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 과학 최상위권 학생의 과학 탐구 능력 문제 해결 과정에서의 성별 특성
The Highest Achievers' Gender Characteristics in Elementary Science Process Skills of Problem Solving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0 no.2, 2010년, pp.527 - 546  

박병태 (서울대치초등학교)

초록

과학 최상위권 남녀 학생 14명(남 7명, 여 7명)을 최종 선정하여 과학 탐구 문제 해결과정에 따른 성별 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남학생이 기초 탐구 능력에서 문제를 더 쉽게 해결하였고 통합 탐구 능력에서는 여학생이 문제를 더 쉽게 해결하였다. 성공하는 경우, 남학생은 기억에 의한 계획 유형과 문두와 답지의 내용을 모두 확실히 아는 풀이 유형 및 답지 중 확실히 알고 있는 유형으로 문제를 푸는 경향이 높았다. 여학생의 경우 문두와 답지를 분석하거나 표, 그래프, 그림을 분석하여 성공하는 경향이 높았다.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다양한 방법으로 문제 해결을 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실패하는 경우, 남학생은 즉시 풀이하면서 충분히 이해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답을 구하거나 잘못된 기억으로 해결하다 실패를 하는 경향이 높고 여학생은 잘 못 기억하거나 표, 그림, 그래프를 잘 못 분석한 풀이 유형이 많았다. 이 결과는 과학 탐구 능력 문제 해결에 대한 남녀 학생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고 프로그램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research results, male schoolchildren were found to solve problems more easily in the area of basic process skills while female schoolchildren were found to solve problems in the area of integrated process skills. Schoolboys showed the high tendency to solve problems in a planning pattern by mem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학 탐구 능력 문제 해결에 있어서 문제 해결 과정에서 최상위권 본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어떤 특성이 있으며 특히 문제 해결 과정(이해, 계획, 풀이, 검토 단계)에서 남녀에 따라 어떤 특성이 있는지를 파악하여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 본 연구는 과학 최상위권 학생들이 과학 탐구 능력 문제 풀이 과정에 따른 성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6학년 학생(남 7, 여 7)들을 대상으로 문제 풀이 과정을 발성 사고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과학 문제를 해결하는 문제해결에 대한 연구들(Camacho & Good, 1989; 김은진, 2006; 김찬종 1998; 노태희와 전경문, 1997; 박학규과 권재술, 1991; 박학규와 이용현, 1993; 이혜주, 2006; 전경문, 1999; 홍미영과 박윤배, 1995; 홍순원과 이홍섭, 2008)은 주로 문제 해결 단계와 문제 해결 시간을 분석한 연구와 전문가와 초보자들이 가지는 문제 해결 과정에서의 차이를 비교한 연구, 문제 해결 전략을 사용하여 학생들의 문제 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 방법의 효과를 분석한 연구 등 주로 중, 고등학생이나 일반학생들을 대상으로 한연구들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 중 과학 최상위권 학생들의 과학탐구 문제 해결 과정에서 성공하는 경우와 실패하는 경우에 따른 문제 해결 시간, 문제 해결 단계에 따라 어떤 특성이 있는지에 대한 논의를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 최상위권 남녀 학생 14명(남 7명, 여 7명)을 최종 선정하여 과학 탐구 문제 해결과정에 따른 성별 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 한 결과는? 과학 최상위권 남녀 학생 14명(남 7명, 여 7명)을 최종 선정하여 과학 탐구 문제 해결과정에 따른 성별 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남학생이 기초 탐구 능력에서 문제를 더 쉽게 해결하였고 통합 탐구 능력에서는 여학생이 문제를 더 쉽게 해결하였다. 성공하는 경우, 남학생은 기억에 의한 계획 유형과 문두와 답지의 내용을 모두 확실히 아는 풀이 유형 및 답지 중 확실히 알고 있는 유형으로 문제를 푸는 경향이 높았다. 여학생의 경우 문두와 답지를 분석하거나 표, 그래프, 그림을 분석하여 성공하는 경향이 높았다.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다양한 방법으로 문제 해결을 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실패하는 경우, 남학생은 즉시 풀이하면서 충분히 이해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답을 구하거나 잘못된 기억으로 해결하다 실패를 하는 경향이 높고 여학생은 잘 못 기억하거나 표, 그림, 그래프를 잘 못 분석한 풀이 유형이 많았다. 이 결과는 과학 탐구 능력 문제 해결에 대한 남녀 학생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고 프로그램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Hayes가 말한 문제 해결이란 무엇인가? "라고 하였다. 또한 문제 해결을 “문제를 정의하고 관련된 요소를 이해하며, 사전 지식과 해결 과정을 탐색하고 최종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 전략과 개념을 조작하는 인지적 과정으로 고차원적인 사고 과정”이라고 하였다(Hayes, (1989).
Johnstone가 말한 문제해결에 대한 정의는? 문제 해결에 대한 정의는 학자들 마다 차이가 있다. Johnstone(1993)은 “문제해결은 문제 조건과 관련된 사실, 개념, 절차 지식, 그리고 하나 이상의 수리적 조작 등이 요구되는 복잡한 과정이다."라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권재술, 이성왕 (1998). 물리 문제 해결 실패자와 성공자의 문제 해결 사고 과정에 관한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8(1), 43-56. 

  2. 김용권, 이총영, 이석희 (2004). 과학놀이 활동이 아동들의 과학적 태도와 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23(1), 17-26. 

  3. 김유정, 최길순, 노태희 (2009). 고등학생들의 과학 그래프 작성 및 해석 과정에서 나타난 오류.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8), 978-989. 

  4. 김은진 (2006). 과학 문제 풀이 과정에서 나타난 초등 과학 영재들의 사고 특성 탐색. 초등과학교육, 25(2), 179-190. 

  5. 김찬종 (1998). 초등 과학 우수 학생의 일상적 맥락의 과학 문제 해결 과정: 서답형 문항에 대한 응답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7(1) 75-87. 

  6. 김태선, 배덕진, 김범기 (2002). 중학생의 그래프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 및 과학 탐구 능력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725-739. 

  7. 노태희, 전경문 (1997). 물질의 분자 수준을 시각적으로 강조하는 4단계 문제 해결식 수업이 학생의 개념과 문제 해결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3), 313-321. 

  8. 박학규, 권재술 (1991). 물리 문제 해결에 관한 최근 연구의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1(2), 67-77. 

  9. 박학규, 이용현 (1993). 물리 문제 해결 과정에서 중학생들의 사고 과정의 특성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3). 49-59. 

  10. 배희숙, 전영석, 홍준희 (2009). 과학 탐구 능력 신장을 위한 과학 글쓰기 교수?학습 전략 개발. 초등과학교육, 28(2), 178-186. 

  11. 신동희, 박정, 노국향 (2002). OECD 주관 학생 성취도 국제비교연구(PISA 2000) 지구 환경 과학 영역 성취도에서의 성 차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40-53. 

  12. 이성왕 (1987). 물리문제해결 과정에서의 전문가와 초심자의 사고과정의 비교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3. 이현래, 김범기 (2005). 중학생의 학습양식 유형에 따른 과학 탐구 능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5), 541-546. 

  14. 이혜주 (2006). 초등학교 아동의 과학적 문제 발견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에서의 남녀 차이. 초등과학교육, 25(4), 419-429. 

  15. 전경문 (1999). 문제 해결 전략과 해결자?청취자 활동; 화학 수업에서의 교수 효과 및 소집단 문제 해결 과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16. 정경아, 최윤정, 윤초희, 이미순 (2006). 영재교육 성별 실태 및 영재 여학생 육성 방안. 한국여성개발원, 2006 연구보고서-10. 

  17. 정미라, 이기영, 김찬종 (2004).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선다형 문항 풀이 과정에서의 오류분석. 초등과학교육, 23(4), 332-343. 

  18. 조희영, 최경희 (2000). 과학 교수-학습과 수행평가. 서울: 교육과학사. 

  19. 홍미영, 박윤배 (1994). 대학생들의 기체의 성질에 대한 문제 해결 과정의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2), 143-158. 

  20. 홍미영, 박윤배 (1995). 문제의 특성에 다른 대학생들의 화학 문제 해결 과정의 차이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1), 80-91. 

  21. 홍순원, 이용섭 (2008). 창의적 문제 해결 학습이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27(3), 233-243 

  22. Abruscato, J. (2000). Teaching children science; A discovery approach. 5th ed. Boston, MA:Allyn and Bacon. 

  23. Beller, M., & Gafni, N. (1996). The 1991 Inter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progress in mathematics and science: The gender differences perspectiv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8, 365-377. 

  24. Camacho, M., & Good, R. (1989). Problem solving and chemical equilibrium: Suddessful versus unsuccessful performa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6(3), 251-272. 

  25. Hayes, J. R. (1989). The complete problem solver. (2nd ed.). Hillsdale, MI: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6. Johnstone, A. H. (1993). The development of chemistry teaching.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70, 701-708. 

  27. Lyle, K. S., & Robinson, W. R. (2001). Teaching science problem solving: An overview of experimental work. Journal of Chemical, 78(9), 1162-1163. 

  28. Mason, D. S., Shell, D. F., & Crawley, F. E. (1997). Difference in problem solving by nonscience majors in introductory chemistry on paired algorythmic-conceptual problem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4(9), 905-924. 

  29. Martin, M. O., Mullis, I. V. S., Gonzales, E. J., Gregory, K. D., Smith, T. A., Chrostowski, S. J., Garden, R. A., & O'Connor, K. M. (2000). TIMSS 1999: International science report. International Study Center Boston College Lynch School of Education, 11, 331-351. 

  30. Smith, M, U,. & Good, R, (1984). Problem solving and classical genetics: Successful versus unsuccessful performa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1(9), 895-912. 

  31. Taconis, R., Ferguson-Hessler, M. G. M., & Broekkamp, H. (2001). Teaching science problem solving: An overview of experimental work.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8(4), 442-46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