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명과 지형적 위요(圍繞) 및 공간규모 인식의 관계 - 전북 진안군을 중심으로 -
Correlation between the Geographical-name and Scale of Space Surrounded with Hills - Focused on Jinan-gun in Jeollabukdo -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28 no.1, 2010년, pp.81 - 92  

이진동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김정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정태열 ((주)소울 랜드스케이프 연구소) ,  김유일 (성균관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지명학과 풍수지리학에 나타난 공간인식의 규모를 찾아내기 위해 지명에서 한자의 뜻과 부합 되는 자연부락의 외곽을 가지는 면적에 대하여 현상학적으로 위요감을 느낄 수 있는 공간규모의 기준을 도출하고자 한다. 지명어의 한역화(漢譯化) 구조에서 지명의 후부요소를 유형별로 지명에 대응하는 한자어 지명을 살펴보면 대체로 -谷系(곡계), -村系(촌계), -山系(산계), -嶺系(영계), -水系(수계), -野系(야계) 등으로 나누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중에서 한자의 음(音)과 훈(訓)을 적용시켜보면 -곡계(谷系)의 지명들이 지형적 위요감을 가질 것으로 가상이 된다. -곡계(谷系) 지명에 속하는 후부요소로 가장 많이 나타나는 고유어의 형태는 -실과 -골이며 골짜기 혹은 마을의 뜻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지명이 지형의 의미를 포함한다는 점을 지명유래에서 착안하였으며, 지명학을 근간으로 전라북도 진안군 270개 자연부락 중 -곡(谷)계 지명에 속하는 33개 부락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한 결과 -곡(谷)계 지명을 가진 자연부락은 대부분 사신사(四神砂) 풍수이론이 근간이 되어 대부분 어떤 형태로든 위요(圍繞)되어 있었으며, 그 공간규모는 10만~25만$m^2$이다. 이러한 규모의 공간을 우리 조상들은 부락을 형성할 때 아늑한 공간으로 인식하였음을 분석결과 확인하였다. 공간규모를 시각적으로 쉽게 비교하기 위해 방과 같은 정방형으로 환산하였을 때 한 변의 길이는 300m~500m의 규모를 보이며, 이는 방과 같은 아담한 외부공간으로 인식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ne of the standard scales of outside space. Fortunately, Korea has interesting old geographical name representing the environment where people feel comfortable by being enclosed by hills or mountains like in a room. The name of Chinese letter "谷" meaning valle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물리적 환경을 다루는 실증적 연구들에서는 대개 유력한 이론을 내 세우고 모델을 설정하여 그에 대한 검증 방법으로서 사례조사를 하며, 그 결과를 일반화 시키고자 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 의해 계량화하고 점유율이나 분포도가 우세한 범위로 그 결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그러나 모든 지역이 공히 일반화되기는 다소 어렵겠지만 우리나라의 지형조건과 동일한 풍수문화에 따르면 동등한 규모의 분포도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 지명의 분석을 시작으로 하여 한국적 지형 특색을 잘 반영하고 있는 곡(谷)에 대한 해석과 그 곳에 위치한 자연부락을 분석하여 지명학적으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며, 외부 공간계획에 중요한 지표가 될 것이다. 또한 사신사의 풍수이론을 살펴보면 위요된 지형이 인간이 살아가기에 가장 포근하고 안락함을 가져다 준다는 근거를 문헌 조사에 의해 검토하였다.
  • 1965)에 의하면 인간이 광장의 중앙에 서서 주위의 건축물을 바라볼 경우 건축물 높이에 대한 앙각이 18°(건축 높이와 건축물까지의 거리와의 비가 1:3, 즉 광장의 폭까지는 길이가 건축 높이의 6배) 이상이면 『울타리(위요) 효과』가 유지되고 있다. 물론 건축적 위요와는 차이가 나겠지만 본 연구에서는 자연의 상태에서도 앙각이 위요감을 느낄 수 있는 규모의 기준을 추출할 수 있는 것에 중점을 두는 의미로 해석한다.
  • 본 연구는 -곡계(谷系)의 지명을 가진 옛 자연부락이 위요 되고 아늑한 외부공간으로 인식하여 그 명칭이 전승되었음을 증명하는 학술적 근거 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공간계획을 함에 있어 위요감을 느낄 수 있는 아늑한 공간규모(외부공간감, 거리감)의 지표를 도출하고자 한다. 우리가 실내 공간에서 느끼는 아늑한 공간감은 건축의 공간개념에서 많이 연구되어 왔다.
  • 본 연구는 지명학과 풍수지리학에 나타난 공간인식의 규모를 찾아내기 위해 지명에서 한자의 뜻과 부합 되는 자연부락의 외곽1)을 가지는 면적에 대하여 현상적2)으로 위요감을 얻을 수 있는 규모의 기준을 도출하고자 한다. 선행 연구에서 살펴보면 일본의 한 연구논문(Ushio Saitho, Masatoshi Takeshita, Kenji Ueshima.
  • 또한 일본 건축학회편, 건축인간공학 사전에서 거리의 평가를 보면 보행거리의 한계가 사람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50% 이상의 사람이 가깝다고 느끼는 거리는 500m 내외이다. 이러한 선행연구를 근간으로 전북 진안군의 지명에 부합하는 방처럼 아늑하고 편안한 느낌을 주는 공간의 규모를 계량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설 설정

  • (1) -곡(谷)계 지명을 가진 자연부락은 지형적으로 위요되어 있으며, 환경적으로 아담하고 편안한 느낌을 주는 일정 규모를 인식하였을 것이다. 여기서 일정규모는 보행시 가깝게 느끼는 거리 500m를 한 변으로 하는 정방형의 규모인 25만m² 정도일 것이다.
  • (2) 우리 선조는 마을의 터를 처음으로 정할 때 풍수적으로 길상이며 환경적으로 안정된 골짜기에서 일정 규모를 아담하고 편안한 공간으로 인식하였으며, 그 마을의 지명은 후부요소에 곡(谷), 실(實, 室)을 붙였을 것이다.
  • 우리나라의 위요된 지형은 보통 골짜기에서 볼 수 있는 공간의 형태로서 길쭉한 직사각형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친숙해지기 쉬운 공간과의 연관성은 단순히 지적하기 어렵지만 일정한 공간의 규모를 인간이 하나의 공간으로 인식하였을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일본 건축학회편, 건축인간공학 사전, P.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곡계(谷系) 지명에 속하는 후부요소로 가장 많이 나타나는 고유어 형태는 무엇이 있는가? 후부요소를 유형별로 고유어 지명에 대응하는 한자어 지명을 살펴보면 대체로 -곡계(谷系), -촌계(村系), -산계(山系), -영계(嶺系), -수계(水系), -야계(野系)등 으로 나누는 것이 일반적이다. -곡계(谷系) 지명에 속하는 후부요소로 가장 많이 나타나는 고유어 형태는 -실, -골이며 이에 대응하는 한자어 형태는 -곡(谷) 만이 나타난다. 이에 속하는 예로는 가느실(細谷), 가마실(釜谷), 골무실(洞山谷), 세골(鳥形谷), 큰 골짜기(大谷)등의 예가 있다.
서구의 광장에서 외곽 경계가 건축과 같이 올라와 있을 경우 위요감에는 무엇이 영향을 미친다고 여겨지는가? 서구의 광장에서 외곽 경계가 건축과 같이 올라와 있을 경우, 그 공간의 일체감으로써 위요감에는 그 곳에 서 있는 인간과 주위의 건축물과의 상대적 관계, 즉 앙각(仰角)이 큰 영향을 미친다고 여겨진다. 폴.
무로(ムロ)로 읽히는 어촌 부락들의 지형도 상에서 실험한 결과는 무엇인가? (1) ムロ<무로>라는 이름을 가진 지명은 대개 장방형이 200m ×200m에서 400m×400m의 규모를 가지고 있다. (2) 도보와 시각적 환경의 휴먼 스케일의 연구에 의하면 인간은 200~400m 미만의 거리에서 인간은 아담하게 느낄 수 있다. 이와 같은 결론은 항구의 친밀한 사이즈를 결정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간추린 진안군의 향토사(2006). 진안 문화원. 

  2. 공간의 이해와 인간공학(2007). 신태양. 서울: 도서출판 국제. 

  3. 최규영(1993). 진안의 지명. 진안: 정문당 

  4. 김병주, 이상해(2006). 를 통해 본 조선시대 씨족마을의 입지 환경.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1). 

  5. 김순영(1994). 괴산지역 지명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홍식(1975). 마을 공간 구성 방법에 대한 한국 전통사상 연구. 대한 건축학회지. 19(64). 

  7. 김희지(2004). 에 나타난 고대 한국의 지명어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楠原佑介他編(1981). 古代地名語源辭典. 東京堂出版. 

  9. 문병선(2006). 곡(谷)계 지명 농촌마을의 입지특성과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서붕교, 이경락, 이현희(2005). 건축. 환경행동의 이해. 서울: 기문당. 

  11. 신진동(2008). 조선시대 전통마을의 입지와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안기상(1989). 자연부락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李敦柱(1966). 전남 지방의 지명에 사용된 한자어의 분석적 연구. 국어국문학회 

  14. 이상훈(1998). 진안지역 마을 풍수에 관한 연구. 쟈료부문 최우수상 (연구대상) 

  15. 日本歷史地名大系(1980). 第17卷, 第23卷, 第36卷, 第38拳 第40券. 平凡社. 

  16. 임승빈(1991). 경관분석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7. 전봉희(1992). 조선시대 씨족마을의 내재적 질서와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최낙기(2005). 지명과 풍수지리의 연관성 연구. 선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崔昌祚(1984). 한국의 풍수사상. 서울 : 민음사. 

  20. 한국지명연구(2007). 한국지명학회. 지명학 논문선. 

  21. たとえば, 齊?潮(1991). 港の 景觀과 地形意 意味 . 技報堂. 

  22. Lynch, Kevin/丹下健三.富田玲子譯, 도시의 이미지. 岩波書店. 

  23. Spreiregen, P.D./波多江建郞譯(1975). ア?バンデザイン. 日本サムシング. 

  24. Ushio Saitho, Masatoshi Takeshita, Kenji Ueshima(1992). Report of port and harbour research institute. 港灣技術硏究. 3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