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염화칼슘 처리가 산벚나무 엽의 엽록소형광반응과 광합성기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lcium Chloride($CaCl_2$) on Chlorophyll Fluorescence Image and Photosynthetic Apparatus in the Leaves of Prunus sargentii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99 no.6, 2010년, pp.922 - 928  

성주한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보전부) ,  제선미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보전부) ,  김선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보전부) ,  김영걸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보전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겨울철 제설제로 사용되고 있는 염화칼슘($CaCl_2$)이 산벚나무(P. sargentii) 가로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염화칼슘 농도가 다른 수용액을 2회 처리 후 엽록소형광이미지와 광반응-광합성속도와 같은 광합성기구의 반응, 엽과 근원경 생장을 조사하였다. 3년생 산벚나무를 대상으로 개엽 전에 염화칼슘 0.5%(9 mM), 1.0%(18 mM), 3.0%(54 mM)를 2(1 L)회 뿌리둘레 부위에 처리하였다. 염화칼슘의 처리결과, 염화칼슘의 농도가 짙어짐에 따라 대조구에 비해 염화칼슘처리구의 총엽록소함량과 엽록소 a/b, 광합성속도, 양자수율, 암호흡이 감소하였다. 반면 광보상점은 염화칼슘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였다. 광합성과 양자수율, 암호흡, 광보상점과의 상관관계에서 양자수율과 광보상점에서 유의성이 나타났다(p<0.05). 한편, 최대형광($F_M$)과 최소형광($F_0$)의 차이인 Fv값의 형광이미지를 통해 빛을 이용하는 능력의 차이가 처리구와 대조구간에 확실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광계의 활성(Fv/$F_M$과 비광화학적 소멸(NPQ)의 처리 80일째 값이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염화칼슘 수용액에 의해서 산벚나무의 광합성, 동화기관 및 비대생장이 장애를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is a little information on the effect of calcium cloride ($CaCl_2$) which is used as deicing salt in Korea on the physiological responses of the street trees. Prunus sargentii is one of the most widespread tree species of street vegetation in Korea. In this study, the effect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가로수로 식재된 산벚나무를 대상으로 서로 다른 농도의 염화칼슘을 처리하여 빛을 포획하고 CO2를 흡수, 고정하는 광합성기구의 변화를 엽록소 형광방출 이미지를 통해 고찰하고 이에 따른 생장율의 변화를 통하여 근권부의 염화칼슘처리에 따른 산벚나무의 생리적 변화를 연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광합성작용을 위해 1차적으로 빛을 수확하는 곳은 어디인가? 식물이 생장하기 위해서는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CO2를 고정하는 광합성작용이 필수이다. 1차적으로 빛을 수확하는 곳은 엽육세포내 엽록체안의 엽록소로써 엽록소에서 빛에너지를 흡수하게 되면 분자가 들뜬 상태가 되는데 이것을 안정된 상태의 바닥상태로 되돌리기 위해 광자를 방출하게 된다. 이때 이 광자는 붉은 빛의 형광의 형태로 방출되게 되는데, 이 엽록소 형광방출은 빛을 흡수하는 광계의 기능뿐만 아니라 광합성 전체의 기능과 스트레스에 대한 민감한 지표로 이용할 수 있다.
제설제로 이용되는 염화물계 화합물로는 무엇이 있는가? 특히, 겨울철과 이른 봄의 도로 제설제 살포로 인한 염분의 영향을 간과할 수 없다. 제설제로 이용되는 것은 염화물계 화합물로 NaCl, KCl, K2SO2 , Na2SO4, MgCl 등이 있다(Jonsson and Magnusdottir, 2007; Goodrich et al., 2009).
산벚나무는 어떤 특징이 있는 식물인가? 산벚나무는 낙엽활엽교목으로 한국이 원산지로 일본 및중국에도 분포한다. 내한성이 강하여 전국 어디서나 적응 성이 강하고 양수의 특징을 가지며, 봄에 엽과 같이 피는 꽃이 화려하고 가을에 붉게 물드는 붉은 자색의 수피는 대중적인 아름다움을 주어 공원수나 가로수 소재로 적합 하다(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2009). 2008년 산림청 가로수조성현황을 보면 전체 식재 본 4,527천본 중 벚나무, 은행나무, 플라타너스, 느티나무가 전체의 75%를 차지하 는데, 이중 벚나무의 경우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2009. 식물도감. http://www. nature.go.kr 

  2. 기상청. 2009. 기상연보. pp. 306. 

  3. 도로건설교통부. 2003. 도로제설핸드북. pp. 74. 

  4. 산림청. 2009. 가로수 조성.관리 대책. pp. 16. 

  5. 김판기, 이용섭, 정동준, 우수영, 성주한, 이은주. 2001. 광환경이 내음성이 서로 다른 세 수종의 광합성 생리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지 90(4): 476-487. 

  6. 양수진, 우수영, 제선미. 2007. 저농도 오존처리에 따른 다섯 가지 유묘의 기공 변화, 엽록소 함량 및 항산화 효 소 활성. 한국임학회지 96(4): 470-476. 

  7. Abreu, M.E. and Munne-Bosch, S. 2008. Salicylic acid may be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drought-induced leaf senescence in perennials: A case study in field-grown Salvia officinalis L. plants. Environmental and Experimental Botany 64(2): 105-112. 

  8. Amthor, J.S. 2000. The McCree-de Wit-Penning de Vries- Thornley Respiration Paradigms: 30 Years Later. Annals of Botany 82: 1-20. 

  9. Arnon, D.I. 1949. Copper enzymes in isolated chloroplasts, polyphenol-oxidase in Betula vulgaris. Plant Physiology 24: 1-15. 

  10. Ashraf, M., Arfan, M., Shahbaz, M., Ahmad, M. and Jamil, A. 2002. Gas exchange characteristics and water relation in some elite skra cultivars under water deficit. Photosynthetica 40(4): 615-620. 

  11. Cannell, M.G.R., Thornley, J.H.M. 2000. Modelling the components of plant respiration: Some guiding principles. Annals of Botany 85: 45-54. 

  12. Galmes, J., Ribas-Carbo, M., Medrano, H. and Flexas, J. 2007. Response of leaf respiration to water stress in Mediterranean species with different growth forms. Journal of Arid Environments 68: 206-222. 

  13. Glynn, C.P., Gillia, A.F. and Oxenham, G. 2003. Foliar salt tolerance of Acer genotypes using chlorophyll fluorescence. Journal of Arboriculture 29(2): 61-65. 

  14. Gratani, L., Varone, L. and Catoni, R. 2008. Relationship between net photosynthesis and leaf respiration in Mediterranean evergreen species. Photosynthetica 46(4): 567-573. 

  15. Goodrich, B.A., Koski, R.D. and Jacobi, W.R. 2009. Condition of soils and vegetation along roads treated with magnesium chloride for dust suppression. Water, Air, Soil Pollution 198: 165-188. 

  16. Greenway, H. and Munns, R. 1980. Mechanisms of salt tolerance in non-halophytes. Annual Review Plant Physiology 31: 149-190. 

  17. Hagemann, M. and Murata., N. 2003. Glucosylglycerol, a compatible solute, sustains cell division under salt stress. Plant Physiology 131: 1628-1637. 

  18. James, A.R. 2002. Factors affecting $CO_2$ assimilation, leaf injury and growth in salt-stressed durum wheat. Functional plant biology 29(12): 1393-1403. 

  19. Jonsson, T.H. and Magnusdottir, M.L. 2007. Salt-related suppression of bud break in Populus trichocarpa: Cost of inclusion, ion-specific or osmotic effects? Icelandic Agricultural Sciences 20: 35-47. 

  20. Lawson, T., Lefebvre, S., Baker, N.R., Morison, J.I.L. and Baines, C.A. 2008. Reductions in mesophyll and guard cell photosynthesis impact on the control of stomatal responses to light and $CO_2$ . Journal of Experimental Botany 59(13): 3609-3619. 

  21. Lu, C.M., Qiu, N.W., Lu, Q.T., Wang, B.S. and Kuang, T.Y. 2002. Dose salt stress lead to increased susceptibility of photosystem to photoinhibition and changes in photosynthetic pigment composition in halophyte Suaeda salsa grown outdoors? Plant Science 163: 1063-1068. 

  22. Maricle, B.R., Lee, R.W., Hellquist, C.E. Kirasts, O. and Edwards, G.E. 2007. Effects of salinity on chlorophyll fluorescence and $CO_2$ fixation in C4 estuarine grasses. Photosynthetica 45(3): 433-440. 

  23. Masojidek, J., Torzillo, G., Kopecky, J., Koblzek, M., Nidiaci, L., Komenda, J., Lukavska, A. and Sacchi, A. 2000. Change in chlorophyll fluorescence quenching and pigment composition in the green Chlorococcum sp. Grown under nitrogen deficiency and salinity stress. Journal of Applied Phycology 12: 417-426. 

  24. Muraoka, H., Koizumi, H. and Pearcy, R.W. 2003. Leaf display and photosynthesis of tree seedlings in a cool temperate deciduous broad leaf forest understory. Oecologia 135: 500-509. 

  25. Poorter, H., Remkes, C. and Lambers, H. 1990. Carbon and nitrogen economy of 24 wild species differing in relative growth rate. Plant physiology 94: 621-627. 

  26. Timm, H.C., Stegemann, J. and Kuppers, M. 2002. Photosynthetic induction strongly affects the light conpensation point of net photosynthesis and coincidentally the apparent quantum yield. Trees 16: 47-62. 

  27. Wang, R., Chen, S., Zhou, X., Shen, X., Deng, L., Zhu, H., Shao, J., Shi, Y., Dai, S., Fritz, E., Huttermann, A., and Polle, A. 2008. Ionic homeostasis and reactive oxygen species control in leaves and xylem sap of two poplars subjected to NaCl stress. Tree physiology 28: 947-957. 

  28. Zhang, X., Wollenweber, B., Jiang, D., Liu, F. and Zhao, J. 2008. Water deficits and heat shock effects on photosynthesis of a transgenic Arabidopsis thaliana constitutively expressing ABP9, a bZIP transcription factor. Journal of Experimental Botany 59(4): 839-84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