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급식 식재료 제조.가공업체의 위생관리 실태 조사
An Evaluation of Food Safety Sanitation Management Practices of Food Manufacturing Companies that Supply Foods to School Foodservic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10, 2010년, pp.1535 - 1544  

김윤화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경북대학교 장수생활과학연구소) ,  이연경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경북대학교 장수생활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학교급식 식재료 생산 가공업체의 위생관리수준과 식재료품질관리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식재료 생산 가공업체 위생관리 수행수준의 평균은 4.72/5점이었고, 콩나물업체의 수행수준이 가장 낮았다. 위생관리실태 영역 중 원부재료에 대한 점수가 가장 높았고, 개인위생관리, 작업관리, 작업장과 주변 환경관리, 운송영역의 관리순이었다. 협력업체의 위생평가와 세척 및 소독 지침에 관한 항목, 작업관리 영역, 정확한 손 세척 수행 항목, 원부재료 운송차량 관리 항목, 식재료 운송영역에서 HACCP 지정업체와 미지정업체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위생관리 수행수준 영역 중 위생구역 구분관리, 세제와 소독제에 의한 식재료 오염 방지, 위생복, 위생화, 위생모의 착용여부, 세척시설을 갖춘 정확한 손 세척, 원부재료의 온도관리확인 및 서류보관, 원부재료의 청결확인 및 서류보관, 원부재료의 운송차량과 수송설비의 청결유지와 소독의 항목이 업체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원부재료에 대한 이력추적관리는 58.8%의 업체가 실시하고 있었고, 생산품에 대해서는 61.8% 정도 실시되었다. 식재료의 온도관리가 어려운 이유는 과다적재로 인한 것으로 조사되어 과다적재에 대한 교육과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정확한 식재료의 공급을 위한 식재료의 품질규격화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학교급식 식재료의 안전한 생산을 위해 생산 가공업체에서는 위생교육을 더욱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위생교육 내용을 교육대상자의 요구에 맞추어 선정하고, 일방적인 강의형식의 교육보다는 교육매체를 활용한 보다 능동적이고 흥미로운 위생교육을 실시하여 교육효과를 최대한 높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sanitation management practices in food manufacturing companies that supply food and food ingredients to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Subjects consisted of 34 food manufacturing factories located in the Daegu and Gyeongbuk areas. Sanitation performance w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학교급식 식재료 생산․가공업체의 위생관리수준과 식재료품질관리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식재료 생산․가공업체 위생관리 수행수준의 평균은 4.
  • 본 연구에서는 학교급식 식재료의 안전한 공급을 위한 실태 파악을 위해 학교급식 식재료 제조․가공업체를 대상으로 일반적인 현황과 위생관리 현황, 식재료 품질관리 현황, 위생관리 수행수준 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급식 위생관리지침서의 식재료 위생관리에는 무엇이 규정되어 있는가? 학교급식위생관리지침서(9)의 식재료 위생관리 규정에는 식재료를 공급하는 업체의 위생관리 능력과 운영능력이 있는 업체를 선정하여 신선하고, 질이 좋으며 위생적으로 안전한 식재료를 구입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 식재료 규격에는 곡류 및 과채류의 원산지 또는 품질인증품, 이력추적관리품 등을 표시한 제품이어야 하며, 전처리 농산물은 제품명, 업소명, 제조연월일, 전처리 전 식재료의 품질, 내용량, 보관 및 취급방법을 표시한 제품, 어육류는 신뢰성 있는 인가된 업체에서 구매를 해야 한다. 육류는 도축검사 증명서, 등급 판정확인서, 검역증명서, 수입신고필증을 갖추어야 하고, 어류는 원산지 표시된 제품, 냉장․냉동상태로 유통되는 제품이어야 한다. 또한 모든 가공품은 유통기한 이내, 포장이 훼손되지 않은 제품으로 규정하고 있다.
미국질병예방통제센터에서는 식중독 발생의 원인으로 무엇을 밝혔는가? 미국질병예방통제센터에서는 식중독 발생의 원인으로 6% 정도가 안전하지 못한 공급원 때문인 것으로 밝혔고(5), Gallay(6)는 식재료의 50%가 오염되었다고 발표하였다. 학교급식의 관리를 위해 식재료 구매의 중요성 및 우수한 식재료 선정이 강조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구매과정의 효율성 및 투명성이 확보되어야 하고, 식재료 안전성 확보를 위해 식재료 공급업체 선정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7).
문부과학성에서는 양질의 안전한 일본 학교급식 식재료 확보를 위해 무엇을 규정하고 있는가? 학교, 납품업자들의 모임을 마련하여 납품업자가 학교급식의 의의와 역할을 이해하고 위생관리 본연의 자세에 대해 정기적으로 의견교환이 이루어지며, 최고의 위생관리 유지와 향상을 촉구하여 식재료의 위생안전관리에 철저를 기하고 있다(10). 문부과학성(11)에 따르면 양질의 안전한 학교급식 식재료를 확보하기 위해서 식재료는 지나치게 가공한 것, 건강에 해가 되는 것, 가공과정이 명확하지 않은 것, 유해하거나 불필요한 식품첨가제가 들어간 것, 유통기한과 제조자 등이 명백하지 않은 것은 피하고, 신선하고 위생적인 재료를 구입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미국 FDA Food Code(12)에 명시되어 있는 식재료의 기준에는 달걀은 B등급 이상, 달걀가공품은 멸균제품, 우유 및 유제품은 멸균, A등급 이상, 치즈는 멸균, 포장 식재료는 좋은 품질로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는 포장재를 사용한 것, 얼음은 먹을 수 있는 물로 제조한 것, 껍질상태의 조개류는 포장하는 사람의 이름, 주소, 인증서 개수 등의 포장지의 내용을 바꿀 수 없는 것, 포장하지 않은 주스는 HACCP 인증업체의 제품을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FDA. 2009. Food & drug statistical yearbook. 

  2. KFDA. 2009. http//fm.kfda.go.kr/ Accessed 2010. 6. 17. 

  3. Kim GM, Lee SY. 2009. A survey on the foodservice management job of school dietitians and the uses of preprocessed and processed foods-focused o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reas-. J Korean Diet Assoc 15: 22-40. 

  4. Park JM, Gu HJ, Jeong JY, Chang UJ, Suh HJ. 2007. Monitor country-of-origin labels and sanitation on the meat markets in Seoul, Korea.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7: 185-189. 

  5. Sivapalasingam S, Friedman CR, Cohen L, Tauxe RV. 2004. Fresh produce: A growing cause of outbreaks of foodborne illness in the United States 1973 through 1997. J Food Prot 67: 2342-2353. 

  6. Gallay A. 2002. Toxines microbiennes dans les toxi-infections alimentaires collectives declarees en France. Congress of the French Society of Microbiology November Paris. 

  7. Park MJ, Kim SW, Lee JS. 2008. An analysis on the priority of selection of supplier for school food service material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3: 531-539. 

  8.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8. The law school feeds. 

  9.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 A guide book of school feeding sanitation management. p 31. 

  10. The law school feeds of Japan. http://law.e-gov.go.jp/htmLdata/S29/S29HO160.html/ Accessed 2009.06.01. 

  11.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Japan. School feeding food stuff. http://www.mext.go.jp/b_menu/shingi/chousa/sports/002/toushin/960801k.htm/Accessed 2009.05.31. 

  12. FDA. http://www.fda.gov/downloads/Food/FoodSafety/RetailFoodProtection/FoodCode/FoodCode2005/ucm123970.pdf/ Accessed 2009.06.16. 

  13. Kim KA, Kwak TK, Lee KE. 2006. Food purchasing and quality management practices in school food service. J Korean Diet Assoc 12: 329-341. 

  14. Lee KM, Ryu K. 2007. Field assessment of sanitation management for school foodservices suppliers in the Seoul area.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650-663. 

  15. Ryu K. 2007. Status of supplier selection status and the practical use of purchase specifications for self-operated school foodservices in the Seoul area. Korean J Food & Nutr 20: 226-239. 

  16. Mojca J, Valentina H, Peter R. 2008. Food safety knowledge and practices among food handlers in Slovenia. Food Control 19: 1107-1118. 

  17. Hong WS, Yim JM, Choi YS. 2008. Sanitary performance and knowledge level of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in Seoul. J Korean Diet Assoc 14: 382-395. 

  18. KFDA. 2010. Status of certificated HACCP. http://www.haccphub.or.kr/Accessed 2010.06.23. 

  19. Kim YH. 2009. A survey of sanitation management on the manufacturing and distribution steps associated with, and assessment of microbiological safety of school foodservice food. PhD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p 89. 

  20. Park KJ. 2003. Support of the grade of hygiene practices of food manufacture and processing factory. KFDA final report policy-administration-2003. 

  21. Kim YH, Ryu K, Lee YK. 2009. Microbiological safety during processing of ingredients supplied to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s. J Korean Diet Assoc 15: 152-167. 

  22. Park JM, Gu HJ, Jeong JY, Chang UJ, Suh HJ, Kang DH, Kim CJ, Kim JM. 2007. Monitoring country-of-origin labels and sanitation on the meat markets in Seoul, Korea.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7: 185-189. 

  23. Lee JY, Paik JK, Hwang HS, Lee JE, Shin WS, Kim HW, Paik HD, Hong WS. 2010. Survey of hygienic condition and management of meat markets in Seoul and Gyeong-Gi area, Korea-HACCP-certified and non certified-.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30: 336-3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