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 영향에 따른 호두나무 재배지역 변화 예측
Predicting the Changes in Cultivation Areas of Walnut Trees (Juglans sinensis) in Korea Due to Climate Change Impacts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17 no.4, 2015년, pp.399 - 410  

이상혁 (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이상훈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  이솔애 (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지승용 (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최재용 (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호두나무에 대하여 단기임산물 재배적 지도를 바탕으로 기후변화를 고려한 전국의 재배가능지역을 MaxEnt 모델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RCP 4.5 및 8.5 시나리오와 HadGEM2-AO모델을 이용하여 2050년대와 2070년대의 기후변화에 따른 재배지역 변화를 예측하였다. 분석결과, 미래의 재배적지면적을 현재 수치와 비교하였을 때, RCP 4.5에서는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에 이르는 우리나라 서쪽 지역이 주로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RCP 8.5에서는 경상북도, 경상남도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평균고도가 600m 이상으로 높은 지역인 강원도는 2070년대 RCP 4.5에서 18.3%, RCP 8.5에서 56.6%가 증가할 것으로 나타나 기후변화의 영향 정도에 따라 전국적으로 재배가능지역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호두 생산량이 가장 많은 지역을 분석한 결과 공주시, 김천시, 영동군은 2070년대에는 RCP 8.5에서 재배지역의 감소가 클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공주시는 RCP 4.5에서 감소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무주군과 천안시는 현재의 재배가능지역이 모든 시나리오에서 유지될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예상되는 피해를 최소화하고 경쟁력 있는 임산물 생산을 위한 기후변화 영향평가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our study was to predict future cultivation areas for walnut trees (Juglans sinensis), using the cultivation suitability map provided from Korea Forest Service and MaxEnt modelling under future climate conditions. The climate conditions in 2050s and 2070s were computed using the Re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기임산물의 수실류 중 경제성이 높고 고부가가치의 임산물인 호두나무를 대상으로 미래 기후에 따른 지역별 재배적정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하지만 동 지도는 현재를 기반으로 한 추정일 뿐이기 때문에 미래의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현재뿐만 아니라 미래의 재배적지변화를 예측하는 연구가 포함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역을 대상으로 대표적 단기소득임산물인 호두나무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재배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출현정보(presence data)만을 이용해 분포 예측을 할 수 있는MaxEnt 모형을 선택하고 기후 및 지리적 환경변수를 이용한 분석을 통해 현재 재배가능지역을 분석하였으며, RCP 4.
  • 본 연구는 북위 33~39도, 동경 123.5~131.0도의 우리나라 전역을 대상으로 호두나무의 잠재적 재배가능지역을 예측하고자 한다.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1950년부터 2000년까지의 기상 및 기후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기후를 설정하고, 2050년대, 2070년대 재배가능지역의 변화에 따른 소멸 위험성과 새로운 재배 적지를 분석하였다.
  • 임업진흥원 ‘다드림’서비스를 통해 내려받은 호두나무 재배적지를 바탕으로 위치자료를 추출하였다. 본 연구의 목표는 우리나라 전역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므로, 비출현자료에 대한 현장 조사 자료구축에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출현자료만을 활용하는 MaxEnt 모형(Phillips and Dudik, 2008; Song and Kim, 2012)을 사용하여 호두나무 재배적지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실(樹實)류가 갖는 유리한 점은 무엇인가? 수실(樹實)류는 과실수확을 목적으로 산림의 장기투자에서 오는 경제적인 취약성을 극복하고 집약적 임지 활용에 의한 단기임업소득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유리한 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호두(Walnut)는 우리나라 수실류 가운데 가장 경제성이 높은 고부가가치 임산물 중의 하나이며 밤, 잣 또한 마찬가지로 단기소득임산물 중 상당히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주요한 단기소득 수종으로 꼽히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호두나무를 재배하기 적절한 조건은 무엇인가? , 2008). 우리나라에서는 연평균 12°C 등온선을 중심으로 난대 중부에서 온대 중부에 걸쳐 재배되고 있는데, 배수가 양호하고 여름철에 서늘하며 겨울에 온화한 산간지방으로 강수와 습기가 적은 곳에서 재배하는 것이 적절하다(KFS, 2012). 현재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호두나무는 페르시안 호두나무(Juglans regia)를 모수로 하고 가래나무(J.
우리나라 수실류 중 경제성이 높은 수종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수실(樹實)류는 과실수확을 목적으로 산림의 장기투자에서 오는 경제적인 취약성을 극복하고 집약적 임지 활용에 의한 단기임업소득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유리한 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호두(Walnut)는 우리나라 수실류 가운데 가장 경제성이 높은 고부가가치 임산물 중의 하나이며 밤, 잣 또한 마찬가지로 단기소득임산물 중 상당히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주요한 단기소득 수종으로 꼽히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Choi, J., P. S. Lee, and S. H. Lee, 2015: Anticipation of the future suitable cultivation areas for Korean pines in Korean peninsula with climate chang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8(1), 103-11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Dormann, C. F., 2007: Effects of incorporating spatial autocorrelation into the analysis of species distribution data. Global Ecology and Biogeography 16(2), 129-138. 

  3. Dormann, C. F., J. Elith, S. Bacher, C. Buchmann, G. Carl, G. Carre, J. R. Garcia Marquez, B. Gruber, B. Lafoourcade, P. J. Leitao, T. Munkemuller, C. Mcclean, P. E. Osborne, B. Reineking, B. Schroder, A. K. Skidmore, D. Zurell, and S. Lautenbach, 2013: Collinearity: a review of methods to deal with it and a simulation study evaluating their performance. Ecography 36(1), 27-46. 

  4. Franklin, J., 2009: Mapping species distributions: spatial inference and predi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Hijmans, R. J., S. E. Cameron, J. L. Parra, P. G. Jones, and A. Jarvis, 2005: Very high resolution interpolated climate surfaces for global land area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25, 1965-1978. 

  6. KFRI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09: History and the application of the suitable trees on a site. Research Report, 2009.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Korea Forest Service. 

  7. KFRI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1: Cultivation of Walnut tre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Korea Forest Service. 

  8. KFS (Korea Forest Service)., 2012: Forest products standard cultivate guide for Good Agricultural Practice, Korea Forest Service. 

  9. KFS (Korea Forest Service)., 2013: Statistics in Forest Products. (in Korean) 

  10. KFS (Korea Forest Service)., 2014: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no.44. (in Korean) 

  11. Kim, S., U. Chung, S. H. Kim, I. M. Choi, and J. I. Yun, 2009: The suitable region and site for 'Fuji' apple under the projected climate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1(4), 162-17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S. Y., I. H. Heo, and S. H. Lee, 2010: Impacts of temperature rising on changing of cultivation area of appl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16(3), 201-2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Y. K., W. K. Lee, Y. H. Kim, S. Oh, and J. H. Heo, 2012: Changes in potential distribution of Pinus rigida caused by climate chang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1(3): 509-51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S. B., Y. W. Ko, D. K. Oh and H. K. Noh, 2013: A study on regional specialization of fruit trees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2(2), 292-29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im, J. W., H. Jung, S. W. Jeon, and D. K. Lee, 2015: Predicting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using an ensemble of climate scenario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8(2), 79-8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How to Utilize the Regional Climate Change Information, 27pp. 

  17. Ko, Y. W., 2013: A study of regional specialization for activation of non-timber forest products. M.A.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Lee, U. K., M. S. Jung, M. H. Lee, K. N. Kang, J. O. Hyun, and Y. H. Kwon, 2008: A consideration on the pollen morphology of walnut trees (Juglans spp.) by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Journal of Apiculture 23(2), 139-14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Lee, S. H., H. Jung, and J. Choi, 2012: Projecting climate change impact on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endemic Plants (Megaleranthis saniculifolia)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5(3), 75-8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Liu, C., P. M. Berry, T. P. Dawson, and R. G. Pearson, 2005: Selecting thresholds of occurrence in the prediction of species distributions. Ecography 28, 385-393. 

  21. NIMR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2011: Report on the Climate Change Scenario in Response to IPCC 5th Assessment Report,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in Korean) 

  22. Phillips, S. J., R. P. Anderson, and R. E. Schapire, 2006: Maximum entropy modeling of species geographic distributions. Ecological Modelling 190, 231-259 

  23. Phillips, S. J., and M. Dudik, 2008: Modeling of species distributions with MaxEnt: new extensions and a comprehensive evaluation. Ecography 31, 161-175 

  24. Seo, C. W, T. Y Choi, Y. S. Choi, and D. Y. Kim, 2008: A study on wildlife habitat suitability modeling for goral (Nemorhaedus caudatus raddeanus) in Seoraksan National Park.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11(3), 28-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Shim, K. M., J. T. Lee, Y. S. Lee, and G. Y. Kim, 2004: Reclassification of winter barley cultivation zones in Korea based on recent evidences in climate chang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6(4), 218-23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Song, W. K., and E. Y. Kim, 2012: A comparison of machine learning species distribution methods for habitat analysis of the Korea water deer (Hydropotes inermis argyropu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8(1), 171-18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Song, W. K., 2015: Habitat analysis of Hyla suweonensis in the breeding season using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hcnology 18(1), 71-8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Syfert, M. M., M. J. Smith, and D. A. Coomes, 2013: The effects of sampling bias and model complexity on the predictive performance of MaxEnt species distribution models. PLoS ONE 8(7), e55158. doi:10.1371/journal.pone.0055158 

  29. Thuiller, W., 2003: BIOMOD-optimizing predictions of species distributions and projecting potential future shifts under global change. Global Change Biology 9(10), 1353-1362. 

  30. Warren, D. L., and S. N. Seifert, 2011: Ecological niche modeling in MaxEnt: the importance of model complexity and the performance of model selection criteria, Ecological Applications 21, 335-342. 

  31. Watling, J. I., S. S. Romanach, D. N. Bucklin, C. Speroterra, L. A. Brandt, L. G. Pearlstine, and F. J. Mazzotti, 2012: Do bioclimate variables improve performance of climate envelope models?. Ecological Modelling, 246(10), 79-85. 

  32. Bean, W. T., R. Stafford, and J. S. Brashares, 2012: The effects of small sample size and sample bias on threshold selection and accuracy assessment of species distribution models. Ecography 35, 250-258. 

  33. http://www.forest.go.kr (2015. 12. 01) 

  34. http://www.kfri.go.kr (2015. 12. 0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