연장의 정량화를 통한 피난안전성의 정량적인 평가수법개발. 한국방재학회논문집, 제9권 5호, pp. 1-7. 

  8. 高木幹朗,谷口汎邦,金鍾石 (1991) グラフ.ネットワ一ク指數の檢討とその適用による地下街街路構成の分析. 日本建築學會計畵系論文報告集, 日本建築學會, 第422號, pp. 37-44. 

  9. 靑木義次,藤井晴行,木下芳郞 (2001) 防災計畵についてのエキスパ一トジャッジのモデル化. 日本建築學會計畵系論文報告集, 日本建築學會, 第546號, pp. 149-154. 

  10. 2007 재난연감 (2008) 소방방재청. 

  11. 2008 재난연감 (2009) 소방방재청. 

  12. 鄭軍植,吉村英祐 (2008) 避難障害による避難經路の信賴度の低下を考慮した避難安全性の定量的評價について. 日本建築學會計畵系論文集, 日本建築學會, 第625號, pp. 551-55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