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급식 식재료 및 완제품 배송직원의 위생관리 실태 조사
An Evaluation of Food Delivery Worker Sanitation Management Practices that Supply Food to School Foodservices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4 no.1, 2011년, pp.74 - 81  

김윤화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장수생활과학연구소) ,  이연경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장수생활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학교급식 식재료 (완제품)의 위생관리 실태와 구매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학교급식 식재료 (완제품) 납품업체 38곳의 배송직원 201명을 대상으로 위생지식수준, 위생관리 수행수준, 위생관리 현황을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자는 30~39세가 41.3%, 배송경력 1~3년이 30.8%로 가장 많았고, 61.7%가 1~2회/년 위생교육을 받고 있었다. 새벽배송 학교 수는 응답자의 52.7%가 2개교로 가장 많았다. 위생지식은 3.75/7.00점으로 낮게 평가되었고, 작업장 위생관리에 대한 지식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개인위생 항목의 점수가 가장 낮았다. 자기차량으로 운행하는 직원의 위생지식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위생관리 수행수준의 평균은 4.58/5.00점으로 높았으며, 검수관련 영역의 점수가 가장 높고, 배송차량 관리 영역 점수가 가장 낮았다. 육류 및 수산물 배송직원과 위생교육을 받는 직원의 위생관리 수행도가 더 높았다. 학교급식 식재료를 공급하면서 가장 어려운 점은 납품시간이었고 두 번째는 식재료 (완제품)의 온도관리였다. 따라서 영양 (교)사와 유통업체에서는 유통단계에서의 위생적인 식재료 (완제품) 관리를 위하여 배송직원을 대상으로 한 철저한 위생교육과 관리가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anitation management of school foodstuffs and the sanitation knowledge of delivery company workers. A questionnaire that identified employee's food safety sanitation management, knowledge, and practices was developed based on a review of the literat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배송직원들을 대상으로 학교급식 식재료의 위생관리 실태를 조사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교급식 식재료 배송직원들을 대상으로 위생지식 및 위생관리 수행도를 평가하고, 식재료 납품의 장애요인들을 찾아 보다 안전한 학교급식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학교급식 식재료 (완제품)의 위생관리 실태와 구매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학교급식 식재료 (완제품) 납품업체 38곳의 배송직원 201명을 대상으로 위생지식수준, 위생관리 수행수준, 위생관리 현황을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자는 30~39세가 41.

가설 설정

  • 1: Hand washing method. 2: Sanitation effectiveness. 3: Proper delivery volume.
  • 2: Sanitation effectiveness. 3: Proper delivery volume. 4: Delivery regulation.
  • 4: Delivery regulation. 5: Pathogens characteristics. 6: Pathogens inhibitive condition.
  • 5: Pathogens characteristics. 6: Pathogens inhibitive condition. 7: Pathogens growth condition.
  • 6: Pathogens inhibitive condition. 7: Pathogens growth condition.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중독 발생 원인으로 어떤 요인들이 있는가? 1-3) 학교급식은 주 급식대상인 학생들이 미생물에 민감하고 급식인원수가 많기 때문에 다른 집단에 비해 식중독 발생 환자수가 많아 위생관리가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4) 식중독 발생 원인으로는 부적절한 온도관리, 개인위생 불량, 부적절한 가열, 안전하지 못한 식재료 공급, 준비과정 중의 비위생적인 관리 등 여러 가지 요인들이 지적되고 있다.5,6) 최근 안전하고 우수한 식재료의 공급은 학교급식의 질과 안전성을 결정짓는 주요요인으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고, Medeiros 등7)도 식재료의 관리를 주요 위생관리 내용으로 지적하였다.
학교급식 식재료의 유통단계에서의 위생 안전은 관리 측면에서 많은 불안이 있는 이유는? 학교급식실과 제조·가공업체에서는 HACCP 등의 위생관리 시스템이 적용되어 실시되고 있지만 유통단계에서의 위생인 증제도는 실시되고 있지 않아 유통단계에서의 위생안전에 많은 불안을 내포하고 있다. 유통단계에서의 위생안전은 포장의 안전성과 온도관리가 주요관리 내용이며, 이러한 유통단계에서의 위생관리는 배송을 책임지는 직원들에 대한 교육이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다.
학교급식의 납품업체에 대한 관리에 대한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이유는? 국제무역 활성화 등으로 검증되지 않은 위해식품 등이 유통되고 있고, 식재료 관리의 허점을 이용한 식품관련 위험요인에 대한 노출이 심화되고 있어 납품업체에 대한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10) 이에 2008년부터 집단급식소식품 판매업이 신설되어 관리되고 있고,11) 유통업체 위생관리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DC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nnual Listing of Foodborne Disease Outbreaks, United States. 2010 available from: http://www.cdc.gov/foodborneoutbreaks/outbreak_ data.htm 

  2.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Foodborne outbreak statistics. 2010 available from: http://www.mhlw.go.jp/topics/ syokuchu/04.htmL 

  3. KFDA (Korea food drug administration). Foodborne disease outbreaks. 2010 available from: http://fm.kfda.go.kr/ 

  4. Kwak TK, Moon HK. School food safety practices in USA. J Korean Diet Assoc 2005; 11(4): 473-484 

  5. Sivapalasingam S, Friedman CR, Cohen L, Tauxe RV. Fresh produce: A growing cause of outbreaks of foodborne illness in the United States, 1973 through 1997. J Food Prot 2004; 67(10): 2342-2353 

  6. Gallay A. Toxines microbiennes dans les toxi-infections alimentaires collectives declarees en France. Congress of the French Society of Microbiology November Paris; 2002 

  7. Medeiros LC, Hillers VN, Kendall P, Mason A. Food safety education what should we be teaching to consumers? J Nutr Educ 2001; 33(2): 108-113 

  8. Kim KA, Kwak TK, Lee KE. Food purchasing and quality management practices in school food service. J Korean Diet Assoc 2006; 12(4): 329-341 

  9. Park KH. Development of generic HACCP model for food distribution channel. Korean Food & Drug Administration: Research report: 07032기타사801; 2007 

  10. Park JY, Ahn SS, Park HH. A study on differences of food hygiene knowledge and practices between housewives and the contract foodservices employes. Korean J Food Nutr 2006; 19(3): 301-310 

  11.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Enforcement Decree of the Food Sanitation Act; 2007 

  12. Kim YH. A survey of sanitation management on the manufacturing and distribution steps associated with, and assessment of microbiological safety of, school foodservice food [Doctor's Thesis], Daegu: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09 

  13. Kim YH, Ryu K, Lee YK. Microbiological safety during delivering of food ingredients supplied to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s-seafood, meat and frozen processing food-. Korean J Food Preserv 2009; 16(2): 276-285 

  14. Hong WS, Yim JM. Evaluation of foodservice employees' sanitary performance and sanitary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J Korean Diet Assoc 2009; 15(2): 113-127 

  15. Kim SO, Oh MS. Sanitary management performance and knowledge of employees in hospital food service. J Korea Home Econ Assoc 2005; 43(11): 127-140 

  16. Han EH. Evaluation of knowledge and practice level of hygiene for school cafeteria employees in Jeonju [MS thesis], Jeonju: Chonbuk National University; 2003 

  17. Nunnally JC. Psychometric theory: 2nd ed. New York: Megraw- hill; 1978 

  18.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chool food hygiene and management guidelines; 2010 

  19.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he basic direction of school foodservice; 2009 

  20. Lee YE.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practice of sanitation training program at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in Chungbuk province. J Korean Diet Assoc 2006; 12(1): 68-81 

  21. Kim YH, Ryu K, Lee YK. Microbiological safety during delivering of food ingredients supplied to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s-seafood, meat and frozen processing food-. Korean J Food Preserv 2009; 16(2): 276-285 

  22. Eo GH, Ryu K, Park SJ, Kwak TK. Need assessment of HACCPbased sanitation training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based on sanitation knowledge test of employees. J Korean Diet Assoc 2001; 7(1): 56-64 

  23. Amy ELC, Bruhn CM. Safety of consumer handling of fresh produce from the time of purchase to the plate: A comprehensive consumer survey. J Food Prot 2002; 65(8): 1287-1296 

  24. Chong YK, Kwak TK. Perceived performance of sanitary management for school food service managers in the Seou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00; 5(1): 100-10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