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디 착즙액을 이용한 와인발효 특성
Characteristics of Wine Fermented from Mulberry Juice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7 no.4, 2010년, pp.563 - 570  

김강일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조리영양학부) ,  김미림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조리영양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여름철에 집중 생산되는 오디를 이용하여 오디와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발효 종료시점 오디과즙의 pH는 3.2~3.6, 총산 함량은 0.40~0.53%, 당도는 발효 6일째 $9.5{\sim}14.5^{\circ}brix$로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발효 36일 이후에는 $3^{\circ}brix$ 부근에서 더 이상의 당 소모는 없었다. 알콜 함량은 발효 6일째 급격히 증가하여 $16^{\circ}C$$18^{\circ}C$는 4.5%, $20^{\circ}C$는 6.5%, $25^{\circ}C$는 8.0%로 배양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여 48일째 10.5~11.5%로 측정되었다. 오디와인은 citric acid, malic acid, oxalic acid가 검출되었으며, citric acid와 oxalic acid는 발효 후 감소하였으며, malic acid는 증가하였다. 당의 종류로는 fructose, glucose, maltose, sucrose가 확인되었으며, 오디 발효에서 가장 많이 이용된 당은 glucose와 maltose 이었다. 알콜 생성량이 가장 높은 조건은 $20^{\circ}C$$25^{\circ}C$이었으며, 두 온도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전자공여능은 40%(v/v) 농도에서 오디와인은 90% 이상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은 100%(v/v) 농도에서 오디과즙, 오디와인이 각각 80.1% 및 72.1%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100%(v/v) 농도에서 오디과즙과 오디와인은 각각 86.2%, 85.2%의 소거능을 보였다. 오디와인 보다 오디과즙이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발효 후에 기능성이 증가하지는 않았지만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됨을 볼 수 있었다. 관능평가에서 전체적인 밸런스는 오디와인이 5.00로 보통 이상으로 평가되어 오디를 이용한 발효주의 산업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sought to ferment wine from mulberry (Morus alba) juice. The soluble solid content was $9.5{\sim}14.5^{\circ}brix$ on day 6 of fermentation, and gradually fell later; sugar was not further consumed when $3^{\circ}brix$ was attained. Alcohol content rose dramatically on day 6...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여름철에 생산되는 오디는 저장기술의 발달로 냉동보관 등의 방법으로 저장하였다가 판매하고 있으나 주로 생과로 판매될 뿐 상품성을 높이기 위한 가공화 노력이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오디를 이용하여 과실의 소비촉진과 함께 소득제고의 활로를 모색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오디와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여름철에 집중 생산되는 오디를 이용하여 오디와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발효 종료시점 오디과즙의 pH는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디의 당도와 산도는? 오디(Morus alba, Mulberry)는 뽕나무과(Moraceae) 뽕나무속(Morous)에 속하는 낙엽 활엽교목의 열매로 완숙오디는 다량의 과당과 포도당을 함유하고 있으며, 구연산, 사과산 등의 다양한 유기산을 지니고 있다(11). 당도는 13 °brix, 산도는 0.08% 정도로 좋은 식미감을 가지고 있으며, 다량의 안토시아닌 색소를 함유하고 있어 색깔도 우수하다(5). 동의보감에서의 오디는 성질은 차고 맛은 달며 독이 없으며, 소갈증을 낫게 하고 오장을 편안하게 한다.
오디에 대한 기능성 연구로 진행된 것은? 또한, 오디를 오래 먹으면 백발이 검게 변하고 노화를 방지한다고 기록되어 있다(12). 현재 오디에 대한 기능성 연구로는 오디 추출물의 성분분석 및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13), 용매에 따른 뽕잎과 오디의 생리활성 효과(14), 오디즙 및 오디박 분말이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의 혈당 및 혈청지질 강하와 적혈구 항산화 효소계에 미치는 영향(15), 오디 추출물의 신경세포 보호활성 및 항균활성(16), 오디로부터 분리한 페놀성 물질의 항산화 효과(17)에 대한 연구보고가 있으며, 오디 가공 연구로는 Kim 등의 오디 와인의 최적 발효조건 및 발효 특성(6)과 오디 분말을 이용한 젤리제조(18), 오디 분말차(19), 요구르트(20), 녹말오디다식(21), 오디과실주스 제조(22)등이 보고되었다. 오디를 이용한 연구는 많으나 발효주에 관한 연구는 미비하다.
오디란? 오디(Morus alba, Mulberry)는 뽕나무과(Moraceae) 뽕나무속(Morous)에 속하는 낙엽 활엽교목의 열매로 완숙오디는 다량의 과당과 포도당을 함유하고 있으며, 구연산, 사과산 등의 다양한 유기산을 지니고 있다(11). 당도는 13 °brix, 산도는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Jeon, H.M. (2009) A study on wine selection attributes and behavioral intention by segmentation based on purchase and drinking motive -Focused on wine retail shop customers in seoul. J. Foodservice Management Soc. Korea, 12, 29-50 

  2. Cho, S.H. and Choi, H.J. (2009) Research on the differences of selection attribute according to the involvement of wine consumers. Korean J. Culinary Res. 15, 240-253 

  3. Kim, Y.K. and Kim, J.Y. (2009) A study on the lifestyles of wine consumers in relationship with wine selections attributes, values and satifaction. Korean Acad. Soc. Tourism Management, 23, 239-258 

  4. Bae, S.M., Park, K.J., Kim, J.M, Shin, D.J., Hwang, Y.I and Lee, S.C. (2002)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weet perslmmon wine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5, 66-70 

  5. Jung, G.T., Ju, I.O. and Choi, D.G.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and manufacture of mulberry wine. Korean J. Food Preserv., 12, 90-94 

  6. Kim, Y.S., Jeong, D.Y. and Shin, D.H. (2008) Optimum fermentation conditions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ulberry (Morus alba)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1-7 

  7. Kang, B.T., Yoon, O.H., Lee, J.W. and Kim, S.H. (2009) Qualitative properties of wild grape wine having different aging periods. Korean J. Food Nutr. 22, 548-553 

  8. Jung, G.T., Ju, I.O., Ryu, J., Choi, J.S. and Choi, Y.G. (2003) Studies on manufacture of wine using apricot. Korean J. Food Preserv., 10, 493-497 

  9. Song, J.H., Chun, J.P., Na, K.C., Moon, J.H., Kim, W.S. and Lee, J.S. (2009) Optimal fermentation condition for development of high quality pear wine and characteristics of pear wine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7, 213-218 

  10. Oh, K.K. (2004) Wine story, Asian Congress on Biotechnol., 11, 60-63 

  11. Kim, H.R., Kwon, Y.H., Kim, H.B. and Ahn, B.H. (2006) Characteristics of mulberry fruit and wine with varieties. J. Korean Soc. Appl. Bioi. Chem., 49, 209-214 

  12. Dongeuhak Institute, Dongeubogam (Oriental Medicine, orginal author; Hur, J.), (1994) Ryo-gang Pub. Co., Seoul, Korea. p.2803 

  13. Lee, S.K., Lee, H.J., Kang, H.Y., Choi, D.H., Jo, H.J. and Lee, T.S. (2009) Studies on the chemical constituents biological activities of mulberry extracts. Korean J. Wood Sci. Technol., 37, 105-113 

  14. Ju, M.J., Kwon, J.H. and Kim, H.K. (2009) Physiological activities of mulberry leaf and fruit extracts with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Korean J. Food Preserv., 16, 442-448 

  15. Kwon, E.H., Jang, H.S., Kim, S.W., Choi, S.W., Rhee, S.J. and Cho, S.H. (2007) Effects of mulberry juice and cake powders on blood glucose and lipid lowering and erythrocytic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Nutr. Soc., 40, 199-210 

  16. Kim, H.B., Kim, S.Y., Lee, H.Y., Kim, S.L and Kang, S.W. (2005) Protective Effect against Neuronal Cell an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bacteria of mulberry fruit extracts. Korean Soc. Crop Sci., 50, 220-223 

  17. Cha W.S., Shin, H.R., Park, J.H., Oh, S.L., Lee, W.Y., Chun, S.S., Choo, J.W. and Cho, Y.J. (2004) Antioxidant activity of phenol compounds from mulberrry fruits. Korean J. Food Preserv., 11, 383-387 

  18. Kim, A.J., Yuh, C.S., Bang, I.S., Park, H.Y. and Lee, G.S. (2007) An Investigation the prepara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oddi jelly using mulberry fruit powder. Korean J. Soc. Food Nutr., 20, 27-33 

  19. Cho, M.Z. and Kim, A.J. (2007) The manufacturing and physiological evaluation of mulberry fruit tea. Korean J. Soc. Food Nutr., 20, 173-178 

  20. Suh, H.J., Kim, Y.S., Kim, J.M. and Lee, H. (2006) Effect of mulberry extract on the growth of yogurt starter culture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6, 144-147 

  21. Lee, J.H., Woo, K.J., Choi, W.S., Kim, A.J. and Kim, M.W.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arch Oddi Dasik Added with Mulberry Fruit Juic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1, 629-636 

  22. Kim, I.S., Lee, J.Y., Lee, S.J., Yun, G.S. and Choi, S.W. (2004) Preparation of minimally processed mulberry (Morus spp.) juic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21-328 

  23. A.O.A.C. (200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7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4. National tax service technical service institute (2000) 12-5 Fruit wine jujeongbun. http://www.i.nts.go.kr 

  25. Park, C.S. and Kim, M.L. (2010)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Watermelon wine. Korean J. Food Preserv. 17(4), 549-556 

  26. Gancedo, M.C. and Luh, B.S. (1986) HPLC analysis of organic acids and sugar in tomato juice. J. Food Sci., 51, 571-580 

  27. Cristina, J.K. and Brandes, W.B. (1974) Determination of sucrose, glucose and fructose by liquid chromatography. J. Agric. Food Chem., 22, 709-715 

  28.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24 

  29. Marklund, S. and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9-474 

  30. Kato, H., Lee, Cheon, N.V., Kim, S.B. and Hayase, F. (1987) Inhibition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s. Agric. Biol. Chem., 51, 1333-1338 

  31. Lee, H.W., Shin, D.H. and Lee, W.C. (1998) Morpho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mulberry (Morus) fruit with varieties. Korean J. Seric. Sci., 40, 1-7 

  32. Koh, G.C. (1995) Production and utilization technology of mulberry fruits(II). GOVP1199511593.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