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호두나무 포장 내 절지동물의 다양성
Arthropod Diversity in Walnut Orchards 원문보기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56 no.2, 2017년, pp.121 - 133  

정종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 ,  이효석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이승규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 ,  고상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국내 호두나무 재배지에 대한 절지동물의 군집 구조를 파악하고, 주요 해충과 천적의 종류 조사를 위해 수행하였다. 또한 조사방법(털어잡기, 깔때기트랩 및 함정트랩)에 따른 다양성 및 군집구조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김천시, 부여군 및 화성시에서 호두나무 재배 농가 1곳씩을 선정하였고, 2016년 5월부터 9월까지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총 408종 4,372개체의 절지동물이 채집되었고, 이중 전체 조사지역에서 채집된 종은 63종이었다. 깔때기트랩에서 가장 다양하게 절지동물이 채집되었으며, 함정트랩에서 가장 많은 절지동물이 채집되었다. 또한 깔때기트랩과 털어잡기에 의해 채집된 종 구성은 서로 유사한 특징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지역별로 주요 해충의 발생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특히 복숭아명나방, 뽕나무깍지벌레, 호두나무잎벌레, 꽃매미, 미국선녀벌레갈색날개매미충이 잠재적으로 중요한 해충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이외에도 다수의 포식성 및 기생성 절지동물들이 확인되었고, 이들에 대한 정보들은 향후 호두나무 포장의 관리에 있어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mmunity structure of arthropods, including various insect pests and their natural enemies, in walnut orchards. Furthermore, we tried to compare the species richness and community structure of arthropods by three different sampling methods, including be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호두나무 재배지에 대한 절지동물의 군집 구조를 파악하고, 주요 해충과 천적의 종류 조사를 위해 수행하였다. 또한 조사방법(털어잡기, 깔때기트랩 및 함정트랩)에 따른 다양성 및 군집구조를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호두나무의 국내 생산지별 비중은? kr). 호두나무는 국내의 중부이남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는데, 지역별로는 경북에서 전국 호두 생산량의 50.3%를 차지하고 있어 주요 생산지역으로 알려져 있고, 다음으로 충북(21.2%), 충남(12.9%), 전북(10.1%) 등의 순으로 재배되고 있다(Statistical Year Book of Forestry, 2016).
호두나무 해충을 잡아먹는 곤충 종류는? 그러나 호두나무를 가해하거나 가해할 가능성이 있는 해충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하며, 농업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천적과 관련해서도 포식성 천적인 풀잠자리, 무당벌레류, 사마귀류, 딱정벌레류 등을 보호해야 한다고만 기술되어 있어(KFRI, 2007, 2011) 전반적인 호두나무 포장 내 절지동물상에 대한 기초 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추가적으로 이들에 대한 조사방법 조차 확립되어 있지 않은 문제도 있다.
호두나무 해충으로 알려진 곤충 12종은? 기존에 알려진 호두나무 해충은 총 12종으로 국립산림과학원에서 발간한 특용수 해충도감(KFRI, 2007)과 상록활엽조경수 해충도감(KFRI, 2011)에서는 매미나방(Lymantria dispar), 미국흰불나방(Hyphantria cunea), 박쥐나방(Endoclyta excrescens),벼슬집명나방(Locastra muscosalis), 복숭아명나방(Dichocrocis punctiferalis), 어스렝이나방(Dictyoploca japonica), 차주머니나방(Eumeta minuscula), 오리나무좀(Xylosandrus germanus), 주둥무늬차색풍뎅이(Adoretus tenuimaculatus), 호두나무잎벌레(Gastrolina depressa), 뽕나무깍지벌레(Pseudaulacaspis pentagona), 대벌레(Baculum elongatum)에 대한 생태 및 방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aek, M.K., Hwang, J.M., Jung, K.S., Kim, T.W., Kim, M.C., Lee, Y.J., Cho, Y.B., Park, S.W., Lee, H.S., Ku, D.S., Jeong, J.C., Kim, K.G., Choi, D.S., Shin, E.H., Hwang, J.H., Lee, J.S., Kim, S.S., Bae, Y.S., 2010. Checklist of Korean Insects. Nature & Ecology Publishing Co., Seoul. 

  2. Chang, H.K., Lee, S.H., Choi, W., 2015. Cerambycidae of Korea. GEOBOOK Publishing Co., Seoul. 

  3. Chang, S.J., Park, I.K., 2011. Morphological and ecological study of Gastrolina depressa Baly (Coleoptera: Chrysomelidae). Korean J. Appl. Entomol. 50(3), 253-256. 

  4. Clarke, K.R., Gorley, R.N., 2006. Primer v6: User manual/tutorial, PRIMER-E, Plymouth,. 

  5. Ehler, L.E., Endicott, P.C., 1984. Effect of malathion-bait sprays on biological control of insect pests of olive, citrus, and walnut. Hilgardia 52, 1-47. 

  6. Gotelli, N.J., Colwell, R.K., 2001. Quantifying biodiversity: procedures and pitfalls in the measurement and comparison of species richness. Ecol. Lett. 4, 379-391. 

  7. Hothorn, T., Bretz, F., Westfall, P., Heiberger, R.M., Schuetzenmeister, A., Scheibe, S., 2016. Package 'multcomp'. Simultaneous Inference in General Parametric Models, version 1.4-6. 

  8. Jung, B.H., 2012a. Insect fauna of Korea, vol. 12, no. 5, Arthropoda: Insecta: Coleoptera: Tenebrionidae: Tenebrioninae. Junghaengsa, Inc., Incheon. 

  9. Jung, B.H., 2012b. Insect fauna of Korea, vol. 12, no. 9, Arthropoda: Insecta: Coleoptera: Tenebrionidae: Diaperinae, Allcculinae. Junghaengsa, Inc., Incheon. 

  10. Jung, B.H., 2013. Insect fauna of Korea, vol. 12, no. 12, Arthropoda: Insecta: Coleoptera: Tenebrionidae: Lagriinae, Stenochiinae, Pimeliinae. Junghaengsa, Inc., Incheon. 

  11. Jung, B.H., 2014. Insect fauna of Korea, vol. 12, no. 19, Arthropoda: Insecta: Coleoptera: Cleroidea: Cleridae. Junghaengsa, Inc., Incheon. 

  12. Jeong, J.K., Lee, S.I., Choi, J.S., Kwon, O.K., 2005. Comparison of occurrences of Coleoptera by three sampling methods in Mt. Yeonyeop area, Korea. Korean J. Environ. Biol. 23(3), 228-237. 

  13. KFRI, 2007. An illustrated pest book of special purpose tre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Seoul, ISBN 978-89-8176-423-4 (93520). 

  14. KFRI, 2011. An illustrated pest book of broad-leaved evergreens and landscape tre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Seoul, ISBN 978-89-8176-860-7 (93520). 

  15. Kim, D.E., Lee, H., Kim, M.J., Lee, D.-H., 2015. Predicting the potential habitat, host plants,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Pochazia shantungensis (Hemiptera: Ricaniidae) in Korea. Korean J. Appl. Entomol. 54(3), 179-189. 

  16. Kim, J.I., 2011. Insect fauna of Korea, vol. 12, no. 1, Arthropoda: Insecta: Coleoptera: Scarabaeoidea: Pleurosticti. Junghaengsa, Inc., Incheon. 

  17. Kim, J.I., 2012. Insect fauna of Korea, vol. 12, no. 3, Arthropoda: Insecta: Coleoptera: Scarabaeoidea: Laparosticti. Junghaengsa, Inc., Incheon. 

  18. Kim, T.W., 2013. Orthoptera of Korea. GEOBOOK Publishing Co., Seoul. 

  19. Lee, D.W., Choo, H.Y., Chung, J.M., Lee, S.M., Lee, T.W., and Park, Y.D., 1997. Host plants and preference of brown chafer, Adoretus tenuimaculatus Waterhouse (Coleoptera: Scarabaeidae). Korean J. Appl. Entomol. 36(2), 156-165. 

  20. Lee, K.Y., Kim, S.K., Kim, I.H., Kim, K.S., 2011. Seasonal occurrence of spot clothing wax cicada, Lycorma delicatula (Hemiptera: Fulgoridae) and it's control efficacy using EFAM at the vineyards. Korean J. Pestic. Sci. 15(3), 303-309. 

  21. McCune, B., Grace, J.B., 2002. Analysis of ecological communities. MjM Software Design. 

  22. Namkung, J., 2003. The spiders of Korea (2nd ed.). Kyo-hak Publishing Co., Seoul. 

  23. Oksanen, J., Blanchet, F.G., Friendly, M., Kindt, R., Legendre, P., McGlinn, D., Minchin, P.R., O'Hara, R.B., Simpson, G.L., Solymos, P., Stevens, M.H.H., Szoecs, E., Wagner, H., 2017. Package 'vegan'. Community ecology package, version 2.4-2. 

  24. Ostman, O., Ekbom, B., Bengtsson, J., 2001. Landscape heterogeneity and farming practice influence biological control. Basic Appl. Ecol. 2, 365-371. 

  25. Park, C.H., Lee, B.Y., and Lee, S.P., 1993. Life history of Locastra muscosalis (Walker) (Lepidoptera: Pyralidae) and its natural enemies. Korean J. Appl. Entomol. 32(1), 101-104. 

  26. Park, J.K., Choi, I.J., Park, J., Choi, E.Y. 2014. Insect fauna of Korea, vol. 12, no. 16, Arthropoda: Insecta: Coleoptera: Carabidae: Chlaeniini, Truncatipennes group: Odacanthinae, Lebiinae. Junghaengsa, Inc., Incheon, 111 pp. 

  27. Park, G.T., Kwon, Y.J., Park, J.K., Bae, Y.S., Bae, Y.J., Byun, B.K., Lee, B.W., Lee, S.H., Lee, J.W., Lee, J.E., Han, K.D., Han, H.Y., 2012. Illustrated guide book of Korean Insects. GEOBOOK Publishing Co., Seoul. 

  28. Pinheiro, J., Bates, D., DebRoy, S., Sarkar, D., EISPACK authors, Heisterkamp, S., Van Willigen, B., R Core Team, 2017. Package 'nlme'. Linear and nonlinear mixed effects models, version 3.1-131. 

  29. R Core Team, 2016. R: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http://www.R-project.org/. 

  30. Stamps, W.T., Nelson, E.A., Linit, M.J., 2009. Survey of diversity and abundance of ground-dwelling arthropods in a black walnutforage alley-cropped system in the mid-western United States. J. Kansas Entomol. Soc. 82(1), 46-62. 

  31. Stamps, W.T., Woods, T.W., Linit, M.J., Garrett, H.E., 2002. Arthropod diversity in alley cropped black walnut (Juglans nigra L.) stands in eastern Missouri, USA. Agroforest. Syst. 56(2), 167-175. 

  32. Statistical Year Book of Forestry, 2016. Statistical Year Book of Forestry. Korea Forest Service. Publication registration number, 11-1400000-000001-10. 

  33. Van Sambeek, J.W., Garrett, H.E., 2004. Ground cover management in walnut and other hardwood plantings. p. 85-100. In: C.H. Michler et al. (Eds), Black walnut in a new century: Proc. of the 6th Walnut Council Symp., Lafayette, IN. 25-28 July 2004. General Tech. Rep. NC-243. USDA Forest Service North Central Research Stn., St. Paul, MN. 

  34. Weber, B.C., McPherson, J.E., 1984. Attack on black walnut trees by the ambrosia beetle Xylosandrus germanus (Coleoptera: Scolytidae). Forest Science 30(4), 864-870. 

  35. Weibull, A.C., Ostman, O., Granqvist, A., 2003. Species richness in agroecosystems: the effect of landscape, habitat and farm management. Biodivers. Conserv. 12, 133-135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