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토양에서 파종시기와 재배기간이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육특성, 건물수량 및 사료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ing Dates and Growth Period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Dry Matter Yield and Feed Value of Corn for Silage in Paddy Field 원문보기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v.52 no.5, 2010년, pp.441 - 448  

이상무 (경북대학교 축산학과) ,  이재훈 (경북대학교 축산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파종시기와 재배일수가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육특성, 수량성 및 사료적 가치를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시험구 처리는 파종시기를 5월 1일(T1), 5월 8일(T2), 5월 15일(T3), 5월 22일(T4) 및 5월 29 (T5)일로 하고 수확 시기는 일괄 8월 24일로 실시하였다. 따라서 재배기간은 T1, T2, T3, T4 및 T5구가 각각 115, 108, 101, 94, 87일로 난괴법 5처리 3반복으로 하였다. 수확시 숙기는 T1, T2, T3, T4 및 T5구가 각각 황숙기, 황숙기 초기, 호숙기 말기, 호숙기, 호숙기 초기 상태였다. 생육특성에 있어서 초장과 근계 발생(1, 2, 3, 4 차근 발생 정도)은 T5구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1). 엽장은 T4구에서(P<0.05), 고사엽, 알곡충실도 암이삭 둘레는 T1구가 다른 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0.01). 그러나 엽폭, 착수고, 엽수, 암이삭 길이, 경의 굵기, 경경도 및 당도에 있어서는 상호 처리 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건물 및 TDN 수량은 파종시가 빠르고 재배기간이 길었던 T1 > T2 > T3 > T4 > T5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1). 조단백질, 조회분, NDF, ADF, 조섬유 함량은 T4구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0.01) 조지방 함량은 T1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1). 총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T4 > T3 > T1 > T2 > T5 순으로 총 비필수아미노산 함량은 T1 > T4 > T2 > T3 > T5 순으로 총 아미노산 함량은 T4 > T1 > T3 > T2 > T5구 순으로 나타났지만 이들 처리구간에는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총불포화지방산, 총포화지방산 함량은 T1구에서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1). 그리고 총불포화지방산/포화지방산의 비율은 T1 > T2 > T3 > T4 > T5구 순으로 나타났다. 무기물성분은 T4구가 4,721.25 mg/100 kg으로서 가장 높았던 반면 T2구는 2,970.80 mg/kg으로서 다른 구에 비하여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P<0.05). 이상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논토양에서 사일리지용 옥수수 재배는 5월 초순에 파종하여 황숙기에 수확 하는 것이 건물수량과 영양수량 생산에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eeding dates and growth period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dry matter yield and feed value of corn for silage in paddy field. The experimental design was arranged in a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Treatments cons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wank 등(1982) 및 Giardini 등(1976)은 수확시 건물율이 32~38% 정도 일 때 최대 건물량을 확보할 수 있다고 하였으며 임과 김(1996)은 파종시기를 동일하게 하고 수확시기를 7월 31일을 기준으로 10일 간격으로 늦추어 수확한 결과 건물 수량은 재배일수가 길수록 증가하였지만 조단백질, 조섬유, NDF, ADF 및 수용성 탄수화물은 감소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논토양에 있어서 파종시기에 따른 재배기간이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육특성, 건물수량, 일반성분, 구성 아미노산함량, 지방산함량 및 무기물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함과 동시에 중남부지방 논토양에서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재배방법, 생산능력 및 사료가치를 판단하고 논토양을 이용한 조사료 생산기반을 확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조사료 기반을 확충하여 안정적으로 축산을 할 수 있는 조사료 생산기반 조성이 매우 중요한 이유는? 그러나 국내에는 조사료 및 곡류 공급 능력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대부분 수입에 많이 의존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수입산 건초 및 곡류는 국제 공급 능력에 따라 가격 변동이 심하여 양축농가들이 안정적으로 축산을 영위하기 어렵게 만든다. 따라서 국내 조사료 기반을 확충하여 안정적으로 축산을 할 수 있는 조사료 생산기반 조성이 매우 중요하다.
조기 파종에 비하여 파종시기가 늦어지면 생기는 단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우리나라 중남부지방의 작부체계를 보면 10월 말경에 호밀, 총체보리를 파종하여 이듬해 5월 중순경에 수확하여 5월 말경에 옥수수를 파종하는 농가들이 많다(김 등, 1996; 김 등, 2002). 일반적으로 조기 파종에 비하여 파종시기가 늦어지면 수량이 떨어지고 도복율이 높고, 착수고가 낮아지며 병충해 피해가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Center 및 Jones, 1971; 이 등, 1981; 김 등, 1996). 그리고 재배기간 및 수확시기에 있어서 Aldrich 등(1986) 및 Gordon 등(1968)은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적정 수확 시기는 사일리지를 조제 하였을 때 침출액에 의한 건물손실과 과잉 발효를 줄일 수 있으나 조기수확으로 건물율이 낮으면 사일리지 발효면에서 불리하다고 하였다.
옥수수 재배에 있어서 파종시기는 보편적으로 언제인가? 특히 조사료 및 곡류의 생산이 부족하고 면적이 협소한 우리나라 현실 속에서는 수량성, 이용성 및 TDN 함량이 높고 파종에서 수확까지 기계화를 통하여 노동력을 줄일 수 있는 사일리지용 옥수수가 가장 권장할 만한 작물이다(이 등, 2004; 손 등, 2009). 옥수수 재배에 있어서 파종시기를 보면 4월 하순부터 5월 초순에 이루어지는 것이 보편적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중남부지방의 작부체계를 보면 10월 말경에 호밀, 총체보리를 파종하여 이듬해 5월 중순경에 수확하여 5월 말경에 옥수수를 파종하는 농가들이 많다(김 등, 1996; 김 등,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analytical chemist, Washington, DC., USA. 

  2. Aldrich, S. R., Scott, W. O. and Hoeft, R. G. 1986. Modern corn production. 3rd. Ed. A and L Publication. station. Illinois. 

  3. Bressani, R. and Mertz, E. T. 1958. Studies on corn proteins. IV. protein and amino acid content of different corn varieties. Cereal Chem. 35:227-235. 

  4. Center, C. F. and Jones, G. D. 1971. Planting date and growing season effects and interactions on growth and yield of maize. Agron. J. 63:760-761. 

  5. Folch, J. M., Lee, M. and Sloan-Stanley, G. H.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6:497-509. 

  6. Giardini, A. E. and Gaspari, M. 1976. Effect of maize silage harvest stage on yield plant composition and fermentation losses. Ani. Feed Sci. Tech. 1:313-326. 

  7. Giardini, A., Vecchiettini, M. and Lo Bruno, A. 1976. Energy supplementation of maize silage harvested at different maturity stages. Anim. Feed Sci. Tech. 1:369-379. 

  8. Gordon, C. H., Derbyshire, J. C. and Van Soest, P. J. 1968. Normal and late harvesting of corn for silage. J. Dairy Sci. 51:1258-1263. 

  9. Goring, H. K. and Van Soest, P. J. 1970. Forage fiber analysis. Ag. Handbook. No. 379. ARS. USDA. washington DC. 

  10. Herbek, J. H., Murdock, L. W. and Blevins, R. L. 1986. Tillage system and date of planting effects on yield of corn on soils with restricted drainage. Agron. J. 78:824-826. 

  11. Holland, C., Kezar, W., Kautz, W. P., Lazowski, E. J., Mahanna, W. C. and Reinhart, R. 1990. The pioneer forage manual; A nutritional guide. pioneer Hi-Bred., Des Moines, IA. 

  12. Hunt, C, W., Kezar, W. and Vinande, R. 1992. Yield, chemical composition, and ruminal ferment ability of corn whole plant, ear and stover as affected by hybrid. J. Prod. Agric. 5:286-290. 

  13. Nuttall, W. F. 1985. Effect of N. P and S fertilizers on alfalfa grown on three soil types in Northeastern Saskatchewan. II. Nitrogen. P. and S uptake and concentration in herbage. Agron. J. 77:224-228. 

  14. Papanastasis, V. P. and Koukculakis, P. H. 1988. Effects of fertilizer application to grassland in Greece. Grass and Forage Sci. 43(2): 153-158. 

  15. Reid, R. L., Post, A. J. and Jung, G. A. 1970. Mineral composition of forage. W. Va. Agr. Exp. Sta. Bull. P 589. 

  16. Reith, J. W. S. 1965. Mineral composition of crop. N. A. A. S. Q. Rev. 68:150-156. 

  17. SAS. 2002. SAS user’s guide; Statistics. SAS Inst. Inc. NC. 

  18. Smith, A. E. 1972. A method for quantifying carbohydrate fraction in forage plants. Agric. Food Chem. 20:238-239. 

  19. Swank, J. C., below, F. F., rambert, R. J. and Hagman, R. H. 1982. Interaction of carbon and nitrogen metabolism in the productivity of maize. Plant Physiol. 70:1185-1190. 

  20. Wiersma, D. W., Carter, P. R., Albrecht, K. A. and Coors, J. G. 1993. Kernel milk line stage and corn forage yield, quality and dry matter content. J. Prod. agric. 6:94-99. 

  21. 森本宏. 1968. 飼料學. 養賢堂. 東京. 668-671. 

  22. 原田勇. 1975. 牧草栽培土壤のミホラル含量と乳牛疾病とくにグラスラタニの關係(1). 畜産の硏究. 29:29-34. 

  23. 김문철. 1991. 제주 화산회도 목초지에서 질소 및 가리 시용효과. I. Orchardgrass의 건물수량 및 무기물(N, P, K, Ca, Mg, Na) 함량. 한축지. 33(9):683-691. 

  24. 강봉균, 박양문, 강영길. 2001. 화산회토에서 옥수수와 감자의 시비처리에 따른 양분 흡수 및 용탈. 한작지. 46(3):253-259. 

  25. 김동암, 이광녕, 신동은, 김종덕, 한건준. 1996. 숙기가 다른 사일리지 용 옥수수의 파종기가 사초의 수량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16(4):327-337. 

  26. 김종덕, 권찬호, 김수곤, 박형수, 고한종, 김종관. 2002. 만기파종에서 수확 시 숙기가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사초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동물자원지. 44(2):251-260. 

  27. 박근영, 손영희, 정승근, 최근진, 박성무, 최봉호. 1990. 옥수수 종실의 단백질함량 변이와 아미노산 조성. 한작지. 35(5):413-423. 

  28. 신동은, 김동암, 최홍림, 송관철, 이혁호, 김원호, 정의수. 1999. 사일리지용 옥수수에 대한 액상분뇨 시비연구. 한토비지. 32(1):22-30. 

  29. 손범영, 김정태, 송송이, 백성범, 김정곤, 김종덕. 2009. 파종시기에 따른 국내 육성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수량 및 사료가치의 품종간 비교. 초지조사료지. 29(3):179-186. 

  30. 안두희, 하봉석. 1987. 마치종 옥수수의 품종별 지방조성의 비교. 한국영양식량학회지. 16(4):350-363. 

  31. 이상무, 김병태, 황주환, 전병태, 문상호. 2007. 경운횟수와 파종기 이동이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육특성, 사료가치, 잡초발생 및 가축의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27(3):209-218. 

  32. 이석순, 박근용, 정승근. 1981. 파종기가 종실 및 싸일리지 옥수수의 생육기간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작지. 26:337-343. 

  33. 이종경, 박형수, 김영근, 정종원, 나기준, 김문철, 이성철, 육완방. 2004. 고랭지에서 파종시기 및 수확시기가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육특성,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24(2):115-122. 

  34. 임상훈, 김동암. 1996. 옥수수의 수확시기가 사초의 생산성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16(1):75-80. 

  35. 장윤환, 이창영, 김상철, 이종원, 김강식, 윤재인. 1972. 사료의 아미노산에 관한 연구. I. 옥수수등 농후사료 수종의 아미노산 함량. 한축지. 14(3):224-229. 

  36. 전병태, 문상호, 이상무. 1989. 충부지방에 있어서 국내 및 도입 Silage용 옥수수 생산성과 지역적응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중원연구소. 논문집. 제8집. p 3-142. 

  37. 축산물품질평가원. 2010. 등급정보 3월 호. p 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