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인천지역의 복합운송체계별 발전방안 연구 - 인천과 상해이북지역 중심으로 - A Study on a development plan for multi-transportation in Incheon: Focused on Incheon and main cities in Northern China원문보기
본 연구에서는 국제적인 공항과 항만을 동시에 지닌 인천의 복합운송시스템 구축을 위한 역할과 과제는 무엇인지 살펴보기 위해 물류기업 및 공공기관, 연구기관 임직원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접조사(Depth Interview)를 실시하여 국제복합운송 물류거점 선점을 위한 경쟁력 요인선정, 주요 도시별 복합운송측면에서의 경쟁력 점수를 측정하였다. 주요 도시별 경쟁력 최종 점수를 100점 만점으로 환산하여 살펴보면 1위는 상해(64.8점), 2위 홍콩(64.5점), 3위 인천(62.9점), 4위 부산(60.4점) 등으로 나타나 인천이 향후 동북아지역에서 국제복합운송 물류거점으로서 발전할 수 있는 잠재력은 어느 정도 보유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본 연구 분석 결과를 토대로 인천지역이 동북아 지역의 복합운송거점으로서의 나아가야 할 발전방안에 대해서 제시하면 첫째, 인천-천진간 해공복합운송 공동물류센터 건립 및 제도 간소화 협정체결사업이 필요하며, 둘째, 인천-상해간 해륙복합운송활성화를 위한 페리-트럭 복합운송 활성화를 위한 선박에서 통관절차 수행 등의 제도 개선 추진사업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적인 공항과 항만을 동시에 지닌 인천의 복합운송시스템 구축을 위한 역할과 과제는 무엇인지 살펴보기 위해 물류기업 및 공공기관, 연구기관 임직원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접조사(Depth Interview)를 실시하여 국제복합운송 물류거점 선점을 위한 경쟁력 요인선정, 주요 도시별 복합운송측면에서의 경쟁력 점수를 측정하였다. 주요 도시별 경쟁력 최종 점수를 100점 만점으로 환산하여 살펴보면 1위는 상해(64.8점), 2위 홍콩(64.5점), 3위 인천(62.9점), 4위 부산(60.4점) 등으로 나타나 인천이 향후 동북아지역에서 국제복합운송 물류거점으로서 발전할 수 있는 잠재력은 어느 정도 보유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본 연구 분석 결과를 토대로 인천지역이 동북아 지역의 복합운송거점으로서의 나아가야 할 발전방안에 대해서 제시하면 첫째, 인천-천진간 해공복합운송 공동물류센터 건립 및 제도 간소화 협정체결사업이 필요하며, 둘째, 인천-상해간 해륙복합운송활성화를 위한 페리-트럭 복합운송 활성화를 위한 선박에서 통관절차 수행 등의 제도 개선 추진사업이 요구된다.
This study shows how Incheon will advance into roadmap as multi-transport hub in Northeast Asia hereafter and be proposed an urgent tasks and roles to construct a multi-transportation system for Incheon, which has both an international airport and port. The multi-transportation point of view of inte...
This study shows how Incheon will advance into roadmap as multi-transport hub in Northeast Asia hereafter and be proposed an urgent tasks and roles to construct a multi-transportation system for Incheon, which has both an international airport and port. The multi-transportation point of view of inter-major cities competitiveness of total scores was proposed 1. Shanghai(64.8 points), 2 in Hongkong(64.5), 3 in Incheon(62.9), and 4 in Busan(60.4) and Incheon was estimated to have enough competitiveness to be the international multi-transport hub in Northeast Asia. Sea & Air transportation revealed the most important multi-transportation in the Incheon region. In conclusion, this research suggests a development plan for multi-transportation in Incheon. Firstly, it proposes construction of sea & air transportation distribution center and agreement that simplifies logistic process between Incheon and Tianjin, secondly, suggests to activate project for the purpose of creating a better sea-land transportation system between Incheon and Shanghai.
This study shows how Incheon will advance into roadmap as multi-transport hub in Northeast Asia hereafter and be proposed an urgent tasks and roles to construct a multi-transportation system for Incheon, which has both an international airport and port. The multi-transportation point of view of inter-major cities competitiveness of total scores was proposed 1. Shanghai(64.8 points), 2 in Hongkong(64.5), 3 in Incheon(62.9), and 4 in Busan(60.4) and Incheon was estimated to have enough competitiveness to be the international multi-transport hub in Northeast Asia. Sea & Air transportation revealed the most important multi-transportation in the Incheon region. In conclusion, this research suggests a development plan for multi-transportation in Incheon. Firstly, it proposes construction of sea & air transportation distribution center and agreement that simplifies logistic process between Incheon and Tianjin, secondly, suggests to activate project for the purpose of creating a better sea-land transportation system between Incheon and Shanghai.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제적인 공항과 항만을 동시에 지닌 인천의 복합운송시스템 구축을 위한 역할과 과제는 무엇인지 살펴보고 향후 동북아 지역에서의 복합운송거점으로서의 인천이 나아가야 할 발전방안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3장 설문조사를 통하여 주요 도시별 복합운송 경쟁력 요인별 점수, 인천지역 우선구축 복합운송체계 및 요인, 복합운송 체계별 우선연계지역 등에 대한 세부내용을 제시하였다. 본장에서는 심층면접 인터뷰를 통하여 도출된 복합운송 체계별 개선사항 및 요구사항을 정리하여 우선 개선사항을 도출하고 복합운송 체계별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앞에서 도출된 주요개선사항들을 중심으로 인천-상해이북 주요도시간 물류협력을 위한 복합운송체계별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조사는 국제적인 공항과 항만을 동시에 지닌 인천의 역할과 과제는 무엇인지 살펴보고 향후 동북아 지역에서의 국제복합운송거점으로서의 인천지역이 나아가 할 방향을 파악하기 위해 제조업체, 물류기업, 공공기관 및 연구기관 등을 대상으로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안 방법
30명의 조사 대상자는 조사 이전에 조사 참여 여부 및 복합운송에 대한 실무경력과 현장경험 그리고 관련 지식을 소유한 자를 대상으로 물류기업 및 공공기관, 연구기관, 교수 등 심층적으로 선별하여 결정하였다. 대상자가 결정된 다음에는 먼저 전화로 문의하고 설문지를 사전에 발송하여 조사 문항을 미리 준비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09. 04.
04. 22 동안 약 1주일간 전문 설문조사기관에 의뢰하여 수행되었다.
먼저, 응답자별 특성을 살펴보고, 국제복합운송 물류거점 선점을 위한 경쟁력 요인 조사를 통해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각 경쟁력 요인에 대한 평균값 및 속성별로 요인들을 정의하였다. 또한 분류된 속성에 대하여 쌍대비교를 통한 AHP분석을 이용하여 각 속성간 가중치를 도출하였고 주요 도시별 복합운송측면에서의 경쟁력 점수를 측정하였다.
먼저, 응답자별 특성을 살펴보고, 국제복합운송 물류거점 선점을 위한 경쟁력 요인 조사를 통해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각 경쟁력 요인에 대한 평균값 및 속성별로 요인들을 정의하였다. 또한 분류된 속성에 대하여 쌍대비교를 통한 AHP분석을 이용하여 각 속성간 가중치를 도출하였고 주요 도시별 복합운송측면에서의 경쟁력 점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심층면접조사를 통해 인천지역 복합운송체계 발전방향에 대하여 다양한 측면의 의견을 수렴한 것을 근거로 해서 복합운송체계별 연계지역, 연계이유, 애로요인, 복합운송 수요창출 방안 및 발전방안 등을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요인회전과 관련하여 베리멕스(Verimax)회전을 실시하였으며, 요인적재량(factor loading)의 수용기준은 ±.50이상을 기준으로 선택하였다.
인천지역이 국제복합운송 물류거점을 선점하기 위하여 갖추어야 할 경쟁력 요인을 기존 선행연구 및 보고서 조사를 통해 27개의 변수를 도출하였다. 이들 변수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요인분석을 이용하였으며 요인추출법으로 주성분법(Principle Components)을 실시하였다, 요인에 속하지 않는 1개의 변수를 제외한 26개의 변수를 가지고 총 5개의 요인으로 추출하였다.
인천지역이 국제복합운송 물류거점을 선점하기 위하여 갖추어야 할 경쟁력 요인을 기존 선행연구 및 보고서 조사를 통해 27개의 변수를 도출하였다. 이들 변수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요인분석을 이용하였으며 요인추출법으로 주성분법(Principle Components)을 실시하였다, 요인에 속하지 않는 1개의 변수를 제외한 26개의 변수를 가지고 총 5개의 요인으로 추출하였다. 국제복합운송 물류거점 요인분석 결과 5개의 요인을 도출하였고, 각 요인들을 구성하는 중심개념을 바탕으로 속성 명을 부과하였다.
50이상을 기준으로 선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총 5개의 요인과 26개의 변수를 추출하였다.
각 요인별 가중치 도출을 위해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분석14)을 이용하였으며, AHP에서는 비교행렬의 주 고유벡터를 활용한 1:1비교 결과의 통합과정에서 AHP의 커다란 장점 중 하나인 “비일관성지수(Inconsistency Index)15)”를 도출하게 되며 이를 이용하여 의사결정자의 논리적 일관성 유지 여부를 확인하고 의사결정의 합리성과 논리성을 높였다.
앞서 AHP분석을 통해 도출된 복합운송 경쟁력 요인별 가중치와 주요 도시별 요인별 경쟁력 점수를 승산하여 경쟁력 요인별 최종 점수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100점 만점으로 환산하여 과 같이 주요 도시별 복합운송 경쟁력 점수를 제시하였다.
인천지역 복합운송체계 중 발전전망을 토대로 우선 복합운송체계로 나타난 해공복합운송과, 해륙복합운송의 우선 연계지역/연계이유와 개선사항과 요구사항을 제시하였다.
복합운송체계별 우선개선사항을 도출하기 위해 실현가능성과 실현시기 두 가지 측면을 고려하여 정리하였다.
인천-천진시간 기업을 중심으로 공동물류센터를 설립하고 교차ㆍ투자하여 물류센터 지분을 공동으로 상호간에 공유하는 사업을 제시한다. 천진은 북경 지역의 화물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해공복합운송 잠재화물을 창출하기에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대상 데이터
본 조사는 물류기업 및 공공기관, 연구기관, 교수를 대상으로 30명의 리스트를 추출하여 개별 심층면접조사(In-Depth Interview)13)를 실시하였다. 30명의 조사 대상자는 조사 이전에 조사 참여 여부 및 복합운송에 대한 실무경력과 현장경험 그리고 관련 지식을 소유한 자를 대상으로 물류기업 및 공공기관, 연구기관, 교수 등 심층적으로 선별하여 결정하였다.
를 실시하였다. 30명의 조사 대상자는 조사 이전에 조사 참여 여부 및 복합운송에 대한 실무경력과 현장경험 그리고 관련 지식을 소유한 자를 대상으로 물류기업 및 공공기관, 연구기관, 교수 등 심층적으로 선별하여 결정하였다. 대상자가 결정된 다음에는 먼저 전화로 문의하고 설문지를 사전에 발송하여 조사 문항을 미리 준비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09.
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인천항을 이용하는 기업 중에 복합운송을 취급하고 있거나 인천지역 실무에 밝은 업체 실무자와 연구원 및 교수 등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종사 경력은 ‘15년~20년 미만’의 경우가 26.
데이터처리
앞서 도출된 요인별 가중치를 이용하여 국제복합운송 경쟁력 요인에 대한 최종우선순위 평가를 실시하였다. 경쟁력 요인변수의 평균값과 요인별 가중치 값을 승산하여 최종 우선순위를 산출하였으며 이를 100점 만점으로 환산하였다.
앞서 도출된 요인별 가중치를 이용하여 국제복합운송 경쟁력 요인에 대한 최종우선순위 평가를 실시하였다. 경쟁력 요인변수의 평균값과 요인별 가중치 값을 승산하여 최종 우선순위를 산출하였으며 이를 100점 만점으로 환산하였다. 가장 높은 순위의 요인은 ‘총물류비(전경로상)’로 나타났으며, ‘복합운송업체 가격경쟁력’, ‘운송수단별 운임체계 마련’, ‘국제물류거점과의 근접’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성능/효과
본 조사의 응답자 특성 조사 결과 전체 30명의 응답자 중 물류기업체 15명,공공기관 및 연구기관이 15명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대학교와 포워더가 각각 23.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인천항을 이용하는 기업 중에 복합운송을 취급하고 있거나 인천지역 실무에 밝은 업체 실무자와 연구원 및 교수 등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가장 높은 순위의 요인은 ‘총물류비(전경로상)’로 나타났으며, ‘복합운송업체 가격경쟁력’, ‘운송수단별 운임체계 마련’, ‘국제물류거점과의 근접’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동북아 주요 도시별 경쟁력요인별 점수를 살펴보면 5개 요인별로 홍콩이 물류비용을 제외하고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상해는 물류비용과 법/제도를 제외한 나머지 요인들의 점수가 홍콩 다음으로 높았으며, 특히 인천은 물류비용만 홍콩, 상해, 부산보다 경쟁력이 높았으며, 전반적으로 홍콩, 상해 다음 순으로 평가되었다.
1) 우선구축 복합운송체계 및 요인
인천지역 우선 구축 복합운송체계로 응답자별 차이 없이 해공복합운송이 가장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해륙복합운송, 대륙철도 연계운송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바지연계운송, 열차페리, 초고속선 연계운송은 다소 부정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천지역의 복합운송체계별 연계지역을 살펴보면 바지연계 복합운송은 ‘대련/연운항/일조/청도’, 초고속선 연계운송은 ‘상해/소주/영파/항주’, 해공복합운송은 ‘북경/천진/진황도’, 열차페리 연계운송은 ‘대련/연운항/일조/청도’ 혹은 ‘연태/위해’, 대륙철도 연계운송은 ‘대련/연운항/일조/청도’, 해륙(트럭페리, 카페리)복합운송은 ‘대련/연운항/일조/청도’ 혹은‘상해/소주/영파/항주’와 우선 연계해야 한다고 나타났다.
첫째, Sea & Air 복합운송의 경우 실현가능성이 높고 실현시기가 단기인 핵심주요요인으로 11개가 도출되었다.
시설(인프라)측면에서 “신속한 통관/검역시설”, “항만내 트럭페리 전용시설(주차장 등) 확보”, 비용측면에서 “카페리부두 사용료인하”, “간이 통관/운송요율 적용”, 서비스(법/제도)측면에서 “피견인차량의 임시운행허가증 연1회 발급 및 목록신고 대체”, “차량통관고시에 관한 세관서류 간소화”로 나타났다.
둘째, 해륙복합(트럭페리,카페리)운송 경우 실현가능성이 높고 실현시기가 단기인 핵심주요요인 6개가 도출되었다. 시설(인프라)측면에서 “신속한 통관/검역시설”, “항만내 트럭페리 전용시설(주차장 등) 확보”, 비용측면에서 “카페리부두 사용료인하”, “간이 통관/운송요율 적용”, 서비스(법/제도)측면에서 “피견인차량의 임시운행허가증 연1회 발급 및 목록신고 대체”, “차량통관고시에 관한 세관서류 간소화”로 나타났다.
후속연구
상해이북지역의 주요항만과 공항의 급격한 성장의 속도는 향후 한국과 중국간 운송 자유화에 의해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한중지역을 중심으로 근해항로에는 복합물류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선박, 항만, 공항, 내륙운송 모드(Mode)와 노드(Node)간 원활한 물류처리 및 배후지역에서의 부가가치 활동에 따른 종합물류서비스의 제공이 무엇보다 중요한 관건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인천국제공항과 인천항을 중심으로 중국을 포함한 동북아 국가들과의 인적·물적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향후 더욱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되고 이다.
이러한 한중간 복합운송시스템의 구축은 동북아 지역의 주도적인 복합물류시스템을 통하여 동북아 지역물류중심 실현 및 물류비 절감으로 경쟁력을 강화하고 동시에 육상 교통체증의 해소 및 환경 친화적인 물류체계 구축으로 교토의정서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규제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지게 될 것이다.
또한 한중간 복합운송기술 협력을 위한 공동기술개발, 공동연구협력을 통해 물류 및 인적 네트워크가 강화되고 동북아 물류시장이 확대되는 효과를 가지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북아 경제권에서의 물류거점화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무엇이 요구되고 있는가?
중국경제의 급부상과 아시아 역내교역의 비중이 증가 등 동북아 경제권에서의 물류거점화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고부가가치형 종합물류서비스망의 선점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일본, 중국은 공항, 항만의 자유무역지역, 첨단산업지역을 중심으로 물류거점화를 이루기 위한 전략을 세우고 추진 중에 있다.
중국의 상해를 중심으로 한 주요 물류거점들은 어떤 상태인가?
특히, 중국의 상해를 중심으로 한 주요 물류거점들은 폭발적인 물동량 증가를 기록하고 있다. 항만에 있어서는 상해항의 경우 2004년 세계 2위의 항만으로 부상하며 2007년에는 2,615만 TEU를 처리하여 싱가폴 항을 위협하고 있다.
복합운송 물동량 증대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시설 확충 및 제도적 개선이 시급한 실정인 이유는?
인천항과 가장 많은 수출입화물이 발생되는 중국항만으로는 청도, 상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 상해를 포함한 소주, 영파 등은 인천과 연계되어 해륙복합운송의 잠재적 물동량을 창출하기에 좋은 지역이다. 따라서 복합운송 물동량 증대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시설 확충 및 제도적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참고문헌 (21)
건설교통부, 동북아 연결 복합물류시스템의 기술개발에 관한 연구, 1차년도보고서, 2001
건설교통부, 동북아 연결 복합물류시스템의 기술개발에 관한 연구, 3차년도보고서, 2003
관세무역개발원, 수출입물류통계연보, 2007
김광석, "중국발 해공복합운송(Sea & Air)서비스의 이용실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해운물류학회, 해운물류연구, 제 47호, 2005, pp.223-242.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