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호두나무 주요 재배지역의 생산비 분석
Analysis of Production Cost of Walnut Tree Cultivation in Major Cultivating Regions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99 no.4, 2010년, pp.611 - 617  

김재성 (국립산림과학원 녹색경제연구과) ,  이욱 (국립산림과학원 특용자원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호두나무 재배의 생산비를 파악하기 위해 호두나무 재배임가 163호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호두나무 재배 임가는 평균 0.7를 재배하고 있었으며, 식재 본수는 ha당 평균 204본으로 표준식재 본수(100본) 대비 밀식재배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는 품종으로는 충북지역 상촌 65.7%, 충남지역 광덕 68.6%, 전북지역 상촌 98.0%, 경북지역 대부 61.2%를 가장 많이 재배하고 있었다. 호두 생산을 위해 투입된 생산비용은 조성비(292천원/ha), 중간재비(3,682천원/ha), 임차료(103천원/ha), 고용노동비(653천원/ha) 등의 경영비용(4,436천원/ha)과 내급비에 자가노동비(5,834천원)/ha, 토지용역비(490천원/ha), 고정자본용역비(834천원/ha), 유동자본용역비(234천원/ha) 등으로 구분된다. 호두 생산비용으로 총 11,828천원을 투입하여 평균 11,586천원/ha(소득률 72.3%)의 소득을 올렸으며, 순수익은 4,196천원/ha(순수익률 26.2%)을 나타내 높은 소득액을 나타냈다. 생산된 호두의 판매는 농협 39.8%, 도매상 20.8%, 수집상 19.8% 등에 판매하고 있으나 최근에는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물량이 증가하면서 18.9%에 달하였다. 호두나무는 유휴토지의 활용 차원에서 재배면적이 소규모이며, 겸업적 경영을 하는 특성으로 지역별 생산정책 및 산업육성대책 수립 방안을 모색하는데 한계를 갖고 있다. 따라서 전업 임가를 대상으로 기초적인 데이터베이스(DB) 구축이 이루어진다면 수입산 호두와의 차별성이 강화될 뿐만 아니라 발전된 새로운 유통시스템으로의 전환이 가능하게 될 것이며, 이를 통해 임가의 가계소득 증가에도 크게 기여 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urrent studies aim is to analyze the production cost of walnut tree cultivation and its object was targeted at walnut tree cultivating household region 163. The analysis is as follows. Our domestic walnut tree cultivating households averagely have cultivated about 0.7ha, and planting number p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모수추정에 있어 호두를 포함한 임산물 생산비 조사는 기본적으로 지역과 규모별로 층화 추출되었으므로 가중치를 반영하여 다음과 같은 모수 추정식을 이용하여 산출하였으며, 식의 표현을 위하여 첨자는 h : 층, i : 표본 임업 가구, whi : 층 임업 가구의 가중치, yhi: h층 i임업 가구의 관측값으로 정의하였다.
  • 본 조사는 구조화된 조사월계표에 의한 현지방문 면접조사를 원칙으로 하되 전화조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으며, 조사기간은 호두 수확을 위해 투입된 생산비용의 계산을 전년도 수확 이후부터 당년 수확시점까지인 2008년 11월~2009년 10월까지 12개월간 이루어졌다. 조사항목은 기초항목으로 경지면적, 재배면적, 생산량등 3항목과 생산비 구성항목으로 조성비와 비료비, 농약비, 기타 재료비 제외한 모든 재료비, 수리(水利)비, 농구비, 영농시설비, 노동비, 위탁영농비, 토지용역비, 자본용역비 등 18항목을 포함하여 총 21항목이다.
  • 표 4. 재배지역별 생산비 분석.
  • 본 조사는 구조화된 조사월계표에 의한 현지방문 면접조사를 원칙으로 하되 전화조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으며, 조사기간은 호두 수확을 위해 투입된 생산비용의 계산을 전년도 수확 이후부터 당년 수확시점까지인 2008년 11월~2009년 10월까지 12개월간 이루어졌다. 조사항목은 기초항목으로 경지면적, 재배면적, 생산량등 3항목과 생산비 구성항목으로 조성비와 비료비, 농약비, 기타 재료비 제외한 모든 재료비, 수리(水利)비, 농구비, 영농시설비, 노동비, 위탁영농비, 토지용역비, 자본용역비 등 18항목을 포함하여 총 21항목이다. 생산비는 산물의 생산을 위하여 소비한 재화나 용역의 가치를 화폐액으로 평가한 것으로 다음과 같이 단위면적당 생산비로 하였다.

대상 데이터

  • 2009년도의 호두 생산비조사는 표본조사방식을 통해 우리나라 호두나무 주요 재배지역인 충북, 충남, 전북, 경북 등 4개도에서 2005년 임업총조사에서 조사된 해당 작물의 757호 임가(목표모집단) 중 호두나무 재배특성상 면적이 0.1 ha 이상 재배하는 163호 임가(조사모집단)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김병무, 송경환. 2004. 친환경농산물의 생산실태 및 소비확대에 관한 연구. 한국유기농업학회지 12(3): 265-278. 

  2. 김의경외 6인, 1999. 주요 임산물의 산지유통체계 및 표준화 등에 관한 연구. 산림청. 

  3. 김재성, 김외정. 1995. 단기임산소득작목 경제성 분석. 산림과학논문집 52: 87-93. 

  4. 김재성, 김의경. 1999. 주요 산과실류의 경제성 분석. 임업연구원 산림과학논문집 60: 54-65. 

  5. 김재성, 이 욱. 2009. 밤나무 주요 재배지역의 생산비 분석. 한국임학회지 98(4): 504-511. 

  6. 김형모. 1989. 한-중 농산물 교역전망과 수출경합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7. 산림청. 2009. 임업통계연보 39: 306-418. 

  8. 산림청. 2010. 2009년 임산물 생산비 통계. pp. 50-64. 

  9. 전상돈, 조응혁. 1990. 호도의 유통체계에 관한 연구-천안군의 사례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임학회지 79(2): 187-195. 

  10. 최지현, 이계임. 2001. 주요 농축산물 안정성의 효율적 관리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보고 R424. pp. 14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