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숙성기간에 따른 대봉감의 영양성분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5.36~5.96으로 pH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산도는 0.13~0.06%로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당도는 21.17~21.46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밝기, 적녹도, 황청도 및 비타민 C 함량이 모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숙성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수분, 조단백질 및 조지방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가용성 무질소물과 조회분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조섬유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봉감, 반시 및 연시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무기성분으로는 K(96.31~239.47 mg/100 g), P(49.10~55.93 mg/100 g) Na(15.96~18.13 mg/100 g), Mg(11.14~14.50 mg/100 g) 및 Ca(6.53~14.80 mg/100 g) 순으로 나타났다. 유리당으로는 sucrose, glucose 및 fructose 3종이 분리 동정되었다. 대봉감, 반시 및 연시에서 glucose가 4.82%, 6.73%, 그리고 7.10%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숙성시기별 대봉감, 반시 및 연시 모든 시료에서의 주요 아미노산은 proline, glutamic acid 및 aspartic acid였으며,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acid와 linolenic acid였고, 유기산은 succinic acid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anges in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Daebong-gam (astringent persimmon) fruit were studied during ripening. The pH rose during ripening and total acidity level fell, from pH 5.36 to pH 5.96 and 0.13% to 0.06%, respectively. Total soluble content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Lightness, rednes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남 하동군 일대에 생산되고 있는 대봉감 생산과 유통 과정에 있어서의 품질관리를 위한 산업화 기초자료로 활용함과 동시에 낙과 및 과숙 대봉감의 활용가능성을 모색하고자 숙성기간에 따른 대봉감의 영양 성분 변화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숙성기간에 따른 대봉감의 영양성분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5.

가설 설정

  • 1)The astringent persimmon sample ripened for 0 day at 20℃.
  • 2)Means±SD (n=3).
  • 2)The astringent persimmon sample ripened for 15 day at 20℃.
  • 3)The astringent persimmon sample ripened for 30 day at 2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나무의 주요 원산지는 어디인가?  감나무(Diospyros kaki)는 아열대로부터 온대에 이르기까지 넓은 지역에 분포하고 있고, 우리나라 전역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주요 원산지는 한국, 중국 및 일본에 집중되어 있다(1). 감은 우리나라의 기후 풍토에 적합하여 중, 북부 및 일부 산간 지방을 제외하고 전국 어디서나 널리 재배되어 왔으며, 다른 과실에 비하여 시비나 농약의 사용이 적고 기호성이 높아서 매년 생산이 증가 추세에 있어 중요성이 매우 큰 과수가 되고 있다(2).
단감의 종류로는 무엇이 있는가? 감은 우리나라의 기후 풍토에 적합하여 중, 북부 및 일부 산간 지방을 제외하고 전국 어디서나 널리 재배되어 왔으며, 다른 과실에 비하여 시비나 농약의 사용이 적고 기호성이 높아서 매년 생산이 증가 추세에 있어 중요성이 매우 큰 과수가 되고 있다(2). 감의 종류는 단감과 떫은 감의 2종류로 크게 분류하며, 단감의 종류로는 부유시, 차란시, 선사환, 부사시, 평무핵, 의문시 등이 있고, 떫은 감으로는 고종시, 반시, 사곡시, 분시, 원하시 등이 있다(3). 그중에 경남 하동군과 전남 장성군에서 많이 재배하고 있는 품종은 갑주백목(甲州百目, Diospyros kaki cv.
대부분의 떫은 감이 다른 과실에 비해 이용성이 제한되고 가공 제품으로 제조, 연구되는 이유는? 그리고 암 예방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비타민 A, C, D 및 엽록소를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으며, 그 외 비타민 B1, 판토텐산, 엽산의 함유량도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건강식품으로 주목받고 있다(5). 그러나 다른 청과물과 마찬가지로 일시에 출하되기 때문에 수확 후 일수가 경과하면 생감이나 탈삽처리한 감이 모두 호흡 및 증산작용으로 인한 품질의 저하가 일어남과 동시에 숙도가 진전되어 연시로 되기 때문에 장기 저장이 어렵고 유통 및 저장 중의 품질 저하에 대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6). 이러한 특징으로 대부분의 떫은 감이 다른 과실에 비해 이용성이 제한되어 왔으며, 일부가 옛날부터 일반 농가에서 제조되어온 건시(곶감) 및 발효제품으로서 감식초의 제조에 이용되고 있고, 다양한 가공제품으로의 개발 연구가 현재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7,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Lee, S.W., Lee, O.S., Jang, S.Y., Jeong, Y.J. and Kwon, J.H. (2006) Monitoring of alcohol fermentation condition for 'Cheongdobansi' astringent persimmon (Diospyros kaki T.). Korean J. Food Preserv., 13, 490-494 

  2. Rhee, C.H. and Park, H.D. (1997)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lcohol fermentation yeasts from persimmon.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5, 266-270 

  3. Hong, J.S. and Chae, K.Y. (2005)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stringent persimmon concentrate by boiling.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709-716 

  4. Jo, Y.H., Park, J.W., Lee, J.M., Ahn, G.H., Park, H.R. and Lee, S.C. (2010)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prepared from different parts of jangseong daebong persimmon (Diospyros kaki cv. Hachiy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500-505 

  5. Choi, J.H., Lee, E.Y., Kim, G.J., Park, I.H., Kim, J.S., Choi, G.B., Jung, S.G. and Ham, Y.S. (2006)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Ulsan sweet persimmon peel flesh according to cultivar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 309-314 

  6. Byun, G.I., Kwon, Y.J. and Park, M.L. (2008) Development of granular tea by using astringent persimmon and persimmon leaves. Korean J. Culinary Res., 14, 273-285 

  7. Lim, B.S., Kim, Y.B., Lee, C.S. and Choi, S.T. (1995)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astringent persimmon. Korean J. Hort. Sci. Technol. Supplement, 3, 228-229 

  8. Yang, H.S. and Lee, Y.C. (2000)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ft persimmon and puree during frozen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335-340 

  9. Moon, K.D., Kim, J.K., Kim, J.H. and Oh, S.L. (1995) Studies on valuable components and processing of persimmon flesh and peel. Korean J. Dietary Culture, 10, 321-326 

  10. Im, J.S. and Lee, M.H. (2007) Physicochemical compositions of raw and dried Wolha persimmons. Korean J. Food Preserv., 14, 611-616 

  11. Jeong, C.H., Lee, W.J., Bae, S.H. and Choi, S.G. (2007) 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Korean gold kiwifrui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859-865 

  12.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 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13. Jeong, C.H., Kim, J.H. and Shim, K.H. (2006) Chemical components of yellow and red on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708-712 

  14. Choi, J.H., Jang, J.G., Park, K.D., Park, M.H. and Oh, S.K. (1981)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free sugars in ginseng and its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13, 107-113 

  15. Jeong, C.H., Bae, Y.I. and Shim, K.H. (2000)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ovenia dulcis Thunb. leaf tea.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7, 117-123 

  16. Metcalf, L.D., Schmits, A.A. and Pelka, J.R. (1966) Rapid preparation of fatty acid ester from lipids for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Anal. Chem., 38, 514-515 

  17. No, H.K. and Lee, M.H. (1998) Removal of astringency in persimmons by chitos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648-652 

  18. Yang, Y.J. (1996)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carotenoid pigments in peel of "Fuyu" sweet persimmon fruit during cold and CA storage. J. Korean Hort. Sci., 37, 787-790 

  19. Jeong, H.S., Chung, H.S., Lee, J.B., Seong, J.H. and Choi, J.U. (2001) Effects of storage conditions on quality change after storage of deastringencied persimmon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8, 1-8 

  20. Shin, D.J., Kim, K.H., Sung, T.S., Kim, J.H., Son, G.M. and Hwang, Y.I. (2000)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repersimmon. Korean J. Food Nutr., 13, 440-44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