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식공간론에 기초한 천문학적 공간개념의 위계 분석
Hierarchical Analysis of Astronomical Space Concepts Based on the Knowledge Space Theory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1 no.3, 2010년, pp.259 - 266  

윤마병 (대전둔산여자고등학교) ,  김희수 (공주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학습자의 개별 정답 문항에서 얻어지는 단편적인 정보들로부터 평가에 관련되는 지식 전체에 대한 정보를 추론할 수 있는 지식공간론을 활용하여 고등학생의 천문학적 공간개념에 대한 위계와 개별 학생의 지식상태를 분석하였다. 천문학적 공간개념을 구성하는 요인의 위계는 '공간위치$\ll$공간추리$\ll$공간변화'로 분석되었다. 또한 지식공간론을 활용한 평가 자료의 분석은 기존의 평가 방법으로는 알 수 없었던 평가 문항과 문항 간의 관계와 학생 개개인의 지식상태를 알 수 있게 함으로서 학습자의 수준별 개별화 학습과 교육과정 선정에서 많은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hierarchy of astronomical concepts and an individual student's knowledge state are analyzed by using the knowledge space theory that allows one to infer an individual's entire knowledge on a subject based on fragmentary information coming from that student's ans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개념의 위계 관계와 학습자의 지식상태를 분석할 수 있는 지식공간론의 적용 방안을 논의하고, 이를 활용하여 고등학생들의 천문학적 공간개념에 대한 위계와 학습자 개별의 지식상태를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분석된 위계 구조와 지식상태도를 이용하여 교육과정과 학습자의 개별화 학습에 관한 적용 방안을 연구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개념의 위계 관계와 학습자의 지식상태를 분석할 수 있는 지식공간론의 적용 방안을 논의하고, 이를 활용하여 고등학생들의 천문학적 공간개념에 대한 위계와 학습자 개별의 지식상태를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분석된 위계 구조와 지식상태도를 이용하여 교육과정과 학습자의 개별화 학습에 관한 적용 방안을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념의 위계 구조가 학습자에게 어떠한 의미인가? 개념의 위계 구조는 학습자가 직면한 학습과제에서 좀 더 높은 수준에 있는 기능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다(정진우 외, 1996; Bergan, 1980). 또한 최종적인 학습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 어떤 학습 요소나 기능을 먼저 학습해야 하는지를 명확히 알 수 있게 한다.
공간능력이란? 공간능력은 공간 속에 있는 내적표상을 기호화하거나 만들어내며, 이것을 다른 사물이나 공간위치에 관계시키는 능력이라고 말할 수 있는데, 공간능력의 향상은 중학생의 천체운동 개념 획득에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최호순, 1999). 또한 공간능력이 고등학생의 천체운동 개념과 상관관계(r=0.
위계분석에 있어 인정률이 필요한 이유는? 이와 같은 위계 분석은 수학적 도구를 사용하기 때문에 분석 과정에서의 오류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분석의 대상이 되는 학생들이 불성실하게 답하거나, 우연히 맞힌 경우에는 그 만큼 위계 분석 결과의 신빙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요인을 어느 정도 인정하여 위계를 분석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인정률’이라고 부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구자홍, 2000, 고등학생들의 공간능력과 천체운동 개념과의 상관관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7 p. 

  2. 김범기, 이항로, 김기정, 1996, 천문 개념 성취도와 공간능력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5, 315-325. 

  3. 김상달, 이용섭, 이상균, 2005, 초등학교 학생들의 공간능력과 천체운동개념 및 과학탐구능력과의 관계. 한국지구과학회지, 26, 461-468. 

  4. 김석천, 박상태, 이희복, 정기주, 2007, 지식상태분석법을 이용한 학습 진단평가도구로의 활용성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 346-353. 

  5. 김승동, 김응환, 김태균, 노영순, 박달원, 변두원, 이덕호(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2, 지식공간론 입문. 도서출판 보성, 대전, 148 p. 

  6. 김현재, 김순남, 1988, 아동의 Euclid적 공간개념 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8, 23-32. 

  7. 김희수, 서창현, 이항로, 2003, 천문학적 공간개념 수준에 관한 검사도구 개발. 한국지구과학회지, 24, 508-523. 

  8. 명전옥, 2001, 예비교사들의 지구과학 문제 해결 실패 요인.한국지구과학회지, 22, 339-349. 

  9. 박상태, 변두원, 이희복, 김준태, 육근철, 2005, 지식상태분석법을 통한 예비교사들의 학년별 물리개념 위계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 746-753. 

  10. 변두원, 박달원, 이덕호, 2002, 지식공간론에 기초한 학습경로 탐색 알고리즘 연구.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 33, 175-188. 

  11. 변두원, 정인철, 박달원, 노영순, 김승동, 2004, 수학 교육에서 평가결과에 기초한 개별화 학습과정의 위계도. 한국수학교육학회지, 43, 75-85. 

  12. 변재성, 정재구, 문병찬, 정진우, 2004, 지구와 달의 운동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생각. 한국지구과학회지, 25, 519-531. 

  13. 임청환, 1992, 서열화 이론을 이용한 논리적 사고력의 위계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13, 290-303. 

  14. 임청환, 김학목, 1994, 대기압과 달의 운동에 관한 중학생들의 개념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15, 157-169. 

  15. 정진우, 조선형, 임청환, 1996, 과학개념의 위계적 분석 및 그 적용을 통한 교수 효과와 과학교육과정 계열성의 타당화 평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 1-12. 

  16. 최호순, 1999, 중학생들의 공간능력과 천체운동 개념 및 과학탐구능력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55 p. 

  17. AAAS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1993, Benchmarks for science literacy. Oxford University Press, NY, USA, 448 p. 

  18. Airasian, P.W. and Bart, W.M., 1975, Validating a priori instructional hierarchies. Journal of Educational Measurement,12, 163-173. 

  19. Bart, W.M., 1976, Some results of ordering theory for Guttman scaling.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36, 41-148 

  20. Bart, W.M. and Krus, D., 1973, An ordering-theoretic method to determine hierarchies among item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33, 281-300. 

  21. Bergan, J.R., 1980, The Structural analysis of behavior: An alternative to the learning-hierarchies model.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0, 625-646. 

  22. Doignon, J.P. and Falmagne, J.C., 1999, Knowledge Spaces. Springer-verlag, NY, USA, 300 p. 

  23.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ic Press, Wasington DC, USA, 262 p. 

  24. Pallrand G.J. and Fred, S., 1984, Spatial ability and achievement in introductory physic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1, 507-516. 

  25. Piaget, J. and Inhelder, B., 1967, The child’s conception of space. Norton, NY, USA, 490 p. 

  26. Smith, W.S. and Schroeder, C.K., 1979, Instruction of fourth grade girls and boys on spatial visualization. Science Education, 63, 61-66. 

  27. Tracy, D.M., 1990, Toy-Playing Behavior, Sex-Role Orientation, Spatial Ability, and Science Achieve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7, 637-649. 

  28. Walter, M., 1981, Geometry for Young Students in the 80'.Teacher, 98, 434-4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