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찰추천 과정에서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영재학생 판별기준과 추천요인 분석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dentification Criteria and Nominations of Gifted Students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3 no.5, 2013년, pp.771 - 791  

윤초희 (동국대학교) ,  박희찬 (동국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초등학교 교사가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영재판별의 기준은 무엇일까? 그리고 실제로 영재교육 대상자를 관찰/추천할 때 고려하는 학생의 행동특성은 무엇일까? 이러한 판별 및 추천기준은 교사의 영재교육관련 경험이나 인식수준에 따라 달라질까? 이 연구는 이러한 질문에 대한 해답을 구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를 위해 서울시 11개 교육지원청 소속 초등학교에서 3~6학년을 담당하는 511명의 교사들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에 참여한 전체 초등학교 교사들은 영재판별 기준으로 과제집착력, 창의성, 호기심, 특수영역의 재능 순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한 반면, 수상실적, 전체학업성적, 리더십, 일반지능의 순으로 중요하지 않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교육관련 경험이 있거나 인식수준이 높은 교사들은 그렇지 않은 교사들보다 호기심, 과제집착력 등의 동기적 특성과 창의성을 영재판별의 기준으로 더 중요하게 간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판별기준의 중요도 인식과 실제 학생추천 시 고려도 간의 차이검증 결과, 호기심, 과제집착력 등의 동기적 특성과 특수재능, 창의성 등의 인지적 특성은 영재판별 기준으로 중요하게 인식하는 반면, 실제 추천 시 고려한 정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반면, 리더십, 학습능력, 학업성취도, 수상실적은 중요도보다 고려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판별기준의 중요도-고려도 간 괴리는 영재교육관련 경험자와 무경험자 모두 유사한 패턴을 보여주었지만, 전문성이 부족한 무경험자에게서 더 크게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교사들로 하여금 영재들이 가질 수 있는 다양한 행동특성 프로파일에 대한 인식을 강화하고 상대적으로 관찰이 용이한 특성(학업성취 등)에 대한 과잉 선호를 경계하도록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at are the identification criteria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efer?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that teachers consider when nominating them to gifted programs? Will those criteria of identification/nomination differ as to teacher experiences related to gifted education or teacher i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재판별은 무엇인가? 영재판별은 영재교육의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핵심적인 절차이자 영재교육 분야 전문가들이 가장 큰 관심사로 지목하는 쟁점사항이기도 하다(Pfeiffer, 2003). Birch(1984)는 ‘바람직하지도 필요하지도 않은 판별절차를 계속 사용할 필요가 있는가?’라는 다소 도발적인질문을 제기하면서, 종전의 판별-배치 모형에서 탈피하여 교육과정 내에서 평가와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통합모형으로의 전환을 주장하였다.
교사 관찰추천은 어떤 방법으로 권장되는가? 그러나 이러한 정부의 의도와는 별도로 교사 관찰추천은 서구에서 영재판별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으로 권장되고 있다. 일부 연구자에 의해 교사추천의 부정적인 측면이 제기되기도 했지만(Guskin, Peng, & Simon, 1992; Pegnato & Birch, 1959; Siegle & Powell, 2004 참조),많은 연구들은 교사추천의 효과성을 경험적으로 보여주고 있다(Gagné, 1994; Hoge &Cudmore, 1986; Hunsaker, Finley, & Frank, 1997; Neber, 2004).
교사추천이 선발시험에 비하여 가지는 장점은 무엇이 있는가? 이러한 교사추천이 선발시험에 비하여 가지는 장점은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될 수 있다. 우선, 교사 관찰추천은 교사가 학생의 전반적인 학교생활과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이들의 인지적 특성뿐만 아니라 정서 ․ 사회적 및 동기적 특성들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검사로부터 오는 스트레스나 부담감, 낮은 성취동기로 인해 검사상황에서 발현되지 못했던 영재성을 포착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종전의 선발절차가 학부모와 학생의 관심에서 시작하여 선발기관의 선발로 종료되었다면, 관찰추천제에서는 전문성을 가진 교사가 주도적으로 학생들을 관찰하고 판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므로 새로운 선발체제의 도입과 더불어 그동안 어떠한 이유에서건 영재교육에서 소외되어 왔던 다양한 집단과 지역의 영재들을 가능한 한 많이 발굴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고민석, 박병태 (2011). 영재관찰추천 과정에서 담임교사의 영재교육전문성 인식수준에 따른 영재판별의 차이. 영재교육연구, 21(2), 427-447. 

  2. 류지영 (2010). 관찰 추천을 통한 영재판별에 대한 영재담당교사들의 인식과 태도. 한국교원교육연구, 27(2), 159-178. 

  3. 박민정, 전동렬 (2008). 과학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방법으로서 교사 추천제 분석: 학생의 과학적 태도, 탐구력, 사고력, 문제해결력, 창의성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2), 111-119. 

  4. 정경아, 정해숙, 권오남 (2004). 중등학생의 수학에서의 성별 격차 및 해소 방안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5. 조선미 (2011). 영재교육대상자 교사추천과정에서의 영재행동평정척도의 활용. 영재와 영재교육, 10(2), 5-30. 

  6. 하주현 (2003). 창의적 사고와 문제발견 사고의 연령에 따른 차이. 교육심리연구, 17(1), 315-331. 

  7. Benbow, C. P., Lubinski, D., Shea, D. L., & Eftekhari-Sanjani, H. (2000). Sex differences in mathematical reasoning ability at age 13: Their status 20 years later. Psychological Sciences, 11(6), 474-480. 

  8. Birch, J. W. (1984). Is any identification procedure necessary? Gifted Child Quarterly, 28, 157-161. 

  9. Borland, J. H. (1978). Teacher identification of the gifted: A new look.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2, 22-32. 

  10. Borland, J. H., & Wright, L. (1994). Identifying young, potential gifted, economically disadvantaged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38, 164-171. 

  11. Buss, T. V., Dahme, G., Wagner, H., & Wieczerkowski, W. (1986). Factors underlying teacher perceptions of highly gifted students: A cross-cultural study.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46, 903-915. 

  12. Copenhaver, R. W., & McIntyre, D. J. (1992). Teachers' perceptions of gifted students. Roeper Review, 14(3), 151-153. 

  13. Davis, G., & Rimm, S. (1985).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Inc. 

  14. Endepohls-Ulpe, M., & Ruf, H. (2005). Primary school teachers' criteria for the identification of gifted pupils. High Ability Studies, 16(2), 219-228. 

  15. Feldhusen, J. F., & Goh, B. E. (1995). Assessing and accessing creativity: An integrative review of theory, research, and development. Creativity Research Journal, 8, 231-247. 

  16. Fox, L. H., Benbow, C. P., & Perkins, S. (1983). An accelerated mathematics program for girls: A longitudinal evaluation. In C. P. Benbow & J. Stanley (Eds.), Academic precocity: Aspects of its development (pp. 113-131). Baltimore, M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7. Gagne, F. (1993). Sex differences in the aptitude and talents of children as judged by peers and teachers. Gifted Child Quarterly, 37, 69-77. 

  18. Gagne, F. (1994). Are teachers really poor detectors? Comments on Pegnato and Birch's (1959) study of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various identification techniques. Gifted Child Quarterly, 38, 124-126. 

  19. Gainous, E. C. (1985). Effects of the training program, Identification of the Potentially Gifted, on teachers' accuracy in the identification of intellectually gifted children.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46, 1140A. 

  20. Gear, G. H. (1978). Effects of training on teachers' accuracy in the identification of gifted children. Gifted Child Quarterly, 22, 90-97. 

  21. Guskin, S. L., Peng, C. J., & Majd-Jabbari, M. (1988). Teachers' perceptions of giftedness. Gifted Child Quarterly, 32, 216-221. 

  22. Guskin, S. L., Peng, C. J., & Simon, M. (1992). Do teachers react to "multiple intelligences"? Effects of teachers' stereotypes on judgments and expectancies for students with diverse patterns of giftedness/talent. Gifted Child Quarterly, 36, 78-84. 

  23. Hany, E. A. (1995). Teachers' cognitive processes of identifying gifted students. In M. K. Katzko & F. J. Monks (Eds.), Nurturing talent: Individual needs and social ability (pp. 184-198). Assen, The Netherlands: Van Gorcum. 

  24. Heller, K. A., Perleth, C., & Lim, T. K. (2005). The Munich model of giftedness designed to identify and promote gifted students. In R. J. Sternberg & J. E. Davidson (Eds.), Conceptions of giftedness (pp. 172-197).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Hoge, R. D., & Cudmore, L. (1986). The use of teacher-judgment measures in the identification of gifted pupil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 181-196. 

  26. Hunsaker, S. L. (1994). Creativity as a characteristic of giftedness: Teachers see it, then don't. Roeper Review, 17(1), 11-15. 

  27. Hunsaker, S. L., Finley, V. S., & Frank, E. L. (1997). An analysis of teacher nominations and student performance in gifted programs. Gifted Child Quarterly, 41, 19-24. 

  28. Johnsen, S. K. (2008). Identifying gifted and talented learners. In F. A. Karnes & K. R. Stephens (Eds.), Achieving excellence: Educating the gifted and talented (pp. 135-153). NJ: Pearson Merrill Prentice Hall. 

  29. Karnes, F. A., & Koch, S. F. (1985). State definitions of the gifted and talented: An update and analysis.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8(4), 285-306. 

  30. Marland, S. P. (1971). Education of gifted and talented. Vol. 1. Report to the Congress of the United States by the U.S. Commissioner of Education. Washington, DC: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31. McBee, M. T. (2006). A descriptive analysis of referral sources for gifted identification screening by race and socioeconomic status. Journal of Secondary Gifted Education, 17, 103-111. 

  32. McCoach, D. B., & Siegle, D. (2007). What predicts teachers' attitudes toward the gifted? Gifted Child Quarterly, 51, 246-255. 

  33. Neber, J. (2004). Teacher identification of students for gifted programs: Nominations to a summer school for highly-gifted students. Psychology Science, 46, 348-362. 

  34. Neumeister, K. L. S., Adams, C. M., Pierce, R. L., Cassady, J. C., & Dixon, F. A. (2007). Fourth-grade teachers' perceptions of giftedness: Implications for identifying and serving diverse gifted students.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30(4), 479-499. 

  35. Pegnato, C. W., & Birch, J. W. (1959). Locating gifted children in junior high schools: A comparison of methods. Exceptional Children, 25, 300-304. 

  36. Pfeiffer, S. I. (2003).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students who are gifted: What the experts say. Gifted Child Quarterly, 47, 161-169. 

  37. Pfeiffer, S. I., & Jarosewich, I. (2003). Gifted Rating Scales. San Antonio, TX: The Psychological Corporation. 

  38. Renzulli, J. S. (1978). What makes gifedness? Reexamining a definition. Phi Delta Kappan, 60, 180-184. 

  39. Renzulli, J. S., Smith, L. H., White, A. J., Callahan, C. M., Hartman, R. K., & Westberg, K. L. (1997). Scales for Rat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40. Schack, G. D., & Starko, A. J. (1990). Identification of gifted students: An analysis of criteria preferred by preservice teachers, classroom teachers, and teachers of the gifted.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13(4), 346-363. 

  41. Siegle, D., & Powell, T. (2004). Exploring teacher biases when nominating students for gifted programs. Gifted Child Quarterly, 48, 21-29. 

  42. Siegle, D., Moroe, M., Mann, R. L., & Wilson, H. E. (2010). Factors that influence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nominations of students for gifted and talented programs.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33(3), 337-360. 

  43. Ziegler, A., & Heller, K. A. (2000). Conceptions of giftedness from a meta-theoretical perspective. In K. A. Heller, F. J. Monks, R. J. Sternberg & R. F. Subotnik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giftedness and talent (pp. 3-21). Amsterdam: Elsevier.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