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생을 위한 휴대전화 중독 예방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Prevention Program for Cell Phone Addic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v.17 no.2, 2011년, pp.91 - 99  

구현영 (대구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 cell phone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self-esteem, self-efficacy, impulsiveness, and cell phone use. Methods: The study was designed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학생을 위한 휴대전화 중독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중학생의 자존감 자기 효능감 충동성 및 휴대전화 사용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을 위한 휴대전화 중독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휴대전화 중독의 위험을 낮추는 보호 요인인 자존감과 자기 효능감을 향상시키고, 위험 요인인 충동성을 감소시키는 데에 초점을 둔 휴대전화 중독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기간이 길어질수록 중독의 위험이 증가하므로(Ko, 2006; Song, 2006), 중학생을 위한 효과적인 예방 프로그램은 바람직한 휴대전화 사용 방법과 규칙을 익히고 올바른 습관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고등학생 시기와 성인기의 심각한 중독 문제를 예방할 것이다

가설 설정

  • 부가설 4-2.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문자메시지 발신 횟수가 더 감소할 것이다.
  • 부가설 4-3.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문자메시지 수신 횟수가 더 감소할 것이다.
  • 가설 2.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자기 효능감이 더 증가할 것이 다
  • 3.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충동성이 더 감소할 것이다
  • 부가설 4-4.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통화 횟수가 더 감소할 것이다
  • 가설 4.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휴대전화 사용이 더 감소할 것이다.
  • 4-1.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휴대전화 중독 점수가 더 감소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s.). Hillsdale, NJ: Laurence Erlbaum Associate Inc. 

  2. Han, J. L., & Hur, G. H. (2004).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mobile phone addiction scal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48(6), 138-165. 

  3. Jang, H. J., & Chae, K. M. (2006).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with technological addiction: Cellular phone addiction.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1, 839-852. 

  4. Jang, H. J., & Shin, H. J. (2003). The effect of a protection program for adolescent excessive use of internet.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 Psychotherapy, 15, 651-672. 

  5. Kamibeppu, K., & Sugiura, H. (2005). Impact of the mobile phone on junior high-school students' friendships in the Tokyo metropolitan area. Cyberpsychology & Behavior, 8, 121-130. 

  6. Kim, E. M. (2006). Maintaining a close circle through "texting": The use of SMS (short messaging service) among Korean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0, 90-116. 

  7. Kim, H. S., Bae, S. M., & Hyun, M. H. (2007). Predicting mobile phone addiction in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2, 383-393. 

  8. Ko, J. H. (2006). Saving my child who addicted cellular phone. Seoul: Yedam. 

  9. Koo, H. Y. (2009). Development of a cell phone addiction scale for Korea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 818-828. 

  10. Koo, H. Y. (2010). Cell phone addiction in highschool students and its predicto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6, 203-210. 

  11. Koo, H. Y., & Park, H. S. (2010a). Educational needs for prevention of cell phone addiction in Korea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6, 304-313. 

  12. Koo, H. Y., & Park, H. S. (2010b). Factors influencing cell phone addiction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6, 56-65. 

  13. Lee, H. C., & Ahn, C. Y. (2002).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r internet game addiction.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7, 463-486. 

  14. Lee, H. G. (2008). Exploration the predicting variables affecting the addictive mobile phone use. Korean Journal of Social & Personality Psychology, 22, 133-157. 

  15. Lee, H. G. (2009). Exploration the predicting variables of the addictive mobile phone use of teenage: Comparison 20 and 30 age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6, 117-153. 

  16. Lee, H. J., Kim, M. S., Son, H. K., Ahn, S. H., Kim, J. S., & Kim, Y. H. (2007). Discriminating power of socio-demographic and psychological variables on addictive use of cellular phone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957-965. 

  17. Lee, K. A., & Chung, H. H. (1999). Effects of stress, self-esteem and students-teacher relationship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 Psychotherapy, 11, 213-226. 

  18. Na, E. Y. (2005). Teens' usage of mobile phone, perception of the effects of mobile phone, and efficacy for communication: Survey o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2002 and 2004.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49(6), 198-233. 

  19. Park, H. S. (2008). The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suicide.violence prevention program for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 513-521. 

  20. Pender, N. J. (1996).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3rd Eds.). East Norwalk, CT: Appleton & Lange. 

  21. Pott, N. L., & Mandleco, B. L. (2002). Pediatric nursing: Caring for children and their families. New York, NY: Delmar. 

  22. Pyon, B. K., & Kang, S. K. (2002). A study of adolescents' self-esteem and hostility.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9, 269-291. 

  23. Rosenberg, M. (1973). Which significant others? The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16, 829-860. 

  24. Sherer, M., Maddux, J. E.,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 Rogers, R. W.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663-671. 

  25. Song, E. J.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ing mobile phone and mental health state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5, 325-333. 

  26. Woo, H. J. (2007). A study on the influence of mobile phone users' self-traits on mobile phone addiction.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 Telecommunication Studies, 21, 391-427. 

  27. Yang, S. Y., & Park, Y. S. (2005). A prediction model of cellular phone addiction tendency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3(4), 1-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