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실천과 관련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the Health Promotion Activities of the Korean Elderly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7 no.2, 2010년, pp.121 - 139  

이정찬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  박재산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김귀현 (근로복지공단 노동보험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health promotion activities of the elderly Korean aged 65 or older and to examine the related factors associated with the health promotion activities.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2008 Social Statistics Survey of Korea National Statisti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의 아침식사, 적정수면, 규칙적 운동, 정기 건강검진, 흡연, 음주 등의 건강증진행위 실천율을 파악하고, 인구사회학적 변수, 신체적 건강 변수, 사회적 건강 변수별 건강증진행위 실천율의 차이와 그 관련 요인을 분석하여 향후 우리나라 노인의 건강증진행위를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근거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의 일반적 특성별 아침식사, 적정수면, 규칙적 운동, 정기 건강검진, 흡연, 음주 등의 건강증진행위 실천율을 파악하고, 건강증진행위 실천율의 차이와 그 관련요인을 분석하여 향후 우리나라 노인의 건강증진행위를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근거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의 실천행태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수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우리나라에서도 이미 오래전부터 보건소를 중심으로 건강증진사업을 수행하여왔고, 최근 건강관리서비스 산업이 그 어느 때 보다도 주목을 받고 있는 상황이지만 그 노력과 결실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며, 노인의 건강문제 해결 및 건강증진을 위해서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제공하려는 노력들을 기울여야 한다(이석구와 전소연, 2006).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실천율의 차이와 그 관련요인을 분석하여 향후 우리나라 노인의 건강증진서비스 프로그램 개발 및 발전에 필요한 근거자료를 구축하고자 시도되었다.
  • 건강증진행위는 건강한 생활양식을 증진시키기 위한 개인적 활동으로서 개인의 안녕수준과 생활의 만족감을 높여줌과 동시에(Pender, 1987), 가족의 안녕과 사회적 비용을 절약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활동(activity)임에 틀림이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실천행태와 건강증진행위 실천율을 높이기 위한 관련 요인들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증진 행위 실천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로는 무엇이 있는가? 현재까지 건강증진 행위 실천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는 다양하게 연구되어 왔다. 규칙적인 식습관, 아침식사, 일주일에 2-3회의 규칙적 운동, 하루 7-8시간의 충분한 수면, 정상체중유지, 금주 또는 적당량의 알코올 섭취 등 7가지 건강생활을 실천하는 생활양식의 변화로 평균수명이 11년 연장되었다고 보고된 연구가 있으며(Belloc & Breslow, 1992), 수면, 아침식사, 간식, 체중, 운동, 음주, 흡연 등과 같은 개인의 건강습관이 건강상태 및 평균 여명과의 관련이 크고(Belloc & Breslow, 1992), 건강습관 실천 항목수가 많을수록 장수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고한 연구결과도 있다(Berkman & Breslow, 1983).
노년기는 어떤 시기인가? 노년기는 노화의 자연현상으로 신체적 기능감퇴, 시회적 참여활동 감소, 배우자와 형제 및 친지의 사망, 자녀들의 출가로 인한 가족구성원의 감축, 그리고 은퇴이후의 수입 감소 등으로 더욱 외부의 지지와 보조를 필요로 하는 시기이다(Murphy, 1982). 또한, 각종 만성퇴행성 질환의 유병률이 증가하게 되고 이는 신체기능의 저하를 초래하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lark et al.
우리나라 주요 10대 사망원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 2005). 최근 정부에서 발표한 우리나라 주요 10대 사망원인 자료에는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당뇨질환, 고혈압성질환 등의 만성질환이 4가지나 포함되어있는 것을 알 수 있다(보건복지가족부, 2009). 대표적인 만성질환인 고혈압과 당뇨질환은 가족력과 같은 유전에 기인한 요인과 비만, 과음, 흡연, 스트레스, 운동 부족, 나쁜 식습관 등으로 인한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병하는 질병으로서, 그 환자수는 2002년 대비 2008년 각각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7)

  1. 공형식, 이강숙, 이선영, 유재희, 홍아름. 일부 노인의 운동참여와 비참여시의 건강상태 및 삶의 만족도 비교. 학교보건.건강증진학회지 2008;25(3):45-57. 

  2. 구미옥. 한국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문헌분석 연구. 간호학의 지평 2006;3(1):17-34. 

  3. 구해모, 박재현, 문우신. 운동참여와 식생활습관에 따른 고령자 주관적 건강의 연령대별 변화. 체육과학연구 2001;12(3):45-57. 

  4. 권현수. 노인 문제음주가 우울, 자아존중감을 매게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빈곤노인 및 비빈곤노인 집단에 대한잠재평균분석의 적용. 한국노년학 2009;29(4):1521-1538. 

  5. 김남진. 규칙적인 운동 참여 여부와 그 정도가 노인의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1999;19(3):51-64. 

  6. 김남진. 규칙적인 운동참여가 고령자의 주관적 건강상태 및 사회적 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2000;39(1):149-158. 

  7. 김남진. 노인들의 건강행위 실천정도와 관련요인 분석. 한국노년학회지 2000;20(2):169-182. 

  8. 김숙경. 농촌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복지연구 2004;23:179-202. 

  9. 김옥수, 양숙자. 여성 노인의 건강상태, 수면, 운동 및 영양에 관한 연구. 간호과학 2007;19(2):1-9 

  10. 김은경. 농촌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인자녀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02;20(4):27-36. 

  11. 김은하. 이지원. 복지관 이용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일상생활 수행능력, 수면의 질 및 우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009;29(2):425-440. 

  12. 김정아, 정승교. 일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상태 및 건강행위에 관한 조사. 한국노년학 1997;17(3):144-176. 

  13. 김춘길,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2;13(2):321-331. 

  14. 김춘길, 성명숙.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건강개념과 가족지지 변수를 중심으로. 기본간호학회지 2002;9(1):133-143. 

  15. 김태면, 이석구, 전소연. 노인들의 사회적 지지와 건강행태 및 건강수준과의 관련성. 학교보건.건강증진학회지 2006;23(3):99-119. 

  16. 김형수. 미국 노인 문제음주와 예방대책의 연구 및 시사점. 한국노년학 2004;24(4):165-180. 

  17. 김효정, 채선옥, 박영숙, 우순혜. 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 및 건강개념과 건강증진 행위와의 관계.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01;15(2):262-274. 

  18. 김효정.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관련된 변인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19. 민경진, 김근조, 차준근. 일부지역 노인들의 주관적 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학교보건.건강증진학회지 2001;18(2):01-26. 

  20. 박연환. 복지관 이용 노인의 신체활동과 수면. 대한간호학회지 2007;37(1):5-13. 

  21. 박인숙. 노인의 생활습관과 정기건강검진 결과의 관계 연구.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2. 박희진. 노인들의 환경디자인 요소와 낙상위험 인지도와의 관계 및 주거 내에서 낙상위험을 줄이기 위한 디자인 지침. 대한가정학회지 1996;45-55. 

  23. 배지연, 박현식. 노인의 위험행동에 관한 탐색적 고찰. 한국노년학 2006;26(4):785-800. 

  24. 서인선. 노인의 건강지식과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1). 한국노년학 2000;20(2):1-28. 

  25. 선우덕. 노인 신체활동증진대책의 정책방안. 보건복지포럼 2008(1):25-36. 

  26. 성정숙, 박재순.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건강상태. 노인간호학회지 2005;7(1):71-78. 

  27. 손덕옥, 박춘화. 노인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관한 연구. 보건과 사회과학 2002;11:137-159 

  28. 송미숙, 송현종, 목진용. 경로당 등록 노인의 주관적 건강수준과 관련 요인. 한국노년학 2003;23(4):127-142. 

  29. 송지은. 성인자녀와의 관계가 부모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006;26(3):581-599. 

  30. 신경림, 강윤희, 신미경. 남성노인의 전립선 증상, 수면의 질,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008;28(4):1041-1054. 

  31. 심문숙. 저소득 노인의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와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 노인간호학회지 2005;7(1):63-70. 

  32. 오승환, 윤동성. 노인의 삶의 질 특성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006;32:119-147. 

  33. 오진주. 우리나라 일반성인의 연령별 건강행위 및 관련요인에 대한 비교연구. 성인간호학회지 1997;9(2):286-295. 

  34. 오형석, 이규정. 남성노인의 흡연, 음주 및 운동 여부가 건강 관련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999;10(2):135-152. 

  35. 윤명숙. 도시.농촌 노인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문제음주 및 삶의질 관계연구. 노인복지연구 2007;38(겨울호):281-310. 

  36. 이동배. 일부 도시지역 노인들의 흡연과 운동습관. 충남의대잡지 2001;28(2):237-245. 

  37. 이미숙, 우미경. 전주지역 중, 노년층의 생활습관과 건강상태 조사. 한국영양학논집 2000;33(3):343-352. 

  38. 이석구, 전소연. 지역사회 노인들의 신체적 기능상태와 관련 요인. 한국노년학 2006;26(4):929-947. 

  39. 이순영. 한국인의 건강관심도 건강실천행위 및 건강수준간의 구조분석.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40. 이영자. 단독가구 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울감. 성신여대 대학원박사학위 논문 1999. 

  41. 이영진. 노인의 건강. 의료보험연합회 1995. 

  42. 이원재, 김형수. 노인 문제음주 연구를 위한 고찰. 보건과 사회과학 2003;13:5-28. 

  43. 이윤환, 최귀숙, 강임옥, 김한중. 노인의 주관적 건강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1998;18(2):110-124. 

  44. 이은희, 김혜경. 이윤희, 문순영, 권은주, 지선하. 생활습관 중재프로그램이 성인의 건강생활습관실천과 대사증후군 개선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학교보건.건강증진학회지 2007;24(3):1-19. 

  45. 이정숙, 이인수. 노년기 건강관리 행동과 사회 경제 요인이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2005;27(봄호):231-253. 

  46. 장영식, 고경환, 류시원, 이정우, 김나연. 한국의 보건복지 동향.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47. 정재임, 금명희. 노인의 건강위험 행위와 건강상태와의 관계. 경북전문대학논집 2002;21:1-18. 

  48. 정주애, 김공현, 김병성. 부산지역 노인들의 자가 건강관리에 대한 연구. 인제대학교 보건과학연구소 연구논문집 1995;1:107-124. 

  49. 정효지, 문현경. 경기지역의 노인흡연자와 비흡연자의 식습관 및 영양소 섭취량의 차이에 관한 연구. 대한영양학회지 1999;32(7):812-820. 

  50. 조동선, 이석로. 최종태, 정의식. 흡연과 비건강 행위의 관련성. 가정의학회지 1994;15(6):369-376. 

  51. 최연희, 김연화. 일부 지역 노인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관한 연구. 학교보건.건강증진학회지 2001;18(3):103-115. 

  52. 최연희. 농촌지역 독거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질. 학교보건.건강증진학회지 2004;21(2):87-100. 

  53. 최은영, 김지영, 김혜숙.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생활만족도 및 가족지지와의 관계 연구. 노인간호학회지 2003;5(1):7-16. 

  54. 표지숙. 노인들의 건강통제위와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 

  55.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요구조사 2003 

  56. 한미진. 여성노인의 수면과 인지기능, 우울의 관계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57. 한형수. 한국사회 도시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2004;19:113-142. 

  58. Aldwin, Carolin M, Sutton, Karen J, Chiara, Gina and Spiro, Avron III. Age Differences in Stress, Coping and Appraisal. Journal of Gerontology 1996;51(4):179-188. 

  59. Atsushi Kobayashi. Launch of a National Mandatory Chronic Disease Prevention Program in Japan. Disease Management & Health Outcomes 2008;16(4):217-225. 

  60. Belloc NB & Breslow L. Relationship of Physical Health Status and Health Practices. Preventive Medicine 1992;21(1):44-48. 

  61. Bergner M. Measurement of Health Status. Medical Care 1985;23(5)696-704. 

  62. Berkman LF & Breslow L. Health and Ways of Living. The Alameda County Study. Oxford University Press 1983. 

  63. Brady B, Nies MA. Health Promoting Lifestyles a Exercise. Journal of Holistic Nursing 1999;17(2)197-207. 

  64. Brennan PL and Rudolf HM. Life Stressors, Social Resources and Late-life Problem Drinking. Psychology and Ageing 1990;5:491-501. 

  65. Brown JS. & McCreedy M. The Hale Elderly: Health Behavior and Its Correlate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986;4:317-329. 

  66. Buchner DM & Wagner EH. Preventing Frail Health, Clinics in Geriatric Medicine 1992;1:1-17. 

  67. Chang NS. Trends in Breakfast Consumption Patterns of Korean Adults. J of Korean Diet Association 1997;3(2):216-222. 

  68. Christiansen KE. The Determinant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PhD Dissertation Rush University 1981. 

  69. Clark DO, Stump TE, Hui SI & Wolinsky FD. Predictors of Mobility and Basic ADL Difficulty Among Adults Aged 70 years and Older. Journal of Ageing and Healh 1998;10(4):422-440. 

  70. David M Bott; Mary C Kapp; Lorraine B Johnson; Linda M Magno. Disease Management For Chronically Ill Beneficiaries In Traditional Medicare. Health Affairs 2009;28(1):86-98. 

  71. Duffy ME et al., Correlates of Health Promotion Activities in Employed Mexican American Women. Nursing Research 1996;45(1):18-24. 

  72. Exercise Referral Systems: A National Quality Assurance Framework. NHS 2001. 

  73. Farmer MM & Ferraro KF. Distress and Perceived Health: Mechanisms of Health Decline. J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997;39(Sept):377-383. 

  74. Fried LP, Brandeen-Roche K, Kasper JD & Guralnik JM. Association of Comorbidity with Disablity in Older Women: the Women's Health and Ageing Study. Journal of Epidemiology 1999;52(1):27-37. 

  75. GP Exercise Referral Scheme: GP Information Package. Sutherland Division of General Practice Inc. 2007. 

  76. Graham K and Gail Schmidt. Alcohol Use and Psychosocial Well-being Among Older Adults.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1999;60:345-351. 

  77. Haines PS, Guilkey DK, Popkin BM. Trends in Breakfast Consumption of US Adults between 1965 and 1991. J of American Diet Association 1996;96(5):464-470. 

  78. Hejda S, Fabry P. Frequency of Food Intake in Relation to Some Parameters of the Nutritional Status. Nutr. Dieta 1964; 215-228. 

  79. Hirdes JP & Forbes WF. Factors Associated with the Maintenance of Good Self-rated Health. J of Aging and Health 1993;5(1):101-122. 

  80. Idler EI & Benyyamini Y. Self-rated Health and Mortality: A Review of Twenty-seven Community Studies. Journal of Social Behavior 1997;38:21-37. 

  81. Jennison KM. The Impact of Stressful Life Events and Social Support on Drinking among Older Adults: A General Population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Ageing and Human Development 1992;35:99-123. 

  82. Johnson CL. Interaction: Social and Culture Diversity of the Oldest-old.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geing and Human Development 1994;38(1):1-12. 

  83. Kahana E, Lawrence RH, Kahana B, Stange K. Long-term Impact of Preventive Proactivity on Quality of Life of the Old Aged. Psych Med. 2002; 64:382-394. 

  84. Kivinen P, Sulkava R, Halonen. P & Nissinen A. Self-reported and Performance-based Functional Status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Elderly Men: the Finnish Cohorts of Seven Countries Study.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1998;51(12):1243-1252. 

  85. Kullbok PA & Baldwin JH. From Preventive Health Behavior to Health Promotion: Advancing a Positive Construct of Health. ANS 1992;14(4):50-64. 

  86. Kuo H.K., Jones RN, Milberg WP, Teenstedt S, Talbot L & Morris. Effect of Blood Pressure and Diabetes Mellitus on Cognitive and Physical Functions in Older Adults: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Advanced Cognitive Training for Independent and Vital Elderly Cohort.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005;53(7):1154-1161. 

  87. Minkler M. Health Education, Health Promotion and the Open Society. Health Education Quarterly 1989;16(19):17-30. 

  88. Mishara BL. What We Know, Don't Know, and Need to Know about Older Alcoholics and How to Help Them: Models of Prevention and Treatment. The Combined Problems of Alcoholism, Drug Addiction and Ageing 1985:243-261 

  89. Mokdad AH, Clark AE, Georgellis Y. Diener E. Reexamining Adaptation and the Set Point Model of Happiness: Reactions to Change in Martial Status. J Pres Soc Psychol 2003;84(3):527-539. 

  90. Murphy, S. B. Predicting the Success of Cataract Surgery. Journal of Behavior Medical 1982;3:1-14. 

  91. Paffenbarger RS et al. Physical Activity as an Index of Heart Attack Risk in College Alumni.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978; 161-175. 

  92. Schlenker ED. Nutrition in Ageing. WCB/McGrawhill 1998. 

  93. Segovia, J., Bartlett, R. F. & Edwards, A.C. The Association Between Self-assessed Health Status and Individual Health Practices. Canadian Journal of Public Health 1989;(Jan/Feb):32-37. 

  94. Speake DL, Cowart ME & Pallet K. Health Prescriptions and Lifestyles of the Elderly.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989;12:93-100. 

  95. Wilson RW & Elinson J. National Survey of Personal Health Practices and Consequences: Background, Conceptual Issues and Selected Findings. Public Health Reports 1981;96:218-225. 

  96. http://mdss.kostat.go.kr/mdssext/ 

  97. http://www.apha.or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