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모로부터의 학대 경험이 중학생의 반응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Child Maltreatment on Reactive Aggression Amongst Middle-School Students and the Moderating Role of Self-Control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6 no.4, 2015년, pp.71 - 89  

권민정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박주희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hild maltreatment and self-control on reactive aggression amongst middle-school students and investigated whether students' self-control had any form of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maltreatment and reactive aggression. The particip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부모로부터의 학대 경험과 자기통제력이 반응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부모로부터의 학대 경험이 반응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이 자기통제력에 의해 조절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이때 부모로부터의 학대 경험은 신체학대, 정서학대, 방임을 포함하며, 성학대는 제외하고자 한다.
  • , 2011) 대상에 한정되어 있어, 실제 폭력행동과 반응적 공격성의 위험이 증가하는 중학교 시기(Bas & Yurdabakan, 2012)의 청소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자기통제력이 중학생의 반응적 공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 또한 학대 피해는 하나의 학대가 단독으로 발생하기보다는 실제 하나 이상의 학대가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데(Kim & Choi, 2012), 신체 학대와 반응적 공격성의 관계를 연구한 Jang과 Lee(2013)는 여러 유형의 학대가 동시에 발생하는 생태학적 특성을 연구에 반영하지 못한 것을 연구의 한계로 지적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보편화된 신체학대와 정서학대, 방임을 포함하는 학대 정의를 바탕으로, 학대의 누적적인 피해 경험의 심각성을 고려하여, 부모로부터의 학대 경험이 반응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특히 자기통제력은 학대의 부정적 영향의 보호요인으로써 반응적 공격성을 줄이는 데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결과는 부모로부터의 학대를 경험한 중학생의 반응적 공격성을 줄이기 위한 상담 개입과 중재 프로그램에서 자기통제력 강화가 중학생의 반응적 공격성을 낮추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수 있다는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부모로부터의 학대 경험과 중학생의 자기통제력이 반응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부모로부터의 학대 경험이 반응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주요 결과들을 중심으로 논의하고, 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 구체적으로 중학생의 공감능력을 높이는 방법으로는 Choi와 Lee(2015), Han과 Park(2015)이 언급한 방법을 제안할 수 있다. 이 연구자들은 청소년들이 자신의 감정을 알아채고 표현할 수 있도록 연습하는 것, 짝과 역할놀이를 통해 서로의 감정을 읽는 것, 나와 타인의 차이를 이해하는 활동 등을 포함하여 공감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이 외에도 타인의 이야기를 듣고, 보고, 말하는 활동들을 직접해보며 적극적으로 공감 반응을 표현하는 훈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 한편, 학대 경험과 반응적 공격성 간에 성차가 나타났다는 선행연구 결과들(Ford et al., 2010; Lee & Kim, 2012; Shin & Kim, 2014)과 아동․청소년의 반응적 공격성이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보고한 선행연구들(Barker et al., 2006; Bas & Yurdabakan, 2012)의 결과를 토대로, 부모로부터의 학대 경험이 반응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성별과 연령에 따른 차이가 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성별과 연령을 통제변인으로 포함시켜 연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정보처리 이론에 따르면, 부모로부터 학대받은 경험과 반응적 공격성의 상관관계는? 그 중에서도 부모로부터의 학대 경험은 반응적 공격성을 설명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간주되어 왔는데(Dodge, Lochman, Harnish, Bates, & Pettit, 1997; Jang & Lee, 2013; Shields & Cicchetti, 1998), 이러한 관계는 사회정보처리 이론(Crick & Dodge, 1996)을 근거로 설명할수 있다. 이 이론에 따르면, 부모로부터의 학대 경험은 반응적 공격성을 보일 가능성을 높인다. 학대받은 아동들의 경우 학대 받지 않은 아동들에 비해 부모로부터의 학대와 거부 경험의 영향으로 상황에 적절하게 사회적 단서를 처리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적대적 귀인 편향이 높아 반응적 공격성을 나타낼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Dodge et al., 1997).
반응적 공격성이란? 반응적 공격성이란 지각된 위협과 좌절, 도발에 대한 분노로 인해 촉발되는 적대적이고 충동적인 방어적 반응을 의미하는 것으로(Crick & Dodge, 1996) 행동의 의도가 불분명한 상황에서 다른 사람의 의도를 적대적으로 해석하고 그로 인해 발생하는 부정적인 감정을 조절하지 못한 결과 보복적이고 충동적인 방식으로 반응함으로써 나타난다. 이와 같은 반응적 공격성은 급격한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변화로 인해 정서와 행동의 충동성과 불안정성이 증가하고 또래관계의 확장에 따른 또래 간 갈등이 증가하는 중학교 시기에 특히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 (Lerner & Steinberg, 2004).
반응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선행연구들에 따르면 학대 경험, 부정적인 양육방식, 적대적 귀인 편향, 자기통제력 부족, 정서조절의 어려움, 사회적 기술 부족 등 다양한 요인이 반응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친다(Calvete & Orue, 2012; Vitaro, Brendgen, & Barker, 2006; White, Jarrett, & Ollendick, 2013; Winstok, 2009). 그 중에서도 부모로부터의 학대 경험은 반응적 공격성을 설명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간주되어 왔는데(Dodge, Lochman, Harnish, Bates, & Pettit, 1997; Jang & Lee, 2013; Shields & Cicchetti, 1998), 이러한 관계는 사회정보처리 이론(Crick & Dodge, 1996)을 근거로 설명할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2)

  1. Aiken, L. S., & West, S. G. (1991).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Newbury Park, CA: Sage. 

  2. Barker, E. D., Tremblay, R. E., Nagin, D. S., Vitaro, F., & Lacourse, E. (2006). Development of male proactive and reactive physical aggression during adolescenc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7(8), 783-790. 

  3.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4. Bas, A. U., & Yurdabakan, I. (2012). Factor structure of the reactive-proactive aggression questionnaire in Turkish children and gender, grade-level, and socioeconomic status differences in reactive and proactive aggression. Journal of Psychoeducational Assessment. 30(3), 284-297. 

  5. Baumeister, R. F., Vohs, K. D., & Tice, D. M. (2007). The strength model of self-control.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6(6), 351-355. 

  6. Burt, C. H., Simons, R. L., & Simons, L. G. (2006). A longitudinal test of the effects of parenting and the stability of self-control: Negative evidence for the general theory of crime. Criminology, 44(2), 353-396. 

  7. Calvete, E., & Orue, I. (2012). The role of emotion regulation in the predictive association between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aggressive behavior in adolesc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36(5), 338-347. 

  8. Card, N. A., & Little, T. D. (2006). Proactive and reactive aggression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A meta-analysis of differential relations with psychosocial adjust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30(5), 466-480. 

  9. Chen, P., Coccaro, E. F., Lee, R., & Jacobson, K. C. (2012). Moderating effects of childhood maltreatment on associations between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adult aggression. Psychological Medicine, 42(6), 1293-1304. 

  10. Choi, M. K. & Lee, S. Y. (2015). A study on empathy ability, awareness & attitude change through empathy centered-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for non-adapted student. Jounal of Youth Welfare, 17(1), 75-96. 

  11. Cohen, L. J., Tanis, T., Bhattacharjee, R., Nesci, C., Halmi, W., & Galynker, I. (2014). Are there differential relationships between different types of childhood maltreatment and different types of adult personality pathology? Psychiatry Research, 215(1), 192-201. 

  12. Connor, D. F., Doerfler, L. A., Volungis, A. M., Steingard, R. J., & Melloni, R. H. (2003). Aggressive behavior in abused children.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1008(1), 79-90. 

  13. Crick, N. R., & Dodge, K. A. (1996). Social information-processing mechanisms in reactive and proactive aggression. Child Development, 67(3), 993-1002. 

  14. Denson, T. F., Capper, M. M., Oaten, M., Friese, M., & Schofield, T. P. (2011). Self-control training decreases aggression in response to provocation in aggressive individuals.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5(2), 252-256. 

  15. DeWall, C. N., Finkel, T., & Denson. (2011). Self-control inhibits aggression.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Compass, 5(7), 458-472. 

  16. Dodge, K. A., Lochman, J. E., Harnish, J. D., Bates, J. E., & Pettit, G. S. (1997). Reactive and proactive aggression in school children and psychiatrically impaired chronically assaultive youth.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6(1), 37-51. 

  17. Finkenauer, C., Engels, R., & Baumeister, R. F. (2005). Parenting behaviour and adolescent behavioural and emotional problems: The role of self-control.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9(1), 58-69. 

  18. Fite, P. J., Rathert, J. L., Stoppelbein, L., & Greening, L. (2012). Social problems as a mediator of the link between reactive aggression and withdrawn/depressed symptoms.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1(2), 184-189. 

  19. Fite, P. J., Rubens, S. L., Preddy, T. M., Raine, A., & Pardini, D. A. (2014). Reactive/proactive aggression and the development of internalizing problems in males: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 and peer relationships. Aggressive Behavior, 40(1), 69-78. 

  20. Folger, S., & Wright, M. (2013). Altering risk following child maltreatment: Family and friend support as protective factors. Journal of Family Violence, 28(4), 325-337. 

  21. Ford, J. D., Fraleigh, L. A., & Connor, D. F. (2010). Child abuse and aggression among seriously emotionally disturbed children. Journal of Clinical Child and Adolescent Psychology, 39(1), 25-34. 

  22. Geeraert, L., Van den Noortgate, W., Grietens, H., & Onghena, P. (2004). The effects of early prevention programs for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at risk for physical child abuse and neglect: A meta-analysis. Child Maltreatment, 9(3), 277-291. 

  23. Gottfredson, M. R., & Hirschi, T. (1990). A general theory of crime. Palo Alto,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24. Han, I. Y., Lee, Y. W., Yoo, S. K., Park, M. S., & Kim, J. S. (2008). A national survey on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child sexual abuse.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0(2), 131-153. 

  25. Han, K. I. & Park, S. H. (2015). Effects of an empathy enhancing program embedded in the national elementary curriculum on children's empathy ability, aggressive behaviors, and inclusive classroom climate.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31(1), 337-364. 

  26. Han, Y. K. (2008). The relation of psychological variables to relational aggression in early adolesc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Korea. 

  27. Higgins, D. J. (2004). The importance of degree versus type of maltreatment: A cluster analysis of child abuse types. Journal of Psychology, 138(4), 303-324. 

  28. Hwang, J. G. (2010). Study about self control program for youth under protection surveillance. Probation and Parole Services, 10(2), 287-324. 

  29. Jang, H. S., & Lee, S. Y. (2013). The mediating effects of effortful control and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buse experience and reactive aggression.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6(3), 19-45. 

  30. Jin, M. H.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environment children realized and self-control, aggres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Korea. 

  31. Joo, S. Y.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confliction children realized and self control, aggres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32. Jun, J. R., & Kim, S. O. (2012). The effects of self-control, parental behaviors, and marital conflict on boys' aggression in Korean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0(2), 101-120. 

  33. Kim, H. N., Kim, M. O., Kim, S. H., & Cheon, S. M.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style with parents and internet-game addiction tendency of 5th and 6th graders in public elementary school: The meditation of self-control.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29(4), 175-194. 

  34. Kim, J. Y. & Choi, K. H. (2012). The co-occurrence of child physical abuse and neglect.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14(3), 193-213. 

  35. Kim, J. Y & Park, E. Y.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e by parents and school violence behavior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control and family suppor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9), 25-49. 

  36. Kim, S. K. & Cheon, S. M. (2015). Meta-analysis on variables related to self-control: Focused on family environment and psychological factor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7(1), 85-107. 

  37. Kim, Y. M. & Lim, Y. S. (2014). Change patterns of adolescents' self-control employing the hierarchical growth modeling: Tests of the effects of parent attachment, peer attachment and teacher attachmen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1(5), 303-327. 

  38. Kolla, N. J., Malcolm, C., Attard, S., Arenovich, T., Blackwood, N., & Hodgins, S. (2013). Childhood maltreatment and aggressive behaviour in violent offenders with psychopathy. The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58(8), 487-494. 

  39. Kort-Butler, L. A., Tyler, K. A., & Melander, L. A. (2011). Childhood maltreatment, parental monitoring, and self-control among homeless young adults. Criminal Justice and Behavior, 38(12), 1244-1264. 

  40. Lee, H., & Kim, E. J.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and emotional variables and subtypes of aggression in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9(1), 227-250. 

  41. Lee, V., & Hoaken, P. N. S. (2007). Cognition, emotion, and neurobiological development: Mediating the relation between maltreatment and aggression. Child Maltreatment, 12(3), 281-298. 

  42. Lee, Y. K.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psychological symptom, interpersonal problem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attach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43. Lerner, R. M., & Steinberg, L. D. (2004). Handbook of adolescent psychology. New Jersey: John Wiley & Sons. 

  44. Lundahl, B. W., Nimer, J., & Parsons, B. (2006). Preventing child abuse: A meta-analysis of parent training programs. Research on Social Work Practice, 16(3), 251-262. 

  45. Mills, R., Scott, J., Alati, R., O'Callaghan, M., Najman, J. M., & Strathearn, L. (2013). Child maltreatment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problems in a large birth cohort. Child Abuse & Neglect, 37(5), 292-302. 

  4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The status of child maltreatment of 2013.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47. Nam, H. M. (1999).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family environment, self-control and friends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ir problems behavi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48. Nho, C. R., Chung, I. J., Chun, J. S., & Kim, J. H. (2012). Perception in child abuse among law enforcement officials. Ewha Journal of Social Sciences, 27, 77-106. 

  49. Ostrov, J. M., & Houston, R. J. (2008). The utility of forms and functions of aggression in emerging adulthood: Association with personality disorder symptomatology.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7(9), 1147-1158. 

  50. Park, J. H., & Lim, Y. M. (2014). The moderating effects of closeness to teacher and peer attachment on the relations between child maltreatment and neglect on adolescents' behavior problems. Journal of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11(3), 87-110. 

  51. Park, M. O., & Cho, Y. J. (2014). The influence of traumatic experience on the bullying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aggression. Journal of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11(1), 23-43. 

  52. Preddy, T. M., Fite, P. J., Wimsatt, A. R., Vitulano, M. L., & Gaertner, A. E. (2014). The role of intimate exchange in the link between reactive aggression and child depressive symptoms.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3(3), 510-520. 

  53. Seong, S. H., Hong, C. H., & Kim, G. A. (2014). The effect of the self-regulation program on self-control, impulsiveness, aggression of juvenile delinquents.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8(2), 157-178. 

  54. Shackman, J. E., & Pollak, S. D. (2014). Impact of physical maltreatment on the regulation of negative affect and aggression.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26(4), 1021-1033. 

  55. Shields, A., & Cicchetti, D. (1998). Reactive aggression among maltreated children: The contributions of attention and emotion dysregulation.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7(4), 381-395. 

  56. Shin, H. S., & Kim, S. M. (2014). Differences in attitudes toward bullying and moral disengagement among aggression clusters in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1(3), 307-331. 

  57. Swogger, M. T., Walsh, Z., Maisto, S. A., & Conner, K. R. (2014). Reactive and proactive aggression and suicide attempts among criminal offenders. Criminal Justice and Behavior, 41(3), 337-344. 

  58. van der Kolk, B. A. (2005). Developmental trauma disorder. Psychiatric Annals, 35(5), 401-408. 

  59. Vitaro, F., Brendgen, M., & Barker, E. D. (2006). Subtypes of aggressive behaviors: A developmental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30(1), 12-19. 

  60. Vranceanu, A. M., Hobfoll, S. E., & Johnson, R. J. (2007). Child multi-type maltreatment and associated depression and PTSD symptoms: The role of social support and stress. Child Abuse & Neglect, 31(1), 71-84. 

  61. White, B. A., Jarrett, M. A., & Ollendick, T. H. (2013). Self-regulation deficits explain the link between reactive aggression and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in children.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35(1), 1-9. 

  62. Winstok, Z. (2009). From self-control capabilities and the need to control others to proactive and reactive aggression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ce, 32(3), 455-4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