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교육사의 어제, 오늘 그리고 미래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Health Education Specialists in Korea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7 no.2, 2010년, pp.1 - 15  

남철현 (대한보건교육사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ast and present status and roles of health education specialists in Korea, and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developing health education profession. Results and conclusion: The Korean government has made various efforts for people's health...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각 국가가 시행하여야 할 건강증진 5대 실천원칙은 무엇인가? - 국민건강 보장을 위한 공공 정책 - 상기 정책을 지원하는 사회환경 조성 - 지역사회조직의 보건활동 강화 - 건강증진기술 개발 - 보건의료서비스 전환을 위한 보건의료체계 개편
건강증진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고 그 성과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것은? 건강증진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고 그 성과를 높이려면 주민들의 보건에 대한 의식행태 수준을 높여 건강생활을 습관화하도록 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보건교육사업을 계획, 수행, 평가할 수 있는 보건교육 전문인력, 즉 보건교육사 자격을 갖춘 인력이 양성되어 보건소, 산업장, 의료기관, 학교, 민간 보건단체 등에 배치 활용되어야 한다. 특히 농촌이나 도시외곽지역에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 의료기관같은 Hard ware보다 약간의 인건비 예산이 필요한 보건교육사 같은 Soft ware를 투입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고승덕. 보건교육사의 역할과 활용방안,건강증진을 위한 보건교육인력 양성프로그램, 워크샵, 대한보건협회.보건교육협의회, 2002. 

  2. 김영임, 정연강, 박영임. 보건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부출판부, 2003. 

  3. 김화중, 김영임. 지역사회간호학.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1996. 

  4. 김화중. 보건복지정책론. 수문사, 2005. 

  5. 남정자. "보건교육사자격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경쟁력 있는 프로그램 개발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교육원, 2005. 

  6. 남정자 등. "전 국민 건강증진체계개발 확립을 위한 학생, 근로자, 여성, 농어민 대상 종합적 보건프로그램 개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4. 

  7. 남철현. 동남아 보건교육현황, 한국보건교육학회지 1983; 1(1). 

  8. 남철현. 건강증진위한 보건교육과 보건교육사활용. 한국보건교육학회지 1993;10(2). 

  9. 남철현. 국민건강증진을 위한 보건교육인력 개발, 건강증진을 위한 보건교육 인력 양성프로그램 워크샵, 대한보건협회.보건교육협의회, 2002. 

  10. 남철현. "건강증진분야 전문인력수급 및 양성방앙".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005 춘계학술대회자료집. 

  11. 남철현. 보건교육사 양성 및 활용방안.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6;23(2). 

  12. 남철현. 국민건강증진시대 보건교육 전문인력 양성방안에 대한 정책토론회, 국회의원회관, 2006. 2. 

  13. 남철현, 최연희, 남용옥. 보건교육사를 위한 보건교육, 계축문화사, 2010. 

  14. 보건복지부.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Health Plan 2010. 보건복지부, 2003. 

  15. 윤순녕 등. 뉴건강증진. 수문사, 2002. 

  16. 이주열, 오영아. 보건교육 실무관리. 계축문화사, 2009. 

  17. Ardell D.B. Prevention: High level wellness strategies. Health Education 1977;8:2-4. 

  18. Brickman P. et al.. Models of helping and coping. American Psychologist, 1982;37(4) 

  19. Glandz K. et al.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Jossy-Bass Publishers, 1990. 

  20. Cleary HP. The Credentialing of Health Educators : A historical Account (1970-1990). The National Commission for Health Education Credentialing, Inc., New York, 1995. 

  21. Council of Health Education Programs n Higher Education (CHEPHE). Health Education Professional Preparation in the United States: Technical Report Volume IV,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1996. 

  22. Downie RS et. al., Health Promotion: Models and Values,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1996. 

  23. Galli N. Foundations and Principles of Health Education. John Wiley & Sons Inc., 1978. 

  24. Gilbert GG., Sawyer RG. Health Education Creating Strategies for School and Community Health, Jones and Bartelett Publishers, Boston, 1995. 

  25. Graeff JA et al. Communication for Health and Behavior: A Developing Country Perspective. Jossey-Bass Publishers, San Francisco, 1993. 

  26. Green LW, Kreuter MW. Health Promotion Planning.: A diagnostic approach. Mayfield publishing Company, 1980. 

  27. Pender JN.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2nd ed.). Appleton & Lange, 1987. 

  28. Rosenstock IM.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Health Education. Jossy-Bass Publishers, 1990. 

  29. Ross HN, Mico PR. Theory and Practice in Health Education. Mayfield Publishing Company, 1980. 

  30. The National Commission for Health Education Credentialing. The Health Education Specialist: A study Guide for Professional Competence. The National Commission for Health Education Credentialing INC., 2000. 

  31. The National Commission for Health Education Credentialing. A Competence Based Framework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Certified Health Education Specialists. The National Commission for Health Education Credentialing INC., 1996. 

  32. U.S. Government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Healthy People 2000. HHS Washington, DC, 199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