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천변 버드나무군락의 1차 순 생산량, 유기탄소 흡수량과 낙엽분해
Net Primary Production, Annual Accumulation of Organic Carbon and Leaf Decomposition in Salix Plant Community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2 no.1, 2010년, pp.15 - 22  

한승주 (공주대학교 생물학과) ,  김현우 (공주대학교 생물학과) ,  김해란 (공주대학교 생물학과) ,  김혜주 (김혜주자연환경계획연구소) ,  한동욱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  박상규 (아주대학교 자연과학부) ,  유영한 (공주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남한강과 낙동강의 버드나무군락에서 생태계 기능의 지표인 식물군집의 1차 순 생산량, 탄소흡수량과 낙엽분해율을 각각 측정하였다. 순 1차 생산량과 유기탄소흡수량은 각각 22.5ton/ha/yr(16.7ton/ha/yr-31.2ton/ha/yr), 9.7ton C/ha/yr(7.5ton C/ha/yr-14.0ton C/ha/yr)로서 최대값은 우리나라에서 보고된 값 중에서 가장 높았다. 이는 다른 군락보다 버드나무군락을 하천변에 조성하면, 이산화탄소를 빠르게 제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낙엽분해는 버드나무군락의 주변에서 가장 빠르게 분해가 일어났고, 버드나무군락 안, 초본군락 순으로 느리게 일어났다. 그 분해속도는 수생식물보다는 느리고, 육상식물보다는 빨랐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measured net primary productivity, annual accumulation of organic carbon and leaf decomposition of Salix community in the flood plain of the Han River and the Nakdong River. Net primary productivity, annual accumulation of organic carbon of the Salix community were 22.5ton/ha/yr(16.7ton/ha/yr-3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하천인 남한강과 낙동강의 습지에서 자라는 버드나무군락에서의 1차 생산량과 낙엽분해율 그리고 탄소함량을 조사하여 하천변 습지에서의 물질순환과 에너지흐름을 이해하는데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습지는 어떤 생태계인가요? 습지는 주기적으로 수생식물이 우점하고, 기질은 배수가 불량한 습토이고, 특정 생육기간에 기질이 물에 포화되어 있거나 얕은 물에 덮여 있는 생태계이다(Cowardin 등, 1979). 습지는 오염된 물을 정화하고 홍수를 막아 주고 수변부 침식을 억제하며 지하수를 재충전케 하는 동시에 육상과 수중생태계의 전이지대로서 양쪽의 환경이 섞이는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이 습지 식물을 이용 하는 다양한 동물과 미생물의 생육지를 제공한다 (Keddy, 2002).
습지는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나요? 습지는 주기적으로 수생식물이 우점하고, 기질은 배수가 불량한 습토이고, 특정 생육기간에 기질이 물에 포화되어 있거나 얕은 물에 덮여 있는 생태계이다(Cowardin 등, 1979). 습지는 오염된 물을 정화하고 홍수를 막아 주고 수변부 침식을 억제하며 지하수를 재충전케 하는 동시에 육상과 수중생태계의 전이지대로서 양쪽의 환경이 섞이는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이 습지 식물을 이용 하는 다양한 동물과 미생물의 생육지를 제공한다 (Keddy, 2002). 특히 습지는 다양한 멸종위기식물이 생육하는 중요한 서식처이다(최홍근, 2000).
습지는 다른 한편으로는 어떤 장소로 이용되며, 어떤 기능이 있나요? 또한 습지 내 식생은 생산자로서 다른 생물의 먹이자원으로 활용되며 수생먹이사슬의 탄소원이고 물질순환의 토대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어류나 수서성 무척추동물의 산란장소로 이용되고, 환경 스트레스로부터 피할 수 있는 피난처가 되는 등다른 생물들의 서식환경으로 작용하고, 물리적으로는 홍수를 조절하고, 토양의 침식을 억제하고, 수질을 정화한다(Keddy, 2002). 이러한 습지의 기능을 이해하고,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복원하기 위해서는 그 지역에서 생육하는 식생과 식물군락을 먼저 밝히는 것이 필수적이다(이율경과 김종원, 2005; 송종석과 송 승달, 19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김구연, 주기재, 김현우, 신건성, 윤해순, 낙동강 하류에서 수서무척추동물에 의한 정수식물의 낙엽분해, 한국하천호수학회지 35(3), pp. 172-180, 2002. 

  2. 김성봉, 습지와 환경자원 도서출판, 월인, p. 168, 2008. 

  3. 김시경, 정좌용, 굴참나무 천연림의 생산구조및 물질생산력에 관한 연구, 한림지, 70, pp. 91-102, 1985, 

  4. 김용택, 이승우, 김준호, 잣나무 유림의 수령에 따른 생산량 및 태양에너지 이용효율 비교, 한국생태학회지, 11(2), pp. 83-95, 1988. 

  5. 김재근, 장남기, 관악산에 식재된 리기다소나무림에서의 낙엽의 생산과 분해, 한국생태학회지, 12(1), pp. 9-20. 1989. 

  6. 김준호, 서계홍, 정연숙, 이규송, 고성덕, 이점숙, 임병선, 문형태, 조강현, 이희선, 유영한, 민병미, 이창석, 이은주, 오경환, 현대생태학, 교문사, pp. 206-207, 2007. 

  7. 김준호, 임영득, 조도순, 고성덕, 민병미, 지리산 피아골 극상림의 군락구조, 식물량 및 일차생산에 관한 연구, 한국자연보존협회사보고서, 21. pp. 53-73, 1982. 

  8. 김태근, 이괄홍, 오경환, 우포늪 지역에서 버드나무류 군집의 현존식생도, 현존량 및 1차 생산성, 한국습지학회지, 9(2), pp. 33-43, 2007. 

  9. 김혜주, 신범균, 유영한, 김창환, 홍수터복원을 위한 국내 잠재자연하천 식생에 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2, pp. 564-594, 2008. 

  10. 김혜주, 이준헌, Salix종의 생물공학적 이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6(3), pp. 143-151, 1998. 

  11. 박인협, 문광선, 주요 참나무류 천연림의 물질생산 및 현존량 추정식에 관한 연구. 한림지, 83,pp. 246-256, 1994. 

  12. 박인협, 이석면, 한국산 4개 지역형 소나무천연림의 물질생산에 관한 연구, 한림지, 79, pp.196-204, 1990. 

  13. 송종석, 송승달, 낙동강 상류 한천 일대의 하천변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19(5), pp. 431-451, 1996. 

  14. 송칠영, 이수욱, 신갈나무와 굴참나무 천연림 생태계의 현존량 및 물질생산성에 관한 연구, 한림지, 85, pp. 443-452, 1996. 

  15. 송칠영, 장관순, 박관수, 이승우, 신갈나무와 굴참나무 천연림의 탄소 고정량 분석, 한림지, 86, pp. 35-45, 1997. 

  16. 신진호, 최상규, 연명훈, 김정명, 심재국, 대형 수생식물의 초기 분해에 관한 연구, Ecol. Field Biol, 29(6), pp. 565-572, 2006. 

  17. 이수욱, 강원도산 소나무천연림 생태계의 biomass 및 net primary production에 관한 연구, 한림지, 71, pp. 74-81, 1985. 

  18. 이율경, 김종원, 한국의 하천식생, 계명대학교출판부, 2005. 

  19. 이정석, 김춘식, 후박나무 물질생산량에 관하여, 한림지, 77, pp. 10-165, 1988. 

  20. 장남기, 김인자, 지리산 피아골 졸참나무와 서나무 군락의 물질생산과 분해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6, pp. 198-207, 1983. 

  21. 장남기, 박남창, 남한의 송백림에 있어서 낙엽의 생산과 분해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9(2), pp. 79-90, 1986. 

  22. 장남기, 유준희, 리기다소나무림 부식토내의 Cellulase, Xylanase의 활성과 토양미생물의 연간변동과 수직분포, 한국생태학회지, 9(4), pp .231-241, 1986. 

  23. 조강현, 팔당호에서 대형수생식물에 의한 물질생산과 염소와 인의 순환,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24. 채명인, 김준호, 물오리나무와 상수리나무숲의 생산성 비교 한국생태학회지, 1, pp. 57-65, 1977. 

  25. 최홍근, 수생관속식물, 생명공학연구소, 2000. 

  26. 허은복, 하천의 생태적 복원을 위한 자연하천변의 목본성 식물군락에 대한 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7. Cowardin, L. M., V. Carter, F. C. Golet, and E. T. LaRoe., Classification of wetlands and deepwater habitats of the United States, FWS/OBS-79/31,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Washington, D.C, 1979. 

  28. Fogel R, Cromack Jr K., Effect of habitat and substrate quality on Douglas fir litter decomposition in western Oregon, Canadian Journal of Botany, 55, pp. 1632-1640, 1977. 

  29. Hong, S K, Nobugazu Nakagoshi, Song, H K, Productivity of Secondary Pine Forests and their Sustainable Management in Korea, Proceed, IUFRO International Workshop on Sustainable Forest Magagement, Furano, Hokkaido Japan(October, 17-21, 1994). pp. 81-89, 1994. 

  30. Houghton, R.A., J.E. Hobbie, J.M. Melillo, B. Moore, B.J. Peterson, G.R. Shaver and G.M. Woodwell., Change in the carbon content of terrestrial biota and soils between 1860 and 1980; a net release of $CO_{2}$ to the atmosphere, Ecological Monographs, 53, pp. 235-262, 1983. 

  31. Kwak Y S, Kim, J H, Secular Changes of Density. Litterfall, Phytomass and Primary Production in Mongolian Oak(Quercus mongolica) Fores, Koerea J Ecol, 15, pp. 19-34, 1992. 

  32. Keddy, P. A., Wetland ecology: Principles and conserv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2002. 

  33. Kimberley A. Ottenbreit and Richard J. Staniforth, Life cycle and age structure of ramets in an expanding population of Salix exigua (sandbar willow), Can. J. Bot., 70(6), pp. 1141?1146, 1992. 

  34. Kim C S, Lim JH, Shin JH, Nutrient dynamics in litterfall and decomposing leaf litter at the Kwangneung deciduous broad-leaved natural forest, Kor Jour Agri For Meteoro, 5(2), pp. 87-93, 2003. 

  35. Kim, J S, Litter Decomposition and Nitrogen Release in Three Quercus Species at Temperate Broad-Leaved Forest,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3(2), pp. 123-131, 2007. 

  36. Kopp R.F., Abrahamson L.P., White E.H., Burns K.F., Nowak C.A., Cutting cycle and spacing effects on a willow clone in New York, Biomass and Bioenergy, 12, pp. 313-319, 1997. 

  37. Mun, H T, Weight Loss and Nutrient Dynamics during Leaf Litter Decomposition of Quercus monglica in Mt. Worak National Park, J. Ecol. Field Biol, 32(2), pp.123-127, 2009. 

  38. Olson J S., Energy storage and balance of producers and decomposers in ecological system, Ecology, 44, pp. 321-331. 1963. 

  39. Szczukowski S., Tworkowski J., Stolarski M., Characteristic of willow coppice biomass as a stock material for methanol production, Warszawa, pp. 143?150. 2003. 

  40. Szczukowski, S., Stolarski, M., Tworkowski, J., Przyborowski, J., Klasa, A., Productivity of willow coppice plants grown in short rotations, Plant Soil Environ, 51(9), pp. 423-430,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