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신간호사의 전문직업성이 간호업무수행 및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Nursing Professionalism on the Nursing Performance and Retention Intention among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e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6 no.3, 2010년, pp.229 - 239  

권경자 (수원과학대학 간호과) ,  고경희 (국립서울병원 간호과) ,  김경원 (대구한의대학 간호학과) ,  김정아 (한양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nursing professionalism on the nursing performance and retention intention among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es. Methods: A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this study sampled 206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es in six hospitals in Seoul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정신간호사를 대상으로 전문직업성, 간호업무수행, 재직의도를 파악하고 전문직업성이 간호업무수행,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정신간호사의 전문직업성이 간호업무수행 및 재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 본 연구는 정신간호사의 전문직업성이 간호업무수행과 재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 소재 총 6개 병원의 정신과 병동에 근무하는 정신간호사 206명을 편의 추출하여 구성하였으며, 자료수집은 정신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을 측정하는 문항 외에, Professionalism Inventory Scale, Six-Dimension Scale of Nursing Performance, Nurses' Retention Index등을 포함하는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이용해 2009년 3월 2일부터 3월 31일까지 이루어졌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간호사의 전문직업성이 간호업무수행 및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그러나 임상간호사에 중점을 두고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정신간호사에 중점을 두어 정신간호사의 전문직업성이 간호업무 수행 및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신간호사의 전문직업성을 확인하고, 전문직업성이 정신간호사의 간호업무수행 및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정신간호사의 전문직업성 교육 프로그램 및 간호성과향상을 위한 정신간호사 인력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정신간호사의 업무나 역할이 타 보건의료전문직이나 타 전공영역 간호사와 차이가 있으며, 정신간호사의 업무와 역할, 역량에 대해서는 아직도 학자간 의견이 불일치 하는 측면이 있어 정신간호사에게 초점을 맞춘 간호업무수행 측정 도구는 극히 제한적인 실정이다(Bondy, Jenkins, Seymour, Lancaster, & Ishee, 1997; Handsley & Stocks, 2009). 이에 본 연구의 설계 단계에서 기존의 간호업무수행 측정도구 중 정신간호업무의 특수성을 반영하면서도 임상간호사의 업무수행에 대한 기존의 연구결과와 비교가 가능한 도구가 무엇인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정신간호업무의 중점인 대상자에 대한 교육과 다른 의료팀과의 협동,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 등을 포함하면서 간호과정에 근거한 일반적인 간호업무도 포괄할 수 있는 도구로 Schwirian(1978)이 개발한 Six-Dimension Scale of Nursing Performance를 선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신간호사의 전문직업성 확립이 결과적으로 정신간호사의 간호업무를 수행을 향상시키고 재직의도를 높여 이직을 억제하고, 질적으로 우수한 간호성과 달성을 촉진할 것으로 여겨지는 이유는? 간호사의 전문직업성은 간호사의 이직이도는 낮추고 재직의도를 높이며, 간호업무수행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으로 평가되어 왔다(Boyt, Lusch, & Naylor, 2001; Hampton & Hampton, 2004; Kim, 2008; Ko & Chung, 2004; Kwon, Chu, & Kim, 2009). 그러므로 정신간호사의 전문직업성 확립은 결과적으로 정신간호사의 간호업무를 수행을 향상시키고 재직의도를 높여 이직을 억제하고, 질적으로 우수한 간호성과 달성을 촉진할 것으로 여겨진다.
병원조직의 구성원은? 21세기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간호사가 인류의 건강권 옹호자로 국민건강의 유지 증진, 질병예방, 치유와 돌봄, 재활 등의 복합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확고한 간호의 이념과 가치관을 세워 간호전문직에 대한 자긍심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Ko & Chung, 2004). 또한 병원조직은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영양사, 의무기록사, 의료기사 등 대부분이 전문가 면허나 자격증을 소지한 구성원들로 이루어지고, 이들 전문가들은 나름대로의 직업적 속성을 가지고 자기 업무영역에서 자율성을 추구하면서 전문직업성이라는 직업가치를 실현하려는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다른 부서 전문가와 갈등을 일으킬 가능성이 많다. 게다가 간호의 전문적 위치는 종종 내외적으로 논쟁의 주제가 되고 있다(Wynd, 2003).
전문직업성이란? 전문직업성(Professionalism)이란 전문직이나 전문직인을 특징 짓는 행위, 목표, 또는 질을 의미하는 것으로서(Baek & KimGodwin, 2007), 본 연구에서는 Hall(1968)이 개발한 professional Inventory Scale(HPI)를 Snizeck(1972)이 수정한 것을 Baek과 Kim-Godwin(2007)이 국문화한 도구를 이용해 측정한 점수를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buAlRub, R. F. (2004). Job stress, job performance, and social support among hospital nurses. Image J Nurs Sch, 36(1), 73-78. 

  2. Baek, H. C., & Kim-Godwin, Y. S. (2007). Translation and validation of korean version of Hall's professionalism inventory. J Korean Acad Nurs Admin, 13(4), 509-515. 

  3. Bondy, K. N., Jenkins, K., Seymour, L., Lancaster, R., & Ishee, J. (1997). The development and testing of a competencyfocused psychiatric nursing clinical evaluation instrument. Arch Psychiatr Nurs, 6(2), 66-73. 

  4. Boyt, T. E., Lusch, R. F., & Naylor, G. (2001). The role of professionalism in determining job satisfaction in professional services: A study of marking researchers. J Serv Res, 3(4), 321-330. 

  5. Choi, S. H. (1996). A study on nursing professional attitude and nursing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6. Cowin, L. S. (2002). The effect of nurses' job satisfaction on retention. J Nurs Adm, 32(5), 283-291. 

  7. Doiron, D., & Jones, G. (2006). Nurses' retention and hospital characteristics in New South Wales. Econ Rec, 82(256), 11-29. 

  8. Hall, R. H. (1968). Professionalism and bureaucratization. Am Sociol Rev, 33(1), 92-104. 

  9. Hampton, G. M., & Hampton, D. L. (2004). Relationship of professionalism, rewards, market orientation and job satisfaction among medical professionals-The case of certified nursemidwives. J Bus Res, 57(9), 1042-1053. 

  10. Handsley, S., & Stocks, S. (2009). Sociology and nursing: Role performance in a psychiatric setting. Int J Ment Health Nurs, 18(1), 26-34. 

  11. Hart, S. E. (2005). Hospital ethical climates and registered nurses' turnover intentions. Image J Nurs Sch, 37(2), 173-177. 

  12. Kim, M. H. (1985).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role concept and nursing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3. Kim, M. J. (2006). The effect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on nurses' intention of ret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4. Kim, M. R. (2008). Clinical nurses' professionalism, nursing performance and intention of ret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5. Ko, S. H., & Chung, B. Y. (2004). Nursing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in general hospital. J Korean Acad Nurs Adm, 10(3), 335-344. 

  16. Kwon, K. J., Chu, M. S., & Kim, J. A. (2009). The impact of nursing professionalism on nursing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retention intention among clinical nurses. J Korean Acad Nurs Admin, 15(2), 182-192. 

  17. Lee, K. J., Yoo, S. J., Lee, S. U., Kim, S. Y. J., Kim, Y. H., & Won, J. S. (2006).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5th). Seoul; Soomoonsa. 

  18. Lee, S. Y. (2006). The influence of job characteristics and professionalism on empowerment perceived by nurses. J Korean Acad Nurs Adm, 12(4), 587-596. 

  19. Manojlovich, M., & Ketefian, S. (2001).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nursing professionalism: Implications for health resource planning. Can J Nurs Res, 33(4), 15-34. 

  20. Nunally, J. C., & Bernstein, I. H. (1994). Psychometrictheory (3rd ed.). New York: McGraw-Hill. 

  21. Park, H. S., Bae, Y. J., & Joung, S. Y. (2003). A study on anger expression and burnout of psychiatric health nurses. J Ko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12(3), 235-244. 

  22. Park, J. U.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of psychiatric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3. Park, K. H. (2005). Job stress and coping methods in nurses working at general wards and nurses working at psychiatric war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24. Park, M. S., Yang, S., & Yu, S. J. (2002). Professional self concept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e practitioner and general nurse in psychiatric ward. J Korean Community Health Nurs Acad Soc, 16(1), 95-104. 

  25. Schwirian, P. M. (1978).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nurses: A multidimensional approach. Nurs Res, 27(6), 347-351. 

  26. Snizek, W. E. (1972). Hall's professionalism scale: An empirical reassessment. Am Sociol Rev, 37(1), 109-114. 

  27. Song, K. J., Park, S. H., Cho, J. S., Kwon, M. K., Park, J. S., Nam, S. N., You, M., & Kim, M. A. (2006). A study on the nurse performance appraisal in a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 Clin Nurs Res, 12(1), 97-108. 

  28. Wynd, C. A. (2003). Current factors contributing to professionalism in nursing. J Prof Nurs, 19(5), 251-261. 

  29. Yoder, L. H. (1995). Staff nurses' career development relationships and self-reports of professionalism, job satisfaction, and intent to stay. Nurs Res, 44(5), 290-297. 

  30. Yoo, J. M. (2004). A study on the occupational stress of social workers in mental health service sect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