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출동현황자료 분석을 통한 재난대비 긴급차량 우선신호제어 시스템 도입지역 선정방안 연구
A Selection Method of Implementation Area for Emergency Vehicle Preemption System Using Dispatch Data Analysis 원문보기

韓國ITS學會 論文誌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15 no.2, 2016년, pp.24 - 35  

성중기 (서울특별시의회) ,  하동익 (서울대학교 건설환경종합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긴급차량 우선신호제어 시스템은 긴급차량의 출동여건을 개선할 수 있는 운영방안으로 아직까지 도입 기초단계이다. 따라서 국내 도입을 위해서는 단계적 계획과 이를 시행하기 위한 우선 도입지역 선정이 필요하다. 특히, 서울을 비롯한 광역지자체 단위의 사업 시행 시 모든 지역을 분석하기에는 시간과 비용 제약이 존재하며, 정량적이고 효율적인 도입지역 선정방안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긴급차량 출동현황자료 분석을 통한 긴급차량 우선신호제어 시스템 도입지역 선정절차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긴급차량 출동현황자료를 분석하여 우선 도입지역을 도출하였으며,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해 도입에 따른 효과분석을 수행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mergency Vehicle Preemption(EVP) is an operation method which helps to improve response condition of Emergency Vehicle(EV) and it has not yet been introduced in Korea. In order to implement the system, it requires step-by-step plan and selecting a priority area for trial operation. Since a municip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안의 우선순위를 도출하는 방법론은 계층분석법 등 다양한 통계적 기법이 존재한다. 그러나 본 분류에서는 모든 대안 전체의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하는 것이 아니라 우선 도입을 위한 지역군을 분류하는 것이 목적이며, 분류 기준이 되는 평균 출동소요시간과 골든타임 달성률 간의 가중치나 점수를 부여하기에도 어려움이 있다. 군집분석은 이러한 어려움 없이 다수의 분류 기준에 따라 우선도입 지역과 향후 도입지역을 도출할 수 있는 방법론이다.
  • 그러나 서울을 비롯한 광역지자체 단위의 사업 시행 시 많은 후보지역을 모두 상세분석하기에는 비용과 시간적 제약이 존재하며, 정량적인 분석과정이 없는 도입지역 선정은 비효율적 예산 사용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긴급차량 우선신호제어 시스템 도입방안 중 도입지역 선정 연구를 수행하였다.
  • 또한 소화수로 인해 하중이 무거운 펌프차, 물탱크차 등은 출동 중 정지 또는 감속 후 다시 가속하는데 지체시간이 길어진다. 따라서 우선신호제어의 도입이 가장 필요한 화재 발생 시 출동하는 소방차량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소방차량이외의 긴급차량에 대한 내용은 향후 연구에서 다룰 수 있을 것이다.
  • 긴급차량 우선신호제어 적용대상은 우선적으로 경찰의 출동차량과 응급차량으로 한정되었으며, 상황발생 시 발생지점까지의 도착시간을 감소하기 위해 본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또한 긴급차량의 출동 중 발생하는 사고를 줄이고자 하는 목적도 있었다. 본 시스템은 초기에 동경 내 137개의 교차로만을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며 NPD(Metropolitan Police Department)는 이를 확대 실시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4].
  • 긴급차량 우선신호제어 도입 효과분석은 미시적 교통류 시뮬레이션인 PARAMICS를 활용하여 수행하였다. 본 분석의 목적은 긴급차량 우선신호제어 도입을 위한 사전 효과분석이므로 가장 기본적인 시스템 유형과 알고리즘을 선정하였다. 시스템 유형은 현장제어식으로 긴급차량이 교차로 주변 일정 구간으로 진입할 경우, 그 유무를 검지하여 우선신호를 제공해주는 방식이다.
  • 본 연구에서는 긴급차량 우선신호제어 시스템 도입을 위한 지역 선정 절차를 제시하고, 서울시를 대상으로 실질적인 분석결과를 도출했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진다.
  • 본 연구에서는 출동현황자료를 활용한 긴급차량 우선신호제어 시스템 도입지역 선정절차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였다. 먼저 소방서별 긴급차량 출동현황 분석을 통해 긴급차량 출동지연 지역 분류 기준을 선정하였으며, 이러한 기준을 바탕으로 계층적 군집분석을 수행하고 긴급차량 출동지연이 심각한 지역을 분류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출동현황자료를 활용한 긴급차량 우선신호제어 시스템 도입지역 선정절차를 제시하는 것이다. 또한 우선도입 지역에 긴급차량 우선 신호제어 시스템을 구축할 경우 얻게 되는 효과를 교통류 시뮬레이션 도구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 이 외에도 관련 지자체와 상황에 따라 다양한 기술적 및 정책적 여건을 고려할 수 있다. 본 절차는 우선순위 없이 모든 지역을 검토하는 비효율성을 개선하여, 긴급차량 우선신호제어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지역을 선정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예산 및 도입여건에 따라 여러 개의 대안 지역을 선정할 수도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에 의한 재난의 정의는? 일반적으로 재난은 위험의 의미를 내포하고, 위험의 개념은 손실을 입을 가능성을 의미한다.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1) 제3조(정의)에 의하면 “재난” 이라 함은 국민의 생명, 신체 및 재산과 국가에 피해를 주거나 줄 수 있는 것으로 정의한다. 모든 재난은 대한민국 국민의 생명·신체 및 재산에 피해를 주거나 줄 수 있는 재난으로 정부차원에서 대처할 필요가 있는 재난을 말한다.
소방분야에서의 골든타임이란? 일반적으로 골든타임은 재난대응 목표시간 관리를 위한 개념으로 의료 및 소방에서 응급조치를 하기 위한 초기 집중대응시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소방분야에서는 소방차량의 차고지 출동부터 현장 도착까지의 시간을 의미하며, 심정지 환자 및 화재 등 응급상황에서 피해를 최소화하고 생존율을 높일 수있는 초기 재난대응 목표시간은 통상적으로 5분으로 설정된다.
긴급차량 우선신호제어 시스템 구축은 어떤 한계 개선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가? 또한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재난상황 발생 시 구조인력의 발 빠른 대응은 재난에 따른 인명과 재산 보호에 직결되는 사안이다.그러나 기존의 교통신호체계에서는 효율적인 골든타임 확보가 어려운 상황이며, 긴급차량 길 터주기 캠페인, 긴급차량 진로를 방해하는 차량에 과태로 부과 등의 도로교통법 개정안 등을 추진 중이지만 이러한 제도적 방안으로 한계가 있다[1].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전략으로 긴급차량 우선신호제어 시스템 구축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e(2014),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Traffic Signal System for Emergency Vehicle Dispatch Support, p.3. 

  2.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http://www.itsdeployment.its.dot.gov, 2015.11.16. 

  3. Collura J., Rakha H. and Gifford J.(2004), "Guidelines for the Planning and Deployment of Emergency Vehicle Preemption and Transit Priority Strategies," TRB January 2004 Workshop on Transit Control Priority for Transit and Adaptive Signal Control. 

  4. Kotani J. and Yamazaki K.(2011), "Expanding Fast Emergency Vehicle Preemption System in Tokyo," 18th ITS World Congress. 

  5. Choi K., Kim D., Yoon D. and Park S. K.(2006), "The Traffic Management System for Emergency Vehicles Based on DSRC System,"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vol. 43-TC, no. 9, pp.40-48. 

  6. Yang R., Lee S. and Oh Y.(2008), "Assessment of Preemption Signal Control Strategy for Emergency Vehicles in Korea," Journal of Koer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26, no. 5, pp.63-72. 

  7. Hong K., Jung J. and Ahn G.(2012), "Development of the Emergency Vehicle Preemption Control System Based on UTI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vol. 11, no. 2, pp.39-47. 

  8. Park S., Kim D., Kim M. and Lee J.(2012), "Applicability of Emergency Preemption Signal Control under UTI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vol. 11, no. 5, pp.27-37. 

  9. Lee J. and Seok J.(2013), "A Study on Construction of an Emergency Vehicle Dispatch Support System," Journal of the Korea Safety and Management Science, vol. 15, no. 2, pp.95-101. 

  10. Park Y.(2010), "Study of Standard Setting Method Using the Cluster Analysis," Yonsei University Master's Thesis. 

  11. Ward Jr. J. H.(1968), "Hierarchical Grouping to Optimize an Objective Function,"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vol. 58, no. 301, pp.236-2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