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 서비스에서 프라이버시 염려, 자아불일치 및 공동체 의식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Privacy Concerns, Self Discrepancy and Sense of Virtual Communiti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0 no.8, 2010년, pp.360 - 369  

곽수환 (서강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  류성열 (서강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  이윤희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개인의 프라이버시 염려와 자아불일치 및 커뮤니티의 공동체 의식과의 관계를 고찰해 보고자 한 것이었다. 먼저, 개인의 프라이버시 염려가 자아불일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인터넷 사용기간의 조절효과를 분석해 보기로 하였다. 기존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된 개인의 프라이버시 염려 요인은 정보에 대한 수집, 통제, 인식을 고려하였으며, 커뮤니티에 대한 공동체 의식 요인은 소속감과 몰입감을 고려하였다.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절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계층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프라이버시 염려 중 정보에 대한 수집, 통제, 인식의 요인 중 인식의 요인만이 자아불일치에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때 인터넷 사용기간은 정보의 인식 및 통제가 자아불일치에 주는 영향력을 조절하는 요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음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의 자아불일치가 커뮤니티에 대한 소속감과 몰입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아불일치가 소속감에는 부(-)의 영향을 주지만, 몰입감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examines the relationships among privacy concerns, self discrepancy, and sense of virtual communities. According to the relevant literature review, we considered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factor as information collection, control, and awareness of privacy practic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위에서 언급된 프라이버시에 대한 염려와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의 자아불일치의 관계를 온라인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분석 해 보고자 한다. 그리하여, 자아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에서 찾아보기로 하고, 이를 통해 커뮤니티의 활성화가 가능한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 다양한 개인적 정보보호 활동 중 하나는 개인 정보 제공에 대한 거절이며, 이는 곧 개인의 실제 자아와 온라인 자아 사이의 불일치를 유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개인의 프라이버시 염려가 개인의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의 자아불일치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개인의 프라이버시 염려와 자아불일치 및 커뮤니티의 공동체 의식과의 관계를 고찰해 보고자 한 것이었다. 먼저, 개인의 프라이 버시 염려가 자아불일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개인의 프라이버시 정보에 대한 수집, 통제, 인식의 요인 중 인식의 요인만이 자아불일치에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본 연구는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개인의 프라이버시에 대해 느끼는 염려가 자아불일치 및 커뮤니티의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하기 위하여, [그림 1]과 같은 연구 모형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개인의 프라이버시에 대해 느끼는 염려가 자아불일치 및 커뮤니티의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개인의 프라이버시에 대한 염려가 자아불일치에 미치는 영향력(가설1-가설3) 및 인터넷 사용기간의 조절효과(가설4-가설6)를 분석해 보기로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위에서 언급된 프라이버시에 대한 염려와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의 자아불일치의 관계를 온라인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분석 해 보고자 한다. 그리하여, 자아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에서 찾아보기로 하고, 이를 통해 커뮤니티의 활성화가 가능한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 추가적으로 프라이버시 염려가 커뮤니티의 소속감과 몰입감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프라이버시 염려가 소속감에는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지 않고, 통제요인만 몰입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인의 자아인식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개인의 자아인식은 물리적/인지적 능력, 개인적 특성과 동기, 사회적 역할의 다양성 등의 다양한 속성에 대한 자기의 평가를 의미한다[15]. 개인의 자아는 단일구성체로 보는 관점도 있지만, 여러 개의 별개 자아로 간주하는 관점도 존재하고 있다[16][17].
사이버 공간의 자아불일치는 어떠한 장점이 있는가? 한편, 사이버 공간에서는 얼굴이 보이지 않고 익명성이 보장되므로 현실의 자아와 다른 가상의 자아를 새롭게 형성하기도 한다. 이러한 자아불일치는 현실세계에서 억눌렸던 자아를 해방시키고 자아를 확장할 수 있는 순기능적 역할을 제공하는 장점도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상대방에 대한 인신공격, 사기 등의 문제를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자기기만으로 인한 자신의 심리적 혼란, 사회 부적응 등의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사이버 공간에서의 자아불일치는 일반적으로 어떠한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는가? 이러한 자아불일치는 현실세계에서 억눌렸던 자아를 해방시키고 자아를 확장할 수 있는 순기능적 역할을 제공하는 장점도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상대방에 대한 인신공격, 사기 등의 문제를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자기기만으로 인한 자신의 심리적 혼란, 사회 부적응 등의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 D. Miyazaki and A. Fernandez, "Internet Privacy and Security: An Examination of Online Retailer Disclosures," Journal of Public Policy and Marketing, Vol.19, No.1, pp.54-61. 2000. 

  2. N. K. Malhotra, S. S. Kim, and J. Agarwal, “Internet Users’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IUIPC): The Construct, The Scale, and A Causal Mode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15, No.4, pp.336-355. 2004. 

  3. D.-H. Shin, "The Effect of Trust, Security and Privacy in Social Networking: A Security-based Approach to Understand the Pattern of Adoption," Interacting with Computers, Vol.22, No.5, pp.428-438, 2010. 

  4. M. J. Culnan and R. J. Bies, "Consumer Privacy: Balancing Economic and Justice Considerations," Journal of Social Issues, Vol.59, No.2, pp.323-342, 2003. 

  5. 이호근, 이상훈, “정보 프라이버시의 향후 연구방향 도출을 위한 선행연구 분석: 온라인 상에서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를 중심으로”, 정보화정책, 제16권, 제2호, pp.3-26, 2009. 

  6. I.-H. Hann, K.-L. Hui, T. S. Lee, and I. P. L. Png, "Online Information Privacy: Measuring the Cost-Benefit Trade-Off," 2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Systems, pp.1-8, 2002. 

  7. G. R. Milne and M. J. Culnan, "Using the Content of Online Privacy Notices to Inform Public Policy: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1998-2001 U.S. Web Surveys," The Information Society, Vol.18, No.5, pp.345-359, 2002. 

  8. H. J. Smith, S. J. Milberg, and S. J. Burke, "Information Privacy: Measuring Individuals' Concerns about Organizational Practices," MIS Quarterly, Vol.20, No.2, pp.167-196, 1996. 

  9. T. Dinev and P. Hart, "An Extended Privacy Calculus Model for E-Commerce Transactions,"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17, No.1, pp.61-80, 2006. 

  10. K. A. Stewart and A. H. Segars,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Concern for Information Privacy Instrument,"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13, No.1, pp.36-49, 2002. 

  11. 유일, 신정신, 이경근, 최혁라, “프라이버시 염려 영향요인이 인터넷 이용자의 신뢰와 온라인 거래 의도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제15 권, 제4호, pp.37-59, 2008. 

  12. 최혁라, 신정신, “온라인 거래에서 프라이버시 염려의 선행요인과 프라이버시 염려, 신뢰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정보시스템연구, 제16권, 제3 호, pp.21-44, 2007. 

  13. 이준기, 최희재, 최선아, “서비스의 유용성과 프 라이버시 염려도가 개인화된 서비스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거래학회지, 제12권, 제4호, pp.37-51, 2007. 

  14. 민병권, 김이태, “온라인 쇼핑에서 프라이버시 염려의 원인변수와 결과변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6권, 제11호, pp.25-37, 2006. 

  15. S. K. Whitebourne and L. A. Connolly, The Developing Self in Midlife, inJ. D. Reid, S.L. Willis Ed., Life in the Middle: Psychological and Social Development in Middle Age, Academic Press, 1999. 

  16. 이순형, "사이버공간과 실공간에서의 자아 정체의 불일치", 대한가정학회지, 제40권, 제4호, pp.59-71, 2002. 

  17. D. L. Loudon and A. J. D. Bitta, Consumer Behavior: Concepts and Applications, 4th ed., McGraw-Hill, 1997. 

  18. A. Roland, In Search of Self in India and Japa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8. 

  19. J. F. Kihlstorm and N. Cantor, Mental Representations of the Self, in L. Berkowiz Ed.,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Academic Press, Vol.17, pp.1-47, 1984. 

  20. M. J. Sirgy, "Self-Concept in Consumer Behavior: A Critical Review,"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9, No.3, pp.287-300. 1982. 

  21. W. James, The Principles of Psychology, Harvard University Press, 1981. 

  22. E. T. Higgins, "Self-Discrepancy Theory: A Theory Relating Self and Affect," Psycholgical Review, Vol.94, No.3, pp.319-340, 1987. 

  23. J. Boldero and J. Francis, "The Relation Between Self-Discrepancies and Emotion: The Moderating Roles of Self-Guide Importance, Location Relevance, and Social Self-Domain Central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8, No.1, pp.38-50, 2000. 

  24. L. Scott and M. W. O'Hara, "Self-Discrepancies in Clinically Anxious and Depressed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102, No.2, pp.282-287, 1993. 

  25. A. Suh, K. Shin, and J. Lee, "The Effects of Multi-identity on One’s Psychological State and the Quality of Contribution in Virtual Communities: A Socio-Psychological Perspective,"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20, No.1, pp.57-79, 2010. 

  26. D. W. McMillan and D. M. Chavis,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Vol.14, No.1, pp.6-23, 1986. 

  27. J. Koh and Y. G. Kim, "Sense of Virtual Community: A Conceptual Framework and Empirical Valid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Vol.8, No.2, pp.75-93, 2003. 

  28. J. Y. Son and S. S. Kim, "Internet Users' Information Privacy-Protective Responses: A Taxonomy and a Nomological Model," MIS Quarterly, Vol.32 No.3, pp.503-529,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