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초등 영재아의 학습스타일과 학습자 특성 간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Style of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0 no.2, 2010년, pp.571 - 594  

박경빈 (경원대학교) ,  정가영 (삼리초등학교)

초록

본 연구는 설문지와 학습스타일 검사도구를 활용하여 학습상황 속에서 영재아의 선호하는 학습스타일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학습자 특성에 따른 학습스타일과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학부모, 교사들에게 다양한 분야의 재능을 가진 영재들을 이해하여 영재아들이 잠재적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구현하는데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영재학생이 선호하는 학습스타일이 있고, 다양한 학습자 변인과 선호하는 학습스타일 간에도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는 학습자의 물리적, 심리적 환경이 학습스타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영재학생들이 선호하는 학습스타일과 교사들이 자주 실시하는 교수스타일 간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 프로그램이 학습자에 맞게 세분화되고, 학습스타일 관련 학습자 특성을 파악하여 교육 현장에서부터 차별화되고 개별화된 교육과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earning styles affect how students access and handle their task, so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how they study, when planning teaching-learning process, to enhance their potential to the maximum. 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gifted education, there is a need to examine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 학습자의 주거지역과 경험에 따라 선호하는 학습스타일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서 경기도에 인접한 신도시, 구도시, 도농복합도시 학생들의 영재교육관련 사교육 경험, 독서량, 장래희망 등에 관한 설문 문항을 검사 도구에 수록하여 함께 조사하여 그 연관성을 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상황에서 영재아의 선호하는 학습스타일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학습자 특성에 따른 학습스타일과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학부모, 교사들에게 다양한 분야의 재능을 가진 영재들을 이해하도록 하여 영재아들이 최대한 자신의 잠재적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구현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한다. 또한 영재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관점을 재조명하고 효과적인 교수전략을 위한 교수스타일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와 Joseph S. Renzulli와 Mary G. Rizza 그리고 Linda H. Smith(2007)가 공동 제작한 ‘학습스타일검사도구Ⅲ-초등용, 교사용’을 활용하여 학습상황에서 영재아가 선호하는 학습스타일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여러 가지 학습자 특성에 따른 학습스타일과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학생들이 선호하는 학습스타일과 교수스타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실시전 학생들에게 LSI-III 도구는 학생자신에게 흥미로운 활동을 기술하는 문항에 대해서 좋아하는 정도를 표시하는 것임을 인식시킨 후 실시하였다. 각 문항에 대하여 매우 싫어함-0, 싫어함-1, 잘 모르겠음-2, 좋아함-3, 매우 좋아함-4로 하여 좋아하는 정도를 표시하도록 되어있다.
  • Smith(2007)가 공동 제작한 ‘학습스타일검사도구Ⅲ-초등용, 교사용’을 활용하여 학습상황에서 영재아가 선호하는 학습스타일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여러 가지 학습자 특성에 따른 학습스타일과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학생들이 선호하는 학습스타일과 교수스타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학부모, 교사들이 다양한 분야의 재능을 가진 영재들을 이해하도록 하여 영재아들이 최대한 자신의 잠재적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구현하는데 몇 가지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상황에서 영재아의 선호하는 학습스타일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학습자 특성에 따른 학습스타일과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학부모, 교사들에게 다양한 분야의 재능을 가진 영재들을 이해하도록 하여 영재아들이 최대한 자신의 잠재적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구현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한다. 또한 영재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관점을 재조명하고 효과적인 교수전략을 위한 교수스타일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접교수란 무엇인가? 교사 및 특정 분야의 전문가가 수업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가면서 자신이 이해하는 아이디어나 개념을 청중들과 의사소통하며 전달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는 교실에서 교사와 학생사이 상호작용의 기회는 상대적으로 적다고 볼 수 있다.
영재학생은 어떤 학습스타일을 선호한다고 나타나는가? 영재학생들은 프로젝트 학습, 독립연구 등 자신의 계획 하에 독립적, 혹은 팀별로 활동하는 학습스타일을 일반학생들보다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현재 경기도 지역의 영재 수업이 프로젝트와 독립연구 위주로 수업이 진행되어지고 있음과 연관 지어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시뮬레이션이란 무엇인가? 역할놀이를 통해서 내용 및 기술을 가르치는 활동을 말한다. 시뮬레이션에서 학생들은 역할을 맡아 실제-세계 상황을 탐색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강선희 (2004). 초등학교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학습유형 비교.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2. 고혜진 (2003). Sternberg의 사고 유형에 따른 초등학교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의 비교.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3. 문희진 (2005).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간의 정의적 특성 비료.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4. 송인섭, 한기순 (2008). 한국영재교육의 새로운 지평. 학지사. 

  5. 신국환 (2007). 초등학교 수학 영재와 일반 학생의 학습 양식 비교 분석.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6. 신현정 (2004). 영재 아동이 지각한 담임교사의 태도와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7. 윤소정 (2001). 고등학교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사고유형과 학습유형 차이.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8. 이미순 역 (2007). 학습스타일 검사도구 3판. 학생이 선호하는 교수방법 측정도구. 서울: 박학사. 

  9. 이선영 (1997). 초?중?고 대학생들의 집단 간 학습유형 차이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0. 이영자 (1999). 초등학교 학생들의 학습유형과 학업성취와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1. 이정희 외 역 (2000). 성격유형과 학습스타일. 서울: 한국심리검사연구소. 

  12. 이해명 (2006). 영재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13. 홍보경 (2002). 영어학습에서 학습스타일과 학습전략의 활용 및 지도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총신대학교. 

  14. Ayersman, D. J. (1993). An overview of the research on learning styles and hypermedia environments. (ERIC Document Reproductions Service No. ED356756) 

  15. Borland, J. H. (2003). The death of giftedness. In J. H. Borland (Ed.), Rethinking gifted education (pp. 105-124).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16. Brown, B. L. (1998). Learning style and vocational education practice. (ERIC Document Reproductions Service No. ED422487) 

  17. Clark, A. (1999). Employee preferences for training delivery mode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outh Alabama, Tuscaloosa, AL. 

  18. Cronbach, L. J., & Snow, R. E. (1977). Aptitudes and instructional method: A handbook for research on interations. New York: Irvington Publishers Inc. 

  19. Davis, G., & Rimms, S. (1985). Education of gifted and talent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20. Dewey, J. (1938). Logic: The theory of inquiry. New York: Henry Holt. 

  21. Dunn, R., & Griggs, S. A. (1985). Teaching and counseling gifted students with their learning style perferences: Two case studies. Gifted Child Today, 15, 40-43. 

  22. Dunn, R., Dunn, K., & Price, G. E. (1975). Learning style inventory. Lawrence, KS: Price Systems. 

  23. Dunn, R., Dunn, K., & Price, G. E. (1980). The learning style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s. Gifted Child Quality, 24, 33-36. 

  24. Feldhusen, J. F. (1986). A new conception of giftedness and programming for the gifted. Illinois Council for the Gifted Journal, 5, 2-6. 

  25. Gagne, F. (1985). Giftedness and talent: Reexamining a reexamining of definition. Gifted Child Quarterly, 29, 103-112. 

  26. Gardner, H. (1991). Assesment in context: The alternative to standard testing. In B. Gifford & M. C. O'Connor (Eds.), Future assessments: Changing views of aptitude, achievement, and instruction (pp. 77-119). Boston, MA: Kluwer. 

  27. Jung, C. G. (1976). Psychological type, Princeton, NJ: Princeton Univ. Press. 

  28. Keefe, J. W. (1979). Learning styles: An overview. In NASSP (Ed.), Student learning styles and prescribing programs. Reston, VA: National Associantion of Secondary School Principals. 

  29. Kinsella, K. (1995). Understanding and empowering diverse learners in the ESL classroom. In J. M Reid (Ed). Learning styles in the ESL/EFL classroom. 170-194. Boston, MA: Heinle & Heinle. 

  30. Kolb, D, A. (1985). Learning style inventory: Self-scoring inventory and interpretation booklet. Boston, NJ: NcBer and Company. 

  31. Lewin, K. (1935). A Dynamic theory of personalty: Selected paper. New York: MacGraw-Hall. 

  32. Marland, S. P. (1972).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Wachington, DC: U.S. Office of education. 

  33. Oxford, R. (1990).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What every teacher should know. New York: Newbury House Publisher. 

  34. Pithers, R., & Mason, M.(1992). Learning style preferences: Vocational students and teachers. Australian Education Reseacher. 19(2). 61-71. 

  35. Reid, J. M. (1987). The learning style preferences of ESL students, TESOL Quarterly, 21, 87-111. 

  36. Renzulli, J. S. (1978). What makes giftedness? Reezamining a definition. Phi Delta Kappan, 60(3). 180-184, 261 

  37. Renzulli, J. S. (1994). Schools for talent development: A practical plan for total school improvement.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38. Renzulli, J. S., & Reis, S. M. (1985). The schoolwide enrichment model: A comprehensive plan for educational excellence.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39. Ricca, J. (1984). Learning styles and preference instructional strategies of gifted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28, 121-126. 

  40. Woolfolk, A. E. (1995). Educational psychology. Boston, MA: Allyn & Bacon.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