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짧은 임플란트의 생존율과 변연골 흡수량에 관한 임상적 연구
Clinical Study on the Survival Rate and Marginal Bone Resorption of Short Implants 원문보기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v.28 no.1, 2012년, pp.1 - 13  

명태수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 교실 및 생체재료.매식연구소) ,  정승현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 교실 및 생체재료.매식연구소) ,  김태영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 교실 및 생체재료.매식연구소) ,  김유리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 교실 및 생체재료.매식연구소)

초록

짧은 임플란트는 상악동이나 하치조신경 등의 해부학적 구조물이 있거나 심한 치조골 흡수로 인해 제한적인 치조제 높이를 가지는 부위에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길이 10 mm 이하의 임플란트에서 임플란트의 길이, 직경, 식립 부위, 골이식술 유무, 보철물의 연결고정 유무가 임플란트의 생존율과 변연골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원광대학교 치과병원 임플란트센터에서 길이 10 mm 이하의 임플란트를 식립한 137명의 환자, 227개 임플란트를 대상으로 진료 기록부를 통해 임플란트의 길이, 직경, 식립 위치, 골이식 유무, 보철물의 연결고정 유무를 조사하였다. 변연골 흡수량은 Emago advanced v5.6(Oral diagnostic systems, Amsterdam, The Netherland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총 227개의 임플란트 중 8개가 실패하여, 전체 짧은 임플란트의 생존율은 96.5 %로 나타났다. 골이식 부위와 상악에 식립된 경우 더 높은 실패율을 보이는 경향이 있었으며, 임플란트의 길이와 직경은 변연골 흡수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실패 요인을 조사하였을 때, 상악의 불량한 골질과 골이식 유무가 임플란트의 더 높은 실패율에 영향을 미쳤다. 10 mm 이하 임플란트에서 길이, 직경, 식립 부위, 골이식술과 보철물의 연결 고정은 임플란트 생존율과 변연골 흡수량에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hort implants are used in parts which have anatomical structures like maxillary sinus, inferior alveolar nerve and limited alveolar height due to severe alveolar bone resorption. In these case, there are no need of additional bone augmentation so there are advantages like reduced entire treatment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고자 Emago Advanced 5.6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디지털영상공제술을 이용해 임플란트 주위 변연골흡수량을 평가하였다. Bittar-Cortez 등16은 디지털공제영상을 이용하여 측정된 변연골 흡수량이 디지털방사선사진에서 측정된 변연골흡수량과 비교했을 때 보다 작은 수치를 보이는 경향이 있지만 그 차이는 미미하다고 하였으며, 진단능이 보다 향상된다고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원광대학교 임플란트 센터에서 식립된 길이 10 mm이하 짧은 임플란트의 길이 및 직경, 식립 위치와 골이식 유무, 보철물의 연결고정 유무에 따른 생존율과 변연골 흡수량을 디지털 공제 영상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고, 향후 임플란트의 예후를 예측하여 임플란트 보철 치료 성공률을 보다 높이고자 함에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간 간격을 두고 촬영된 두 장 이상의 방사선사진을 이용한 변연골 흡수의 진단의 단점은 무엇인가? 변연골 흡수의 진단은 주로 시간 간격을 두고촬영된 두 장 이상의 방사선사진을 이용하여 이루어져 왔으나, 촬영 조건에 따라 명도 대비 차이가 발생하고, 재현성이 떨어지며, 변연골 흡수량이 적거나 형태 변화가 뚜렷이 관찰되지 않는 경우에는 진단능이 매우 낮다. Bittar-Cortez 등16은 확대경이나 sliding gauge를 이용하는 기존의 방법보다 컴퓨터에 기반한 디지털공제방사선 사진을 이용한 임플란트 변연골 높이 분석 방법이 정확도가 우수하며, 판독자 간, 판독자 내에서의 일치도가 높고, 진단능이 향상된다고 하였다.
짧은 임플란트의 정의는 어떠한가? 짧은 임플란트에 대한 정의는 다소 주관적이며, 많은 저자들이 다양한 정의를 내리고 있다. Friberg 등9과 Johns 등10은 7 mm이하의 길이를 갖는 임플란트를 짧은 임플란트로 분류한 반면에, Tawil 등11과 Testori 12, Weng 등13은 길이 10mm를 넘지 않는 임플란트를 짧은 임플란트로 정의하였고, Fugazzotto 등14은 길이 9 mm이하로 정의하였다.
골내임플란트 적용이 제한되는 경우 시행되는 외과적 술식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해당 술식들의 단점은 무엇인가? 골내임플란트는 하치조신경과 상악동 등의 해부학적 구조물이 있거나 치주염, 외상으로 인해잔존 치조제의 높이가 부족한 부위, 특히 위축된 상하악구치부에서는 적용에 제한을 받는다.4 식립 부위의 부족한 가용골량을 극복하기 위해 시행되는 하치조신경전위술, 골증강술 등의 외과적 술식은 좀 더 긴 임플란트의 식립을 가능하게해주는 반면에, 외과적 침습에 따른 환자의 유병율이 증가되고 전체 치료 기간이 연장되며, 치료비용의 증가가 뒤따른다.5,6 더욱이 골증강술은 골흡수가 수반되며, 특히 수직적 골증강술의 경우 다른 증강술에 비해 그 예지성이 낮은 한계가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lbrektsson T, Zarb G, Worthinton P, Eriksson AR. The long term efficiency of currently used dental implants : A review and proposed criteria of succes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86;1:11-25. 

  2. Buser D, Mericske-stern R, Dula K, Lang N.P. Clinical experience with one-stage, non-submerged dental implants. Adv Dent Res. 1999;13:153-161. 

  3. Bergman B. Evaluation of the results of treatment with osseointegrated implants by the Swedish National Board of Health and Walfare. J Prosthet Dent. 1983;50:114-5. 

  4. das Neves FD, Fones D, Bernardes SR. Short implants-An analysis of longitudinal studie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6;21:86-93. 

  5. Proussaefs P. Vertical alveolar ridge augmentation prior to inferior alveolar nerve repositioning: A patient report.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5;20:296-301. 

  6. Peleg M, Mazor Z, Chaushu G. Lateralization of the inferior alveolar nerve with simultaneous implant placement: A modified technique.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2;17:101-106. 

  7. Cordaro L, Torsello F. Inlay-Onlay grafting for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of the posterior atrophic maxilla with mandibular bone. Int J Oral Maxillofac Surg. 2010;39:350-57. 

  8. Grant B, Pancko F, Kraut R. Outcomes of Placing Short Dental Implants in the Posterior Mandible: A Retrospective Study of 124 Cases. J Oral Maxillofac Surg. 2009;67:713-17. 

  9. Friberg B, Grondahl K, Lekholm U, Branemark PI. Long-term follow-up of severely atrophic edentulous mandibles reconstructed with short Branemark implants. Clin Imp Dent Relat Res. 2000;2:184-189. 

  10. Johns RB, Jemt T, Heath MR. A multicenter study of overdentures supported by Branemark implant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2;7:513-522. 

  11. Tawil G, Younan R. Clinical evaluation of short, machined-surface implants followed for 12 to 92 month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3;18:894-901. 

  12. Testori T, Wiseman L, Woolfe S, Porter SS. A prospective multicenter clinical study of the Osseotite implant: Four-year interim report.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1;16:193-200. 

  13. Weng D, Jacobson Z, Tarnow D. A prospective multicenter clinical trial of 3i machined-surface implants: Results after 6 years of follow-up.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3;18:417-423. 

  14. Fugazzotto PA. Shorter implants in clinical practice: Rationale and treatment result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8;23:487-496. 

  15. Kwon JY, Kim YS, Kim CW. Assessing changes of peri-implant bone using digital substraction radiography. J Korean AcadProsthont. 2001;39:273-80. 

  16. Bittar-Cortez JA, Passeri LA, de Almeida SM, Haiter-Neto F. Comparison of peri-implant bone level assessment in digitized conventional radiographs and digital subtraction images. Dentomaxillofacial Radiology. 2006;35:258-62. 

  17. Lekholm U, Zarb G. Patient selection and preparation. In: Branemark P-I, Zarb G, Albrektsson T. Tissue-Integrated Prostheses. Chicago: Quintessence. 1985:199-209. 

  18. Lekholm U, van Steenberghe D, Herrmann I. Osseointegrated implants in the treatment of partially endentulous jaws: A prospective 5-years multicenter study.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4;9:627-35. 

  19. Bahat O. Treatment planning and placement of implants in the posteriormaxillae: Report of 732 consecutive Nobelpharma implant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3;8:151-61. 

  20. Naert I, Koutsikakis G, Quirynen M, Jacobs R. & van Steenberghe D. Biologic outcome of implantsupported restorations in the treatment of partial edentulism. Part I: a longitudinal clinical evaluation. Clin Oral Imp Res. 2002;13:381-89. 

  21. Wennerberg A, Ektessabi A, Albrektsson T, Johansson C, Andresson B. A 1-year follow-up of implants of differing surface roughness placed in rabbit bone.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7;12:486-94. 

  22. Feldman S, Boitel N, Weng D, Kohles SS. &Stach RM. Five-year survival distributions of short-length (10 mm or less) machined surfaced and Osseotite implants. Clin Imp Dent Relat Res. 2004;6:16-23. 

  23. Goene R, Bianchesi C, Hurzeler M, Del Lupo R, Testori T, Davarpanah M. &Jalbout Z. Performance of short implants in partial restorations: 3-year follow-up of Osseotite implants. Implant Dentistry. 2005;14:274-280. 

  24. Romeo E, Lops D, Margutti E, Ghisolfi M, Chiapasco M. & Vogel G. Long-term survival and success of oral implants in the treatment of full and partial arches: a 7-year prospective study with the ITI dental implant system.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4;19:247-259. 

  25. Pierrisnard L, Renouard F, Renault P, Barquins M. Influence of implant length and bicortical anchorage on implant stress distribution. Clin Imp Dent Relat Res. 2003;5:254-62. 

  26. Renouard F, Nisand D. Impact of implant length and diameter on survival rates. Clin Oral Imp Res. 2006;17:35-51. 

  27. Hertel R, Kalk W. Influence of the dimensions of implant superstructure on peri-implant bone loss. Int J Prosthodont. 1993;6:18-24. 

  28. Himmlova L, Dostalova T, Kacovsky A, Konvickova S. Influence of implant length and diameter on stress distribution: a finite element analysis. J Prosthet Dent. 2004 Jan;91:20-5. 

  29. Ivanoff CJ, Lekholm U. Influence of variations in implant diameters: a 3- to 5-years retrospective clinical report.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9; 13:173-180. 

  30. Lekholm U, Guune J. Survival of Branemark implant in partially edentulous jaws: A 10-years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9;14:639-45. 

  31. Hass R, Mensdorff-Poui N. Survival of 1920 IMZ implants followed for up to 100 month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8;13:400-06. 

  32. Yang TC, Yoshinobu M, Tomoya G. Biomechanical Rationale for Short Implants in Splinted Restorations: An In Vitro Study. Int J Prosthodont. 2011;24:130-132. 

  33. Heo MS, Lee SS, Lee KH, Choi HM, Choi SC, Park TW. Assessment of apical root resorption using digital subtraction radiography. Korean J Oral MaxillofacRadiol. 2001;31:5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