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플란트 형태와 골흡수가 임플란트 피로 수명 및 파절 특성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Effect of Implant Types and Bone Resorption on the Fatigue Life and Fracture Characteristics of Dental Implants 원문보기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v.26 no.2, 2010년, pp.121 - 143  

원호연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 교실) ,  최유성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 교실) ,  조인호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 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임플란트 형태 및 골 흡수가 피로 파절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오스탬 임플란트 4가지 형태 즉 외부 연결 평행형, 내부 연결 평행형, 외부 연결 첨형, 내부 연결 첨형 선정하고, 8개 군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식립 높이에 따른 피로 수명 변화 조사하기 위하여 시료 고정 지그 표면으로부터 고정체를 각각 2mm, 4mm 노출시켜 피로 시험을 시행하였다. 피로 파절 실험은 하중 조건을 최대 하중 600N, 최소 하중 60N으로 하였으며, 스테인리스 스틸로 지그 제작하여 동적 하중 피로 시험기에 연결하고 고정 후 실온에서 14Hz로 실험하였다. 고정체, 지대주 나사 파절 양상, 파절 위치 등 관찰하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 사용하였으며, 유한 요소 분석 하여 고정체, 지대주 나사에 나타나는 응력 분포, 파절면 양상 비교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고정체를 2mm 노출시켜 피로 시험시 첨형 임플란트 피로 수명이 평행형보다 높고, 외부 연결형이 내부 연결형보다 높았다. 2. 고정체를 4mm씩 노출시켜 피로 시험시 평행형 임플란트 피로 수명이 첨형보다 높고, 외부 연결형 임플란트 피로수명이 내부 연결형보다 높았다. 3. 고정체 노출 높이가 2mm인 경우 내부 연결형은 모두 지대주 몸체, 고정체 육각부 접하는 경계부에서 수평으로 피로 파절 발생하였고, 외부 연결형은 고정체 육각부에서 고정체 나사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또는 고정체 사공 간부에서 피로 파절 발생하였다. 고정체가 4mm 노출된 경우 임플란트 종류 무관하게 지대주 나사 첨부 고정체 사공간부에서 주로 발생하였다. 4. 피로 파절면 관찰은 모든 군에서 피로 줄무늬를 보였으며 취성파괴 특징인 벽개파면, 연성파괴 특징인 딤플무늬 등이 혼재되어 나타났다. 5. 압축력 받는 협측 유효 응력인장력 받는 설측보다 높고, 고정체에 작용하는 유효 응력이 지대주 나사에 작용하는 것보다 높았으며, 고정체에 작용하는 최대 유효 응력은 평행형에서 높았다. 따라서 교합력 많이 받는 구치부에서 내부 연결형 임플란트 식립시 각별한 주의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mplant types and bone resorption on the fracture characteristics. 4 types of Osstem$^{(R)}$Implant were chosen and classified into external parallel, internal parallel, external taper, internal taper groups. Finite elements analysis was conducted with ANSYS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고정체의 사공간부에서 고정체만 파절, 고정체와 지대주 나사 둘 다 파절, 지대주와 고정체 육각부가 접하는 경계부에서 지대주와 지대주 나사 둘 다 파절된 경우로 나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위에서 분류한 3가지 파절 형태로 파손된 대표적인 임플란트 각 1종을 선택하여 파단면을 자세히 관찰하였다.

가설 설정

  • 3차원 기하모델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임플란트 고정체의 내부 나사와 연결 나사 사이에 빈 공간이 없다고 가정하였으며, ANSYS (Ver10.0, Ansys Corp., USA)를 이용하여 전처리(pre-processing) 과정을 시행하였다. 임플란트 시스템의 2차원 단면 모형과 치수 측정 결과로부터 임플란트 시스템의 3차원 모형을 생성하였다.
  • 유한 요소 해석에 있어서 해의 근사치를 구하기 위하여 임플란트 시스템을 구성하는 고정체, 고정 나사, 치밀 골을 강소성체 (rigid-plastic)로 가정하였고, 임플란트 각 구성 부품들은 완전한 접합을 이루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임플란트 고정체의 재질은 grade IV 순수 티타늄, 고정 나사는 Ti6Al4V 티타늄 합금, 지대주는 티타늄 합금 grade Ⅲ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대주를 덮는 캡은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져 있다.
  • )을 적용 하여 3차원 유한 요소 모델을 생성하였고, 3차원 유한 요소 모델에서는 46,324개의 사면체 절점(tetrahedron node)과 292,948개의 요소로 분할하여 해석하였다. 응력 해석을 위한 모델은 고정체(fixture), 고정 나사(abutment screw), 지대주(abutment), 지대주를 덮는 캡(cap), 치밀골(compact bone)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구조물간 요소의 연결은 완전한 접합을 이루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특히 임플란트의 피로 시험 조건과 일치시키기 위하여 임플란트는 치밀 골판에 30°경사지게 식립하는 조건으로 가정 하였으며, 응력 해석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임플란트 고정체와 고정체에 인접한 골 부위를 세밀한 격자(mesh)로 나누었다.
  • 치과 임플란트에 대한 ISO 피로 시험 조건과 일치시키기 위하여 고정체(4.0×13.0 ㎜)와 지대주(4.0×7.0 ㎜)가 고정 나사에 의해 연결된 총 길이가 20.0㎜인 임플란트 시스템을 피질 골에 7.0㎜, 9.0㎜ 매식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치부 임플란트에서 파절이 주로 발생되는 이유는? 이와 같이 구치부 임플란트에서 파절이 주로 발생되는 이유는 구치부에서 과하중, 과도한 하악의 측방 운동의 증대, 비정상적인 악습관 등이 결합하여 과도한 측방력이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교합의 과하중, 임플란트 위치, 부적절한 보철물의 설계 및 연결 부품의 부적합, 점진적으로 발생되는 진행성 골 소실, 금속 피로, 임플란트 직경, 제조 결함, 전위차 부식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요인들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9,19-24) 다수의 연구자들은 교합 과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임플란트 파절이 이상기능 습관과 이갈이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는데,23-27) 이상기능 습관에 의한 교합 하중의 크기 및 주기가 증가되면 굽힘 하중이 증가되고, 이와 같은 굽힘 하중의 증가는 임플란트 파절 위험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교합력은 무엇에 의해 발생하는가? 저작근의 수축에 의해 발생되는 교합력은 인종, 성별, 연령, 치아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 측절치에서 가장 낮고, 제1대구치에서 최대값을 갖는다. 하악 구치부는 평균 저작력이 490N정도이고, 최대 저작압은 610N이므로,34,35) 과도한 측방 운동이 일어났을 경우 구치부가 다른 구강내 부위보다 많은 교합력을 받게되어 파절의 80%는 소구치 및 대구치 부위에서 주로 발생되며, 거의 모든 단일 치아 수복 시 임플란트의 파절은 구치부에서 발생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Adell R, Lekholm U, Rockler B, et al. A 15-year study of osseointegrated implants in the treatment of the edentulous jaw. Int J Oral Surg 1981;10:387-416. 

  2. Adell R, Eriksson B, Lekholm U, et al. Long-term follow-up study of osseointegrated implants in the treatment of totally edentulous jaw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0;5:347-59. 

  3. Albrektsson T, Zarb G, Worthington P, et al. The long-term efficacy of currently used dental implants: a review and proposed criteria of succes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86;1:11-25. 

  4. Albrektsson T, Blomberg S, Branemark A, et al. Edentulousness an oral handicap patient reactions to treatment with jawbone anchored prostheses. J Oral Rehabil 1987;14:503-11. 

  5. Albrektsson T, Dahl E, Enbom L, et al. Osseointegrated oral implants. A Swedish multicenter study of 8139 consecutively inserted Nobelpharma implants. J Periodontol 1988;59:287-96. 

  6. Albrektsson T. A multicenter report on osseointegrated oral implants. J Prosthet Dent 60:75-84. 

  7. Eckert SE, Meraw SJ, Cal E, et al. Analysis of incidence and associated factors with fractured implants: a retrospective study.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0;15:662-7. 

  8. Schwarz MS. Mechanical complications of dental implants. Clin Oral Implants Res 2000;1:156-8. 

  9. Balshi TJ, Hernandez RE, Pryszlak MC, et al. An analysis and management of fractured implants. a clinical report.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6;11(5):660-5. 

  10. Mericske-Stern R, Steinlin Schaffner T, Marti P, et al. Peri-implant mucosal aspects of ITI implants supporting overdentures. A five-year longitudinal study. Clin Oral Implants Res 1994;5:9-18. 

  11. Tolman DE, Laney WR. Tissue-integrated prosthesis complication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2;7: 477-84. 

  12. Jemt T, Lekholm U. Oral implant treatment in posterior partially edentulous jaws: A 5-year follow up report.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3;8: 635-40. 

  13. Choe HC, Lee JK, Chung CH. Analyses of fractured implant fixture after prolonged implantation. Metals and Materials International 2004;10(4):327-40. 

  14. Ragnar A, Eriksson B, Lekholm U. A longtermfollow up study of osseointegrated implants in the treatment of totally edentulous jaw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0;5:347-59. 

  15. Takeshita F, Sutsugu T, Higuchi Y, et al. Histologic study of failed hollow implant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6;11:245-50. 

  16. Zarb GA, Schmitt A. The longitudinal clinical effectiveness of osseointegrated dental implants: the Toronto study. Part I: Surgical results. J Prosthet Dent 1990;63: 451-7. 

  17. Rangert B, Krogh PH, Langer B, et al. Bending overload and implant fracture: a retrospective clinical analysi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5;10: 326-34. 

  18. Levine RA, Clem DS, Wilson TG Jr, et al. Multicenter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ITI implant system used for single-tooth replacements: results of loading for 2 or more year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9;14:516-20. 

  19. Balshi TJ, Hernandez RE, Pryszlak MC,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one implant versus two replacing a single molar.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6;11:372-8. 

  20. Cranin AN, Dibling JB, Simons A, et al. Report of the incidence of implant insert fracture and repair of Core-Vent dental implant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0;16:184-8. 

  21. Lanyon LE, Goodship AE, Pye CJ, et al. Mechanically adaptive bone remodelling. J Biomech 1982;15:141-54. 

  22. Heather JC, John KS, Mark CV. Fractures related to occlusal overload with single posterior implants. A clinical report. J Prosthet Dent 2008;99:251-6. 

  23. Quirynen M, Naert I, van Steenberghe D. Fixture design and overload influence marginal bone loss and fixture success in the Branemark system. Clin Oral Implants Res 1992;3:104-11. 

  24. Machtei EE, Horwitz J, Peled M, et al. Fracture of dental implants: literature review and report of a case. Implant Dent 2002;11:137-43. 

  25. Naert I, Quirynen M, van Steenberghe D, et al. A study of 589 consecutive implants supporting complete fixed prostheses. Part II: Prosthetic aspects. J Prosthet Dent 1992;68:949-56. 

  26. Piattelli A, Piattelli M, Scarano A, et al.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report of four fractured implant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8;13: 561-4. 

  27. Tosun T, Karabuda C, Cuhadaroglu C. Evaluation of sleep bruxism by polysomnographic analysis in patients with dental implant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3;18:286-92. 

  28. Patterson EA, Johns RB. Theoretical analysis of the fatigue life of fixture screws in osseointegrated dental implant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2;7: 26-33. 

  29. Morgan MJ, James DF, Pilliar RM. Fractures of the fixture component of an osseointegrated implant.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3;8:409-14. 

  30. Carlson B, Carlsson GE. Prosthodontic complications in osseointegrated dental implant treatment.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4;9:90-4. 

  31. Sato Y, Shindoi N, Hosokawa R, et al. A biomechanical effect of wide implant placement and offset placement of three implants in the posterior partially edentulous region. J Oral Rehabil 2000;27:15-21. 

  32. Brunski JB, Puleo DA, Nanci A. Biomaterials and biomechanics of oral and maxillofacial implants: current status and future development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0;15:15-46. 

  33. Taylor TD, Agar JR, Vogiatzi T. Implant prosthodontics: current perspective and future direction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0;15:66-75. 

  34. Kim JH, Lee JB.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Korean foods and the fractures of PFG and all ceramic crowns for posterior applications. J Korean Acad Prosthodont 2009;47(2): 156-163. 

  35. Bonakdarchiana M, Askaria N, Askarib M. Effect of face form on maximal molar bite force with natural dentition. Archives of Oral Biology 2009;54:201-4. 

  36. Kenji W. Higuchi, Tiddo F. Implant survival rates in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A 3-year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J Oral Maxillofac Surgery 1995;53 (3): 264-8. 

  37. Binon PP, McHugh MJ. The effect of eliminating implant/abutment rotational misfit on screw joint stability. Int J Prosthodont 1996;9:511-9. 

  38. Pfeifer AB, Sendyk CL, Sendyk WR, et al. Fracture of abutment screw supporting a cemented implant retained prosthesis with external hexagon connection: a case report. J Appl Oral Sci 2007;15(2):148-51. 

  39. Rangert B, Jemt T. Forces and moments on Branemark implant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89;4:241-7. 

  40. Kim YS, Kim CW, Lim YJ, et al. Application of finite element analysis to evaluate implant fracture. J Korean Acad Prosthodont 2006;44(3):295-313. 

  41. Park WH, Lee YS.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stress analysis of implant prosthesis according to the different fixture locations and angulations. J Korean Acad Prosthodont 2005;43:61-77. 

  42. Linkow LI, Donath K, Lemons JE. Retrieval analyses of a blade implant after 231 months of clinical function. Implant Dent 1992;1:37-43. 

  43. Khraisat A, Stegaroiu R, Nomura S, et al. Fatigue resistance of two implant/abutment joint designs. J Prosthet Dent 2002;88:604-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