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적무 새싹종자의 소독제 처리에 의한 발아 시 미생물 제어효과
Effects of Seed Decontamination Treatments on Germination of Red Radish Seeds during Presoaking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10, 2010년, pp.1528 - 1534  

전소윤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윤화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성정민 (한국식품연구원) ,  정진웅 (한국식품연구원) ,  문광덕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권중호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연경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강웰빙식품의 하나로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새싹채소는 미생물학적 관점에서 안전성 확보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새싹채소의 병원성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해 적무종자의 발아 전 침지동안 종자 소독처리에 따른 미생물 제어 효과와 발아율을 평가하였다. L. monocytogenes ATCC 19111가 3~4 log CFU/g의 농도로 접종된 적무 종자는 20,000 ppm calcium hypochlorite, 50 ppm과 100 ppm 염소수, 오존수, 전해산화수 및 전해환원수로 처리하였으며, 증류수에 침지시킨 종자를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발아율은 각 처리군에 대해 48시간 동안 조사하였다. 일반세균과 L. monocytogenes 모두 20,000 ppm calcium hypochlorite에 침지 후 3 logs 이상의 가장 큰 감소효과를 보였고, 염소수, 전해산화수와 전해환원수 침지 후 일반세균과 L. monocytogenes 수는 각각 3 logs와 2 logs 감소되었으며, 염소수와 오존수를 제외하고는 온도변화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종자 발아 후 일반세균 수는 모든 처리군에서, L. monocytogenes 수는 염소수 50 ppm과 오존수를 제외한 모든 처리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 염소수 100 ppm을 제외하고는 온도변화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발아율은 48시간 후 calcium hypochlorite(82.3~84.8%)를 제외하고 다른 모든 소독제 처리 시 93.5~97.7%로 나타났으며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소독제 처리가 적무 종자에 접종된 L. monocytogenes를 완전히 사멸시키지는 못했지만, 발아 동안 재배수의 소독처리가 추가 병행된다면 생존한 균의 급속한 성장을 지연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bacterial effects of seed decontamination during presoaking before sprouting as an intervention step for eliminating foodborne pathogens on red radish seeds were evaluated. The effect of seed decontamination on seed germination rate was also evaluated. Red radish seeds were inoculated (at 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건강웰빙식품의 하나로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새싹채소는 미생물학적 관점에서 안전성 확보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새싹채소의 병원성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해 적무 종자의 발아 전 침지동안 종자 소독처리에 따른 미생물 제어 효과와 발아율을 평가하였다. L.
  • 국내 새싹채소 시장규모의 증가와 지속적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위생적 생산, 유통기술 확보와 안전관리체제의 구축이 시급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싹채소류의 고품질화를 위한 효과적인 살균기술을 개발할 목적으로 국내산 적무 종자의 침지 시 온도별 다양한 소독처리에 따른 살균효과와 발아 시 미생물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접종 대상 미생물은 우리나라 새싹채소에서 검출되어 향후 식중독 발생 가능성이 있으며, 새싹채소의 재배특성과 저온으로 유통된다는 특성을 고려하여 저온성 식중독균으로 그람 양성균인 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새싹채소는 어떤 영양성분이 있는가? 새싹채소는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식이섬유 등의 많은 영양성분 뿐만 아니라 항산화성분의 약리작용으로 인하여 식품 이상의 기대를 갖게 되면서 건강식품으로서 수요와 공급이 확대되고 있다. 그중 무 싹은 phase 2 enzyme 유도능력(1)과 항암(2) 등의 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새싹채소류의 병원성 미생물 오염은 무엇으로부터 기인하는가? 특히 새싹채소류의 병원성 미생물 오염은 주로 오염된 원료종자로부터 기인한다(6). 대표적으로 미국, 일본 시장에서의 새싹채소류 생산량은 매년 크게 신장하고 있으며, 이는 대부분 샐러드 등으로 날로 섭취됨으로써 식중독 사고를 일으킨 바 있으며, 그 원인이 새싹용 종자인 것으로 밝혀졌다(9-11).
건강식품으로서 수요와 공급이 확대되고 있는 새싹채소의 문제점은? 그중 무 싹은 phase 2 enzyme 유도능력(1)과 항암(2) 등의 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새싹채소는 종자단계에서부터 미생물에 높은 수준으로 오염되어 있거나(3) 재배과정 중 부패 및 병원성미생물의 오염이 용이하여 식중독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4-6). 최근 국내에서 시판하는 새싹채소에 대한 미생물학적 위해조사에서 적무 종자 및 새싹에서 Listeria monocytogenes가 검출되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Lee SO, Lee IS. 2006. Induction of quinone reductase, the phase 2 anticarcinogenic marker enzyme, in Hepa1c1c7 cells by radish sprouts, Raphanus sativus L. J Food Sci 71: 144-148. 

  2. O'Hare TJ, Wong LS, Force LE, Gurung CB, Irving DE, Wiliams DJ. 2008. Glucosinolate composition and anti-cancer potential of daikon and radish sprouts. ISHS Acta Hort 765: 237-244. 

  3. Jun SY, Kim TH, Kwon JH, Lee YK. 2009. Microbiological evaluation in situ of each process in seed sprouting. Korean J Food Preserv 16: 971-976. 

  4. US FDA. 2000. Consumers advised of risks associated with raw sprout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Washington, DC, USA. Vol 9, p 99-113. 

  5. Montville R, Schaffner D. 2005. Monte carlo simulation of pathogen behavior during the sprout production process. Appl Environ Microbiol 71: 746-753. 

  6. NACMCF. 1999. Microbiological safety evaluations and recommendations on fresh produce. Food Control 10: 117-143. 

  7. Waje CK, Jun SY, Lee YK, Kim BN, Han DH, Jo C, Kwon JH. 2009. Microbial quality assessment and pathogen inactivation by electron beam and gamma irradiation of commercial seed sprouts. Food Control 20: 200-204. 

  8. Yoshoyuki W, Kotaro O, Jonathan HM, Patricia MG, Kazushige M, Shinsaku I, Tadashi S. 1999. Factory outbreak of Escherichia coli O157:H7 infection in Japan. Emerg Infect Dis 5: 424-428. 

  9. Taormina PJ, Beuchat LR, Slutsker L. 1999. Infections associated with eating seed sprouts: an international concern. J Emerg Infect Dis 5: 626-634. 

  10. Thayer DW, Rajkowski KT. 1999. Developments in irradiation of fresh fruits and vegetables. J Food Technol 53: 62-65. 

  11. Watanabe Y, Ozasa K, Mermin JH, Griffin PM, Masuda K, Imashuku S, Sawada T. 1999. Factory outbreak of Escherichia coli O157:H7 infection in Japan. J Emerg Infect Dis 5: 424-428. 

  12. Taormina PJ, Beuchat LR. 1999. Behavior of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O157:H7 on alfalfa sprouts during the sprouting process as influenced by treatments with various chemicals. J Food Prot 62: 850-856. 

  13. NACMCF. 1999. Microbiological safety evaluations and recommendations on sprouted seeds. Int J Food Microbiol 52: 123-153. 

  14. Weiss A, Hammes WP. 2003. Thermal seed treatment to improve the food safety status of sprouts. J Appl Bot 77: 152-155. 

  15. Delaquis PJ, Sholberg PL, Stanich K. 1999. Disinfection of mung bean seed with gaseous acetic acid. J Food Prot 62: 953-957. 

  16. Fett WF. 2002. Reduc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almonella spp. on laboratory inoculated mung bean seed by chlorine treatment. J Food Prot 65: 848-852. 

  17. Kim ID, Kim SD. 2001. Changes in quality of soybean sprouts grown by ozone water treatment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8: 279-384. 

  18. Kim ID, Park MJ, Cho JW, Soe SS, Kim MK, Lee JB, Lee SK, Kim SD. 2001. Effect of ozone treatment on the quality of soybean sprouts. Korean J Food Preserv 5: 177-185. 

  19. Kim C, Hung YC, Brackett RE, Lin CS. 2003. Efficacy of electrolyzed oxidizing water in inactivating Salmonella on alfalfa seeds and sprouts. J Food Prot 66: 208-214. 

  20. US FDA. 1999. Guidance for industry: reducing microbial food safety hazards for sprouted seeds and guidance for industry: sampling and microbial testing of spent irrigation water during sprout reduction. Fed Register 64: 57893-57902. 

  21. Lang MM, Ingham BH, Ingham SC. 2000. Efficacy of novel organic acid and hypochlorite treatments for eliminating Escherichia coli O157:H7 from alfalfa seeds prior to sprouting. Int J Food Microbiol 58: 73-82. 

  22. Fu T, Stewart D, Reineke K, Ulaszek J, Schlesser J, Tortorello M. 2001. Use of spent irrigation water for microbiological analysis of alfalfa sprouts. J Food Prot 64: 802-806. 

  23. ISTA. 1996.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rules for seed testing. Seed Sci Technol 21: 25-30. 

  24. Prokopowich D, Blank G. 1991. Microbiological evaluation of vegetable sprouts and seeds. J Food Prot 54: 560-562. 

  25. Park BK, Oh MH, Oh DH. 2004. Effect of electrolyzed water and organic acids on the growth inhibi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on lettuce. Korean J Food Preserv 11: 530-537. 

  26. Kim C, Hung YC, Brackett RE. 2000. Roles of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electrolyzed oxidizing and chemically modified water for the inactivation of food related pathogen. J Food Prot 63: 19-24. 

  27. Park KJ, Lim JH, Kim JH, Jung JW, Jo JH, Jung SW. 2007. Reduction of microbial load on radish (Raphanussativus L.) seeds by aqueous chlorine dioxide and hot water treatments. Korean J Food Preserv 14: 487-491. 

  28. Kim JW, Kim SH. 2005 Establishment of washing conditions for salad to reduce the microbial hazard.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703-708. 

  29. Weissinger WR, Beuchat LR, Chantarapanont W. 2000. Survival and growth of Salmonella baildon in shredded lettuce and iced tomatoes, and effectiveness of chlorinated water as a sanitizer. Food Microbiol 62: 123-131. 

  30. Rolando JG, Yaguang L, Saul RC, James LM. 2004. Efficacy of sanitizers to inactivate Escherichia coli O157:H7 on fresh-cut carrot shreds under simulated process water conditions. J Food Prot 67: 2375-2380. 

  31. Kwon JY. 2004. Effect of surface sterilization and various washing on the minimally processed chicory (Cichorium intybus L. var. foliosum). MS Thesis. Duks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32. Kim HY, Jeong JW, Kim JY, Lim YI. 2004. A study on the quality depending on sanitization method of raw vegetables in foodservice operation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 123-132. 

  33. Adams MR, Hartley AD, Cox LJ. 1989. Factors affecting the efficacy of washing procedures used in the production of prepared salads. Food Microbiol 6: 69-77. 

  34. Mohammad B, Habibi N. 2008. Efficacy of ozone to reduce microbial populations in date fruits. Food Control 20: 27-30. 

  35. Serdar, Blent Z, Kiroglu ZF. 2006. Effect of ozone treatment on microflora of dried figs. J Food Eng 75: 396-39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