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왕릉의 능제복원 연구 - 김포 장릉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storation of the Royal Tombs in the Joseon Dynasty - Focused on Gimpo Jangreung -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28 no.2, 2010년, pp.86 - 97  

이창환 (상지영서대학 조경과) ,  정종수 (한국전통문화학교 전통조경학과) ,  이원호 (문화재청 문화재활용국) ,  최종희 (배재대학교 생명환경디자인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조선왕릉은 궁궐, 종묘와 함께 매우 소중한 문화유산으로, 복합적인 접근이 필요한 경관고고학 지구로 현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본 연구는 김포 장릉의 복원계획 수립을 목적으로 하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김포 장릉의 능역일원에는 왕릉으로서 뿐만 아니라 군사시설, 공공묘지, 산업단지, 생활시설 등 많은 이질적인 토지이용이 있는 바, 그 시설들은 제거되어야 하며, 본래 능역의 진정성을 고려한 참배, 관람동선을 계획하였다. 둘째, 역사경관림은 소나무, 전나무, 잣나무, 진달래와 같은 전통 수종들로 계획하였으며, 진입공간과 제향공간에는 상층목과 하층목을, 능침공간은 송림을 도입하고 사초지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셋째, 재실, 수라간, 수복방, 어정과 같은 전통 건조물과 상설물들은 복원하도록 제안하였으며, 관람객의 편의를 위한 편의 휴식시설을 계획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are very important cultural heritage with the palaces and Jongmyo. They being promoted as World Heritage of UNESCO and are archaeological sites that need to complex approa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restoration plan of Gimpo Jangreung. The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선행연구는 조선왕릉의 능제복원계획 수립에 필요한 지식 및 정보 및 실제 복원 내지 복구, 정비 등의 조정에 있어 분석 내지 평가의 틀을 제공하는 데 이르렀다고 판단된다. 이와 같은 배경 하에 본 연구는 추존 왕릉의 전형인 원종2)의 김포 장릉의 문화유산적 가치
    확인 및 접근성 제고를 통한 관람환경 개선을 위해 보호구역내3) 원지형, 동선, 수계, 역사경관림, 시설물 및 상설 복원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선왕릉의 특징은? 조선왕릉은 궁궐, 종묘와 함께 매우 소중한 문화유산으로, 복합적인 접근이 필요한 경관고고학 지구로 현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본 연구는 김포 장릉의 복원계획 수립을 목적으로 하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선왕릉은 어떠한 규범에 따라 조영되었는가? 조선왕릉은 동일한 조형원리로 조성된 조선시대 왕과 왕비의 무덤으로, 인간과 자연과의 소통, 생산, 사상(유가, 불가, 풍수 등), 의식(제례)가 내재․표현되는 토지의 집합적 모습을 가진다1). 이러한 조선왕릉은 당시의 통치이념인 유교적 전통규범에 따라 조영되었으며, 특히 통치철학, 사상, 정치상황에 의한 시대적 흐름 속에 능역 조영, 공간구성과 배치, 석물등의 형태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김포 장릉의 경우, 조선왕조 추존 왕릉의 전형으로서 후에 영릉(永陵), 융릉(隆陵,) 수릉 (綏陵)에도 영향을 주는 등 그 의미가 크며, 능제에 있어 쌍릉의 형태로 조성되었으며, 정자각이 약간 높은 곳에 지어져
김포 장릉의 복원계획 수립을 목적으로 한 연구의 결과는? 본 연구는 김포 장릉의 복원계획 수립을 목적으로 하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김포 장릉의 능역일원에는 왕릉으로서 뿐만 아니라 군사시설, 공공묘지, 산업단지, 생활시설 등 많은 이질적인 토지이용이 있는 바, 그 시설들은 제거되어야 하며, 본래 능역의 진정성을 고려한 참배, 관람동선을 계획하였다. 둘째, 역사경관림은 소나무, 전나무, 잣나무, 진달래와 같은 전통 수종들로 계획하였으며, 진입공간과 제향공간에는 상층목과 하층목을, 능침공간은 송림을 도입하고 사초지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셋째, 재실, 수라간, 수복방, 어정과 같은 전통 건조물과 상설물들은 복원하도록 제안하였으며, 관람객의 편의를 위한 편의 휴식시설을 계획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권용옥(1980). 조선왕조 왕릉 문인석상의 복식형태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성복(1992). 조선시대 문인석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원용(1987). 한국미의 연구. 서울: 열화당. 

  4. 김흥년 등(2007). 홍유릉 일원의 입지와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5(3): 92-104. 

  5. 문화재청(2001). 동구릉 산림생태 조사 연구보고서. 

  6. 문화재청(2003). 서오릉 산림생태 조사 연구보고서. 

  7. 문화재청(2004). 광릉 산림생태 조사 연구보고서. 

  8. 문화재청(2006). 아시아 각국의 왕릉비교 연구, ICOMOS국제학술대회, ICOMOS-KOREA. 

  9. 문화재청(2007). 조선왕릉 시설물 종합정비 기본계획 보고서. 

  10. 문화재청(2008). 세종 英陵과 효릉 寧陵 능역조성 및 관리에 관한 조사연구. 세종대왕유적관리소. 

  11. Lee, Chang-Hwan(2007). Preservation and Maintenance for Cultural Landscape of 3. Royal Tombs Area Pivoting on Seoul in the Joseon Dynasty, Heritage and Metropolis in Asia and the Pacific, ICOMOS- KOREA. 

  12. 康陵誌, 寫年未詳 韓敬履(朝鮮)補編, 寫本. 

  13. 健陵誌, 朝鮮1840-1916, 南廷哲編, 韓國精神文化硏究院 藏書閣所藏. 

  14. 健元陵誌, 韓後裕(朝鮮)等編, 寫年未詳,韓國精神文化硏究院 藏書閣所藏. 

  15. 經國大典(禮典3券), 한국정신문화원, 한국정신문화원 번역본. 

  16. 敬陵誌, 編者未詳 寫本(1885年以後),韓國精神文化硏究院 藏書閣所藏. 

  17. 恭陵典錄, 趙漢弼編, 1925年以後寫, 韓國精神文化硏究院 藏書閣所藏. 

  18. 國朝五禮序例, 韓國精神文化硏究院 藏書閣所藏. 

  19. 陵園墓誌抄, 李王職編, 寫年未詳, 韓國精神文化硏究院 藏書閣所藏. 

  20. 陵園墓解說, 李王職編,1937(昭和12),韓國精神文化硏究院 藏書閣所藏. 

  21. 穆陵誌, 1900年頃寫, 韓德師(朝鮮)編. 

  22. 목을수(1988). 고려?조선 능지. 서울: 문성당 출판사. 

  23. 문화재청(2007). 조선왕릉 세계유산 등재 추진 종합 학술 연구, ICOMOS 한국위원회. 

  24. 박재길(1982). 전통 능역공간구성의 우주론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법제처(1982). 국조오례의, 법제처간. 

  26. 배윤수(1983). 조선시대 왕릉석수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서울대학교 규장각(1999). 大典會通 (上)(下), 서울대학교. 

  28. 서울시스템(1997). 조선왕조실록, 증보판CD,제3집, (주) 한국데이터베이스 연구소. 

  29. 서유구(1983). 임원경제지. 서울: 보경문화사. 

  30. 심우경(2007). 융?건릉 일원의 입지와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4): 65-75. 

  31. 順陵續攷 ,編者未詳, 1897-1906寫, 韓國精神文化硏究院 藏書閣所藏. 

  32. 順陵續誌,李王職編, 1910年頃. 韓國精神文化硏究院 藏書閣所藏. 

  33. 永陵誌, 李王職 抄錄, 〔1911-1940頃寫〕, 韓國精神文化硏究院 藏書閣所藏. 

  34. 越中圖, 畵者未詳,숙종24(1698)以後寫, 韓國精神文化硏究院 藏書閣所藏. 

  35. 윤국병(1988). 조경사. 서울: 일조각. 

  36. 유영교(1976). 조선후기 왕릉의 석인석수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이경재(1991). 왕릉식생경관 구조 및 관리대책에 관한 연구2. 한국조경학회지. 19(3): 41-54. 

  38. 이선, 김영모(2004). 조선시대 능역 공간의 식재 및 관리사실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1): 88-101. 

  39. 이영(1992). 조선시대 왕릉능역의 건축과 배치형식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0. 이진희(1997). 조선전기 능묘석물의 배치와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5(2): 1-20. 

  41. 이창환(1998). 조선시대 능역의 입지와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2. 이창환(2007). 조선왕릉의 현황과 세계 문화 유산적 가치, 문화재청 

  43. 이창환(2007). 조선왕릉의 현황과 문화적 특성, 아시아각국의 왕릉비교 연구, 국제학술대회, 문화재청, ICOMOS-KOREA. 

  44. 은광준(1985). 조선왕능석물지. 서울: 민속원. 

  45. 조송래(2006). 조선왕릉 금천교에 관한 연구. 우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조아영(2008). 조선왕릉의 식생관리 기준에 관한 연구. 2008년 (사) 전통조경학회 춘계학술논문발표집. pp.85-8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