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 예방에 대한 교육 요구
Educational Needs for Prevention of Cell Phone Addiction in Korean Adolescents 원문보기

아동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v.16 no.4, 2010년, pp.304 - 313  

구현영 (대구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박현숙 (대구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n educational needs scale for the prevention of cell phone addiction and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needs for prevention of cell phone addiction in Korean adolesc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609 adolescents in one middle school and two high scho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 예방에 대한 교육 요구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휴대전화 중독이 무엇인지에 관한 정의, 휴대전화 중독을 일으키는 원인, 휴대전화 중독의 발생 실태, 휴대전화 중독의 진행 과정, 휴대전화 중독으로 인한 장 ∙ 단기 결과를 나타내는 영향, 휴대전화 중독을 나타내는 특징을 확인하는 진단, 휴대전화 중독의 치료와 예방에 관한 관리를 휴대전화 중독에 대한 교육 요구의 개념적 기틀로 구성하였다. 예비문항은 청소년의 이해 수준을 고려하여, 모호하거나 전문적인 용어 사용을 피하고, 명확하고 간결한 문항으로 작성하였고, 정의에 관한 2문항, 원인에 관한 2문항, 실태에 관한 3문항, 과정에 관한 2문항, 영향에 관한 7문항, 진단에 관한 6문항, 관리에 관한 5문항의 총 27문항이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휴대전화 중독 예방에 대한 교육 요구 도구를 개발하여 휴대전화 중독 예방에 대한 교육 요구를 파악하고, 휴대전화 중독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 기초 자료로 제공하기 위함이었다. 중, 고등학생 609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 중독에 대한 교육 요구, 휴대전화 중독, 인구학적 특성 및 휴대전화 사용 특성에 관한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고, 요인분석, Cronbach’s a, 기술 통계, t test, 일원 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 예방에 대한 교육 요구를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청소년을 위한 휴대전화 중독 예방 교육이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먼저 대상자인 청소년의 교육 요구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 예방에 대한 교육 요구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여, 청소년을 대상으로 휴대전화 중독 예방에 대한 교육 요구를 파악하고, 나아가서 휴대전화 중독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휴대전화 중독을 일으키는 단일 원인을 제시할 수는 없으나, 휴대전화 중독은 청소년의 새로운 제품에 대한 호기심과 또래 집단에 소속되고자 하는 욕구 등 발달 특성(Wong, 1999)과 높은 충동성과 우울 및 낮은 자기 통제력 등 심리적요인(Jang & Chae, 2006; Lee, 2006; Song, 2006)이 관련된다. 최근 청소년의 휴대전화 사용 및 중독이 증가하는 추세이고, 남성보다 여성에게 중독 위험이 높은데(Choi, 2006; Jang, 2002), 이러한 휴대전화 중독의 실태를 알고자 하는지 청소년의 교육 요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 예방을 위해서 두통, 수면 방해, 집중력 감소를 비롯한 신체적, 정신적 증상 등 휴대전화 중독의 장 ∙ 단기 결과(Salama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휴대전화 중독은 무엇인가? 청소년의 휴대전화 사용이 지나쳐서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몰입하여, 일상생활에서 문제 행동이나 병적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휴대전화 중독이라고 한다(Jang, 2002).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은 휴대전화를 사용할 수 없을 때 불안하고 초조한 금단, 이전과 같은 만족을 느끼기 위해 더 많이 사용하는 내성, 일상생활에서 휴대전화 사용과 관련된 문제가 발생하는 생활 장애, 휴대전화를 강박적으로 사용하고 집착하는 강박/집착의 특성을 지닌다(Koo, 2009).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는? 청소년은 휴대전화를 과다하게 사용하면서 두통, 수면 장애, 피로감, 집중력 감소 등을 경험할 수 있고(Salama, Abou, & Naga, 2004), 문자메시지를 지나치게 주고받느라 손과 손목의 통증 등 신체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Kim, 2006). 또한 수업시간에도 휴대전화를 사용하느라 학업에 전념하지 못하여, 성적이 저하되고 학업 수행 능력이 감소한다(Ko, 2006; Lee, 2009). 청소년은 휴대전화를 과도하게 사용하여 많은 요금이 부과되면 통화료를 마련하지 못하여 어려움을 겪게 되고, 이는 부모와의 갈등으로까지 이어진다(Jang, 2002; Ko, 2006).
청소년에게 휴대전화의 의미는? 청소년은 새로운 제품에 대한 관심과 자신을 과시하고자 하는 욕구가 크기 때문에, 즐거움과 재미를 주고, 친구 관계를 유지하는 데에 도움이 되며, 여러 가지 도구로 활용될 뿐 아니라 친구들에게 자랑할 수 있는 휴대전화를 자주 사용한다(Koo & Park, 2010). 청소년에게 언제 어디서나 즉시 연락이 가능한 휴대전화는 통신 수단뿐 아니라 사회적 관계와 문화적 상징 및 자기표현의 의미를 갖는다. 우리나라 청소년은 입시 위주의 경쟁적인 교육 환경에서 높은 학업 스트레스를 경험하면서, 건전하고 다양한 놀이문화가 부족하여 휴대전화에 몰입하며 과다하게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Lee,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hoi, E. S. (2006). A study on teenagers' addictiveness on cellular phone living in local area-specialized in students in Poch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2. Dimonte, M., & Ricchiuto, G. (2006). Mobile phone and young people: A survey pilot study to explore the controversial aspects of a new social phenomenon. Minerva Pediatrica, 58, 357-363. 

  3. Jang, H. J. (2002).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addictive using cellular phon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4. Jang, H. J., & Chae, K. M. (2006).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with technological addiction: Cellular phone addic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1, 839-852. 

  5. Jung, H. M., Lee, H. Z., & Kim, Y. H. (2003). The needs on the drug free education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9, 57-65. 

  6. Kamibeppu, K., & Sugiura, H. (2005). Impact of the mobile phone o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friendships in the Tokyo metropolitan area. Cyberpsychology & Behavior, 8, 121-130. 

  7. Kang, Y. M., Kim, D. H., Kim, B. Y., Kim, S. S., Kim, I. S., Kim, J. S., et al. (1999). Health education. Seoul: Soomoonsa. 

  8. Kim, B. K., Yun, S. O., & Lee, H. G. (2006). The analysis for the causes of mobile phone addiction. Seoul: Korea Agency for Digital Opportunity & Promotion. 

  9. Kim, E. M. (2006). Maintaining a close circle through "texting": The use of SMS (short messaging service) among Korean adolescents.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50(2), 90-116. 

  10. Kim, H. S., Bae, S. M., & Hyun, M. H. (2007). Predicting mobile phone addiction in adolesc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2, 383-393. 

  11. Ko, J. H. (2006). Saving my child who addicted cellular phone. Seoul: Yedam. 

  12. Koo, H. Y. (2002). The educational needs of families with respiratory infected children and the degree of nurses' educational performances perceived by famil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8, 281-290. 

  13. Koo, H. Y. (2009). Development of a cell phone addiction scale for Korea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 818-828. 

  14. Koo, H. Y., & Park, H. S. (2010). Factors influencing cell phone addiction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6, 56-65. 

  15.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9). 2008 Social indicators in Korea. Daejeon: Kangmoonsa. 

  16. Lee, E. O., Im, N. Y., & Park, H. A. (1998). Nursing/medical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Seoul: Soomoonsa. 

  17. Lee, H. G. (2009). Exploration the predicting variables of the addictive mobile phone use of teenage: Comparison 20 and 30 age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6, 117-153. 

  18. Lee, J. S., & Myung, S. Y. (2007). A study of adolescents' peer relation and school life mal adjustment according to their mobile phone use and addiction. The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5(4), 67-86. 

  19. Lee, J. Y. (2006). An exploration of socio-environmental and individual- psychological variables affecting the adolescent's cellular phone addi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won. 

  20. Lee, S. M., & Lee, E. O. (2005). Nursing research. Seoul: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Press. 

  21. Moon, J. S. (1997). Nursing research. Seoul: Shinkwang. 

  22. Na, E. Y. (2005). Teens' usage of mobile phone, perception of the effects of mobile phone, and efficacy for communication: Survey o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2002 and 2004.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49(6), 198-233. 

  23. Oh, W. O. (2004). Educational needs for internet addic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of Korea. The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10, 48-58. 

  24. Park, Y. J., Ryu, H. S., Han, K. S., Kwon, J. H., Kim, H. K., Cho, Y. J., et al. (2009).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chool-based anger management program (SAMP) for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 145-156. 

  25. Salama, O. E., Abou, E. I., & Naga, R. M. (2004). Cellular phones: Are they detrimental? The Journal of the Egyptian Public Health Association, 79, 197-223. 

  26. Song, E. J.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ing mobile phone and mental health state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5, 325-333. 

  27. Sung, M. H., & Paik, S. N. (1997). The educational needs of mothers of nephrotic syndrome patients and the degree of nurse's educational performances perceived by moth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7, 303-314. 

  28. Wong, D. L. (1999). Whaley & Wong's nursing care of infants and children (6th ed.). St.Louis, MO: Mosby. 

  29. Yun, S. M. (2007, August 22). Cellular phone phantom vibration syndrome. The Munwha Ilbo, p. 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