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의 반응적, 선행적 공격성에 대한 기질과 부모양육태도의 영향
The Effect of Tem Parament and Parenting on Children's Reactive and Proactive Aggression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8 no.4 = no.106, 2010년, pp.117 - 125  

이주리 (중앙대학교 아동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additive and interactive effects of temperament and parenting on children's reactive and proactive aggression. The participants were 2844 4th graders(1524 boys, 1320 girls) from the Korea Youth Panel Study(KYPS). The results show sthat : (1)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infl...

주제어

참고문헌 (30)

  1. 김정원 . 김현주(2007). 아동의 공격성과 관련변인들의 관계성연구. 아동교육, 16(2), 85-93. 

  2. 김지현(2009). 아동의 성과 공격성 유형에 따른 어머니 양육행동, 아동의 정서지능과 일상적 스트레스 수준의 차이. 아동학회지, 30(6), 489-504. 

  3. 김재엽 . 정윤경(2007).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공격성 및 폭력행동과의 관계. 청소학 연구, 14(5), 169-197. 

  4. 박성연(2002). 아버지의 양육행동과 남아의 공격성간의 관계 및 세대간 전이. 아동학회지, 23(5), 35-50. 

  5. 박지숙 . 임승현 . 박성연(2009). 아동의 성, 기질, 어머니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이 사회적 위축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0(3), 85-98. 

  6. 오채미 . 공인숙 (2007).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4), 139-149. 

  7. 윤진주 . 강신영 . 이복주 (2005). 유아의 공격성과 관련변인들의 관계성 연구-유아의 기질과 자기조절 및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14(5), 761-770. 

  8. 이주리(2008). Data Mining을 이용한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보호요인 및 위험요인 탐색. 인간발달연구, 15(4), 51-65. 

  9. Bandura, A. (1973). Aggression: A social learning analysi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0. Berkowitz, L. (1962). Aggression: A social psychological analysis. New York: McGraw-Hill. 

  11. Brody, G. H, Dorsey, S., Forehand, R. & Armistead, L. (2002). Unique and protective contributions of parenting and classroom processes to the adjustment of African American children living in single-parent families. Child Development, 73(1), 274-286. 

  12. Crick, N. R, & Dodge, K. A. (1996).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mechani는 in reactive and proactive aggression Child Development, 67(3), 993-1002. 

  13. Dodge, K. A. (1991).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reactive and proactive aggression. In D. Peppler & K. Rubin(Eds.), The development and treatment of childhood aggression (pp. 201-218). Hillsdale, NJ: Erlbaum. 

  14. Dodge, K. A., Lochman, J. E., Harnish, J. D., Bates, J. E., & Pettit, G. S. (1997). Reactive and proactive aggression in school children and psychiatrically impaired chronically assaultive youth.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6(1), 37-51. 

  15. Eisenberg, N., Cumberland, A., Spinrad, T. L., Fabes, R. A., Shepard, S. A, Reiser, M, Murphy, B. C., Losoya, S. H, & Guthrie, I. K. (2001). The Relations of Regulation and Emotionality to Children's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Child Development, 72(4), 1112-1134. 

  16. Eisenberg, N., Fabes, R. A, Guthrie, I. K, Murphy, B. C., Maszk, P., Holgren, R, et al. (1996). The relations of regulation and emotionality to problem behavior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8, 141-162. 

  17. Hubbard, J. A., Dodge, K. A., Cillessen, A. H. N., Coie, J. D., & Schwartz, D. (2001). The dyadic nature of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in boys' reactive and proactive aggre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0(2), 268-280. 

  18. Hubbard, J. A., Smithmyer, C. M., Ramsden, S. R., Parker, E. H., Flanagan, K. D., Dearing, K. F., et al., (2002). Observational, physiological, and self-report measures of children's anger: Relation to reactive versus proactive aggression. Child Development, 73(4), 1101-1118. 

  19. Kochanska, G., Murray, K. T., & Harlan, E. T. (2000). Effortful control in early childhood: Continuity and change, antecedents, and implications for social develop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36(2), 220-232. 

  20. Nunnally, J. C. (1967). Psychometric theory. New York : McGraw-Hill. 

  21. Paterson, G., & Sanson, A. (1999). The association of behavioral adjustment to temperament, parenting, and family characteristics among S-year-old children. Social Development, 8(3), 293-309. 

  22. Poulin, F., & Boivin, M. (2000). Proactive and reactive aggression: Evidence of a two-factor model. Psychological Assesment, 12(2), 115-122. 

  23. Raine, A., Reynolds, C., Venables, P. H., Mednick, S. A., & Farrington, D. P. (1998). Fearlessness, stimulation-seeking, and large body size at age 3 years as early predispositions to childhood aggression at age 11 year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55(8), 745-751. 

  24. Rothbart, M. K., & Bates, J. E. (2006). Temperament. In W. Damon & R. M. Lerner (Series Eds.) & N. Eisenberg(Vol.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6th ed., pp.99-166). New York: Wiley. 

  25. Smithmyer, C. M, Hubbard, J. A., & Simons, R. F. (2000). Proactive and reactive aggression in delinquent adolescents: Relations to aggression outcome expectancies.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9(1), 86-93. 

  26. Vitaro, F., Barker, E. D., Boivin, M, Brendgen, M, & Tremblay, R. E. (2006). Do early difficult temperament and harsh parenting differentially predict reactive and proactive aggression?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4(5), 685-695. 

  27. Vitaro, F., Brendgen, M. & Tremblay, R. E. (2002). Reactively and proactively aggression children: Antecedent and subsequent characteristic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3(4), 495-505. 

  28. Vitaro, F., Gendreau, P. L., Tremblay, R. E., & Oligny, P. (1998). Reactive and proactive aggression differentially predict later conduct problem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9(3), 377-385. 

  29. Xu, Y., Farver, J. A. M., & Zhang, Z. (2009). Temperament, harsh and indulgent parenting, and Chinese children's proactive and reactive aggression. Child Development, 80(1), 244-258. 

  30. Zuckerman, M. (1979). Sensation seeking: Beyond the optimal level of arousal. Hillsdale, NJ: Erlbaum.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