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파주 장릉(長陵)의 공간 및 경관구성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and Landscape Composition in Jangneung, Paju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8 no.1, 2020년, pp.1 - 9  

이창환 (상지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김두규 (우석대학교 교양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2009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조선시대 제12대왕 인조대왕과 인열왕후 한씨의 능원 공간구성 및 경관적 특성을 중심으로 조사 분석하고 능원 보존관리의 방안을 제시한 연구이다. 연구 방법 및 내용은 고문헌 등 문헌조사와 현지 조사 및 실측을 통하여 공간구성 및 경관특성 등을 파악하여 도면화를 통해 추정도를 작성하고 추후 원형경관의 확인 및 보존 그리고 복원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장릉의 풍수형상은 위요성이 강조되는 형국에 혈의 용맥에 왕자협(王字峽)의 표현과 기록이 독특하며 정남향의 자좌오향(子坐午向)임이 확인되었으며 공간구성은 영조 20년(1744) 때 작성된 「국조속오례의(國朝續五禮儀」, 『국조상례보편』등의 작성에 기본으로 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대표적 능원으로 이후 조선시대 능원 조영의 표준이 되었으며 정형적 구조에 풍수적 위요성과 자연스런 영역성 그리고 제례 시 제향공간과 능침공간의 시각적 폐쇄 및 개방적 경관구조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생태경관자원 특성은 효종이 재위 시 식목하고 구리동선으로 표식을 하여 수목을 보존한 기록이 「효종실록」에 나타나며 현재의 임목 구조와 비슷한 현상으로 분석되었다. 능원의 보존 및 관리는 일제강점기 이후 상당 부분 원형을 찾아 핵심시설은 보존하고 있으나, 내외 좌청룡 우백호의 풍수적 경관 보존 및 능침사찰 그리고 향탄산 등의 부속 능제시설의 확인 및 보존관리를 위한 대책이 요구되며 세계유산 보존관리의 국제적 기준이 되는 이코모스(ICOMOS)헌장 등의 준수가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investigates spatial composition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the royal tomb(Jangneung in Paju) where the 12th King(Injo) and the Queen(InnYeol) of the Joseon Dynasty are buried. Based on the investigations, the study suggests the management plan of the Royal tomb at the end. The stud...

주제어

표/그림 (2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Choi(2016)는 경관고고학 분야에서 현상학적 접근방법과 경관해석적 관점에서 조선왕릉의 조영의도, 이념, 사상, 미의식을 구명하고 있으며[6], Lee and Kim(2017)은 공간구성, 건조물, 석조물, 수계경관 등의 보전과 풍수적 등을 고려한 내외사신사의 경관, 제례동선, 역사경관림 등의 보존을 위한 방안을 제시 하고 있으며[7], Choi et al.(2018)은 동부지구의 능원을 대상으로 원지형과 각종시설 등의 능역회복 및 재원의 중장기적인 사업의 지속적 복원 보존 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나[8] 공간구성및 경관구조의 조영적 특성을 상세 분석 및 해석한 부분은 미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조속오례의 제정과정에서 조영된 것으로 추정되는 파주 장릉을 중심으로 공간적․경관적 세부적 분석을 통해 조영의 특성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세계유산의 효율적인 보존과 지속가능한 유지관리를 위해 파주 장릉의 입지와 공간구성 그리고 경관분석(식생포함)을 통해 문화유산의 보존 및 복원을 위한 관리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 선왕릉은 우리나라 제례문화의 대표적 문화공간으로 조선 시대 내내 잘 보전 되었으나 일제강점기 및 국가적 혼란기를 거치면서 많은 부분 훼손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릉의 조영적 특성을 파악하여 능원의 보존 및 능제복원을 위한 기초 이론을 제공하기 위해 경관적 특성을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조선시대 왕릉은 조선시대 내내 조선의 왕실에서 직접관리 하고 제향을 실시하였던 제례공간의 대표적 장소이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 후기 능원의 조영특성을 파악하여 능원관리 및 능제복원 그리고 경관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이다. 왕릉조영의 발전과 변화과정을 5기로 나누어 보는 특징 중 조선의 통치철학과 중심적 사상의 근간이 되는 제5기인 조선시대 영조(재위:1724~1776)시대에 제정된 『국조속오 례의』에 의한 대표적 능원으로 평가되는 파주 장릉(長陵)의 [1] 조영적 특성을 공간구성 및 경관적 분석방법으로 분석하고 조사하여 조선시대 후기 능원 조영기법에 의한 조선왕릉의 보존관리 및 능제 복원에 대한 기초 연구를 실시하였다.
  • 상기의 내용으로 보아 조선왕릉은 2009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이후 풍수적 입지와 공간구성 그리고 이들 공간의 조영 철학, 역사경관림 등의 경관회복 방안 및 예산 추정 등의 연구가 있었으나 조선시대의 중기 이후 정립된 통치철학 등의 근거가 되며 각종 국가운영의 기본이 정립된 『국조속오례의』 등에 조선의 대표적 능원이라 하는 파주 장릉의 천봉조영릉의 공간 및 경관구성의 특성을 조사, 분석하여 향후 능원관리 및 능제복원의 기본 틀을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고문헌 등 문헌조사와 2017년을 현지 실측 및 현장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추정된 내용은 도면화를 통해 추정도를 기본계획(Master plan)화 하였다. 이를 통해 추후 조선왕릉 장릉(長陵)의 원형공간 복원을 위한 부지확보 및 발굴 등을 통한 원형경관의 확인 및 복원 그리고 보존관리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고의 연구 결과 장릉의 풍수 형상은 어떠한가? 연구 방법 및 내용은 고문헌 등 문헌조사와 현지 조사 및 실측을 통하여 공간구성 및 경관특성 등을 파악하여 도면화를 통해 추정도를 작성하고 추후 원형경관의 확인 및 보존 그리고 복원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장릉의 풍수형상은 위요성이 강조되는 형국에 혈의 용맥에 왕자협(王字峽)의 표현과 기록이 독특하며 정남향의 자좌오향(子坐午向)임이 확인되었으며 공간구성은 영조 20년(1744) 때 작성된 「국조속오례의(國朝續五禮儀」, 『국조상례보편』등의 작성에 기본으로 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대표적 능원으로 이후 조선시대 능원 조영의 표준이 되었으며 정형적 구조에 풍수적 위요성과 자연스런 영역성 그리고 제례 시 제향공간과 능침공간의 시각적 폐쇄 및 개방적 경관구조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생태경관자원 특성은 효종이 재위 시 식목하고 구리동선으로 표식을 하여 수목을 보존한 기록이 「효종실록」에 나타나며 현재의 임목 구조와 비슷한 현상으로 분석되었다.
파주 장릉이 세계유산에 등재된 시기는? 25 등 국가적 혼란기를 거치면서 조선왕실의 능원묘는 많은 부분 원형을 손실하게 되었다. 최근 국가에서 직접관리하면서 일부 보전 복원되어 2009년 6월에 세계유산에 등재되게 되었다.
본 고의 연구 결과 장릉의 생태자원 조사 결과는 어떠한가? 다섯째, 생태자원 조사결과 능원의 대표적 수림은 소나무와 잣나무이며 현재의 임목 구조와 비슷한 현상으로 분석되었다.특히 효종이 재위 시 직접 식목하고 구리동선(Copper Wire)의 표식을 한 기록이 독특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ultural Heritage Adminstration(2007). Nomination of World Heritage Listed by Joseon Royal Tombs(For Inscription on the World Heritage List. Cultural Heritage Adminstration. 

  2. Park, S. J.(2018). Gukjo Sok-O'rye'eui-bo and Gukjo Sang'rye Bopyeon, why they were compiled during King Yeongjo's reign, and who compiled them. Seoul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Korean Studies. 53(-): 225-254. 

  3. Park, K. J.(2013). Tourism Resources Strategy of The World Heritage :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Journal of Rural Tourism. 20(2): 99-119. 

  4. Choi, W. S.(2016). Historical Geography and Pungsu(Fengshui) Discourse of Royal Tombs in the Joseon Dynas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22(1): 135-150. 

  5. Lee, C. H.(1999). A Study on Location and Spatial Organization of the Royal Tomb Sites in Chosun Dynasty. Doctorial Thesis of Sungkyunkwan University. 

  6. Choi, J. H.(2017). A Study on Constructional Intention, Idea, Thought and Aesthetic Consciousness of Joseon Royal Tomb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4(4): 66-77. 

  7. Lee, C. H. and Kim, D. G.(2017). A Study on the Conservation for the Historic Landscape of Yungneung and Geolleung.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5(2): 45-57. 

  8. Choi, J. H., Lee, C. H., Hwang, K. M. and Kim, K. Y.(2018). A Study on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Joseon Royal Tomb's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6(3): 75-87. 

  9. http://sillok.history.go.kr/main/main.do 

  10. http://kjg.snu.ac.kr/home/main.do?siteCdKYU 

  11. http://sjw.history.go.kr/search/inspectionDayList.do 

  12. http://www.aks.ac.kr/index.do 

  13.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2010). Study on the Restoration of Royal Tomb of Joseon Dynasty.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