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물체의 부위별 및 추출용매에 따른 생리활성을 비교하고자 하고초를 뿌리, 줄기 및 꽃대로 구분하고 에탄올, 메탄올 및 물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항균 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추출 수율은 뿌리 추출물이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물 추출물은 에탄올 및 메탄올 추출물에 비해 6~11배의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줄기에서, 메탄올과 물 추출물에서는 꽃대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뿌리에 비해 줄기와 꽃대에서 전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각 추출물의 전자공여능환원력은 모든 실험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용매별 추출물에서는 메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부위별 추출물에서는 꽃대> 줄기> 뿌리의 순으로 높은 전자공여능 및 환원력을 보였다. 또한 메탄올 추출물과 물 추출물의 ABTS 라디칼 소거능$100\;{\mu}g/mL$의 저농도에서도 꽃대, 줄기 및 뿌리에서 모두 50% 이상의 소거능을 보였다. 하고초 각 부위별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꽃대, 줄기 및 뿌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열수 추출물에 비해 에탄올 및 메탄올 추출물에서 다소 높은 항균활성이 관찰되었는데, 특히 뿌리와 줄기의 $1,000\;{\mu}g/mL$ 농도에서는 유의적으로 높은 항균활성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하고초의 꽃대를 이용한 에탄올 및 메탄올 추출물은 식품의 저장성 향상에 이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water, ethanol and methanol extracts from root, stem and flower stalk of Hagocho (Prunella vulgaris). The solvent extract yields from root were higher than those from stem and flower stalk, and water ex...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0pt">.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추출용매를 각각 달리하여 하고초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균활성을 비교함으로써 식물체의 사용부위에 따른 효율적인 상품화가 가능하도록 기초 연구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ND: not detect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고초의 약리작용에 대한 연구로는 어떤 것들에 대한 보고가 있는가? 또한 하고초로부터 saponin계인 vulgarsaponin A와 vulgarsaponin B, triterpene계인 ursolic acid와flavonoid계인 quercetin, hyperoside, ethyl caffeic acid 및sterol, fatty acids 등을 분리 보고된 바 있다(10). 약리작용에 대한 연구로는 급성독성 및 이뇨작용, 중추신경에 대한작용(11)과 소염작용(12), 항알레르기 활성(13), 항염증활성(14), 항산화활성(15,16), 항돌연변이 활성(17)에 대한 보고가 있으며, 또한 하고초의 종류에 따른 지표물질(ursolicacid)의 함량 연구(18)와 하고초 꽃으로부터 ursolic acid 분석에 대한 연구(19)가 보고되고 있으나, 하고초 꽃대, 전초,뿌리를 구분하여 부위별 생물활성에 대한 연구는 본 연구팀에서 앞서 발표한 연구결과(20)를 제외하고는 매우 미흡한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추출용매를 각각 달리하여하고초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균활성을 비교함으로써 식물체의 사용부위에 따른 효율적인 상품화가 가능하도록 기초 연구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식품 중에 존재하는 대표적인 천연 항산화제로는 무엇이 밝혀져 있는가? 식물체도 자외선에 의한 산화나 자동산화로부터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polyphenol류의 항산화 물질을 세포내에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각종 과채류에 다량으로 존재하는 flavonoid류와 산성 페놀화합물들은 대표적인 항산화성 물질로 항알레르기성 및 항암 활성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2). 이외에도 식품 중에 존재하는 대표적인 천연 항산화제로는 ascorbic acid 및 tocopherol, phenol성 화합물, flavone 유도체, carotenoids,glutathione, 아미노산 등이 밝혀져 있다(3).
하고초의 대표적인 성분으로는 무엇이 알려져 있는가? lilacina Nakai)의지상부를 일컫는다. 하고초의 대표적인 성분으로는 ursolicacid 및 caffeic acid(6), rutin, hyperoside, vitamin, carotenoid, tannin, 유기산(7,8) 등이 알려져 있는데, 지상부에는sterol과 각종 ursan 및 oleane계 triterpenoid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다(9). 또한 하고초로부터 saponin계인 vulgarsaponin A와 vulgarsaponin B, triterpene계인 ursolic acid와flavonoid계인 quercetin, hyperoside, ethyl caffeic acid 및sterol, fatty acids 등을 분리 보고된 바 있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Wiseman H. 1996. Dietary influences on membrane function; important in protection against oxidative damage and disease. Nutr Biochem 7: 2-6. 

  2. Ames BN, Saul RL. 1987. Oxidative DNA damage, cancer and aging. Oxygen and human disease. Ann Inter Med 107: 536-539. 

  3. Osborn-Barnes HT, Akoh CC. 2003. Effect of ${\alpha}$ -tocopherol, ${\beta}$ -carotene, and isoflavones on lipid oxidation of structured lipid-based emulsions. J Agric Food Chem 51: 6856-6860. 

  4. Berg RD. 1998. Probiotics, prebiotics or conbiotics. Trend Microbial 6: 9-92. 

  5. Nanayama M. 1996. Antibacterial substances in food. Jpn J Food Microbial 12: 209-213. 

  6. Sandra J. 1963a. Phytochemical studies of Prunella vulgaris and Prunella grandiflora- I. Saponin and triterpene compounds. Dissertations Pharm 15: 333-341. 

  7. Sandra J. 1963b. Phytochemical studies of Prunella vulgaris and Prunella grandiflora- I. Flavonoids and phenolicarboxylic acids. Dissertations Pharm 15: 483-489. 

  8. Dorosh NM, Domaratskaya OP. 1954. Phytochemical studies on plants of the Prunella vulgaris variety and of the type of the common meadow geranium. Nauch Studenschesk Obshchestva L'vov. Med Inst. p 64-67. 

  9. Kojima H, Ogura H. 1986. Triterpenoids from Prunella vulgaris. Phytochemistry 25: 729-733. 

  10. Wang ZJ, Zhao YY, Tu GZ, Hong SL, Chen YY. 1999. Studies on the chemical constituents from Prunella vulgaris. Acta Pharm Sin 34: 679-681. 

  11. Ko IJ, Yoo SJ, Lee EB. 1986a. Pharmacological studies on Prunellae Herba and Thesii Herba ( I ). On antiinflammatory activity. Kor J Pharmacog 17: 232-241. 

  12. Ko IJ, Yoo SJ, Lee EB. 1986b. Pharmacological studies on Prunellae Herba and Thesii Herba ( II ). On central nervous and diuretic actions. Kor J Pharmacogn 17: 242-247. 

  13. Au TK, Lam TL, Ng TB, Fong WP, Wan DC. 2001. A comparison of HIV-1 integrase inhibition by aqueous and methanol extracts of Chinese medicinal herbs. Life Sci 68: 1687-1694. 

  14. Jung YB, Roh KJ, Jung JA, Jung K, Yoo H, Cho YB, Kwak WJ, Kim DK, Kim KH, Han CK. 2001. Effect of SKI 306X, a new herbal anti-arthritic agent, in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of the knee: a double-blind placebo controlled study. Am J Chin Med 29: 485-491. 

  15. Lamaison JL, Petitjean-Freytet C, Carnat A. 1991. Medicinal Lamiaceae with antioxidant properties, a potential source of rosmarinic acid. Pharm Acta Helv 66: 185-188. 

  16. Fang X, Yu MM, Yuen WH, Zee SY, Chanq RC. 2005. Immune modulatory effects of Prunella vulgaris L. on monocytes/macrophages. Int J Mol Med 16: 1109-1116. 

  17. Lee H, Lin JY. 1988. Antimutagenic activity of extracts from anticancer drugs in Chinese medicine. Mutat Res 204: 229-234. 

  18. Kim JS, Kang SS, Lee KS, Chang SY, Won DH. 2000.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ursolic acid from Prunellae Herb. Kor J Pharmacogn 31: 416-420. 

  19. Shimano T, Mizuno M, Okamoto H, Adachi I. 1956. Studies on triterpenoids. IX. On the new component of Prunella, ursolic acid. J Pharm Soc J pn 76: 974-975. 

  20. Lee SJ, Sung NJ, Jeong HG, Shin JH, Chung YC, Seo JK. 2008.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Prunella vulgar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535-1541. 

  21. Gutfinger T. 1981. Polyphenols in olive oil. J Am Oil Chem Soc 58: 966-968. 

  22. Moreno MIN,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 of Argentina. J Enthropharmacol 71: 109-114. 

  23.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4.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s: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 apanese J Nutr 44: 307-315. 

  25. Re R, Pellegrini N,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26. Kato H, Lee IE, Chuyen NV, Kim SB, Hayase F. 1987. Inhibition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s. Agric Biol Chem 51: 1333-1338. 

  27. Kim DS, Ahn BW, Yeum DM, Lee DW, Kim ST, Park YH. 1987. Degradation of carcinogenic nitrosamine formation factor by natural food components. Bull Korean Fish Soc 20: 463-468. 

  28. James GC, Sherman N. 1987. Chemotherapeutic agents in microbiology, a laboratory manual, chemical agent of control. 2nd ed. Prentice Hall, NJ, USA. p 247-254. 

  29. Park JC, Choi JS, Choi JW. 1995. Effects of the fractions from leaves, fruits, stems and roots of Cudrania tricuspidata and flavonoids on lipid peroxidation. Kor J Pharmacogn 26: 377-384. 

  30. Kim MH, Lee NH, Lee MH, Kwon DJ, Choi UK. 2007. Antimicrobial of aqueous ethanol extracts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leaf. Korean J Food Culture 22: 266-273. 

  31. Ju JC, Shin JH, Lee SJ, Cho HS, Sung NJ.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hot water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7-14. 

  32. Choi SY, Kim SY, Hur JM, Choi HG, Sung NJ. 2006.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extracts from Sargassum thunbergi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39-144. 

  33. Ito M, Moriyama A, Mastsumoto Y, Takaki N, Fukomoto M. 1985. Inhibition of xanthine oxidase by flavonoids. Agric Biol Chem 49: 2173-2176. 

  34. Lee SJ, Song EJ, Lee SY, Kim KBWR, Kim SJ, Yoon SY, Lee CJ, Ahn DH. 2009. Antioxidant activity of leaf, stem and root extracts from Orostachys japonicus and their heat and pH stabili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571-1579. 

  35. Jang MJ, Woo MH, Kim YH, Jun DY, Rhee SJ. 2005. Effects of antioxidativ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ntithrombogenic by the extract of Sancho (Zanthoxylum schinifolium). Korean J Nutr 38: 386-394. 

  36.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Rhyu MR.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Technol 36: 333-338. 

  37. Lee SG, Yu MH, Lee SP, Lee IS. 2008. Antioxidant activity and induction of apoptosis by methanol extracts from avocad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269-275. 

  38. Kim HJ, Jun BS, Kim SK, Cha JY, Cho YS. 2000. Polyphenolic compound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by extracts from seed, sprout and flower of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1127-1132. 

  39. Gordon MH. 1990. The mechanism of antioxidant action in vitro. In Food antioxidants. Hudson BJF, ed. Elsevier Applied Science, London, UK. p 1-8. 

  40. Jeong CH, Shim KH. 2006.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latycodon grandiflorum leaves and ste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511-515. 

  41. Kim YE, Yang JW, Lee CH, Kwon EK. 2009. ABTS radical scavenging and anti-tumor effects of Tricholoma matsutake Sing. (pine mushroo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555-560. 

  42. Kim YC, Cho CW, Rhee YK, Yoo KM, Rho JH. 2007. Antioxidant activity of ginseng extracts prepared by enzyme and heat treatme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482-1485. 

  43. Choi YM, Kim MH, Shin JJ, Park JM, Lee JS. 2003.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ome commercial t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723-727. 

  44. Lee OH, Jung SH, Son JY. 2004. Antimicrobial activity of clove extract by extraction solv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494-499. 

  45. Park KN, Lee SH. 2003. Antimicrobial activity of pine needle extract and horseradish on the growth of Vibri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85-190. 

  46. Lee HA, Nam ES, Park SI. 2003. Antimicrobial activity of Maesil (Prunus mume ) juice against selected pathogenic microorganis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16: 29-34. 

  47. Lim JW, Lee GB. 1999. Studies on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runus mum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9: 442-45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