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영국 화이트 가든(White Garden)의 초화류 설계기법 - 20C 초반 작정된 시싱허스트, 배링턴 코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sign Method of Flowering Plants Used in the English White Gardens - Focusing on Sissinghurst, Barrington Court Built in the Early 20th Century -원문보기
정원을 만드는데 있어서 정원설계가들은 특정한 색을 이용하여 원칙을 정하고 소재를 수집하여 각자의 미의식으로 결합해가는 기법을 사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흰색을 배색의 주조톤으로 하여 유명한 정원인 제킬(Gertrude Jekyll)의 배링턴 코트(Barrington court)와 비타(Vita Sackvill-West)의 시싱허스트(Sissinghurst)의 화이트 가든에 사용된 초화류의 종류와 특성을 통해 설계기법을 연구한다. 사용된 개별식물을 계절, 색, 형태, 초장, 향기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화이트 가든 조성 시 초화류의 미적 결합방식을 제킬과 비타의 작품을 통해 살펴보았다. 제킬은 봄의 신선함을 위한 정원으로 초롱꽃류(Campanula spp.), 백합류(Lilium spp.)를 위주로 식재하였다. 비타(Vita Sackvill-West)는 주로 여름밤의 달빛을 겨냥한 정원으로 델피니움류(Delphinium spp.), 장미류(Rosa spp.)가 대표적인 수종이다. 꽃의 색은 흰색계열로 조성하였으나, 순수한 흰색에서부터 아이보리색과 실버색을 포함하였으며, 꽃의 형태는 흰색의 단일색에서 오는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해 강한 형태를 사용하였다. 또한 잎의 색은 흰꽃이 잘 돋보일 수 있도록 연록색, 연회색, 밝은 녹황색 잎을 조합하였다. 전반적으로 차가운 색상 계열을 사용하여 신비감과 시원함, 청정함, 밤에 빛이 반사되었을 때 흰꽃과 더불어 매혹적이고 애상적인 이미지를 추구하였다. 화이트 가든의 조경사적 의의는 색의 잠재력을 발견하고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 재식설계기법의 아이디어와 기술로 주제색상을 통한 정원설계의 시발점이 되었으며, 미적 원리에 의한 결합으로 정원예술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정원을 만드는데 있어서 정원설계가들은 특정한 색을 이용하여 원칙을 정하고 소재를 수집하여 각자의 미의식으로 결합해가는 기법을 사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흰색을 배색의 주조톤으로 하여 유명한 정원인 제킬(Gertrude Jekyll)의 배링턴 코트(Barrington court)와 비타(Vita Sackvill-West)의 시싱허스트(Sissinghurst)의 화이트 가든에 사용된 초화류의 종류와 특성을 통해 설계기법을 연구한다. 사용된 개별식물을 계절, 색, 형태, 초장, 향기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화이트 가든 조성 시 초화류의 미적 결합방식을 제킬과 비타의 작품을 통해 살펴보았다. 제킬은 봄의 신선함을 위한 정원으로 초롱꽃류(Campanula spp.), 백합류(Lilium spp.)를 위주로 식재하였다. 비타(Vita Sackvill-West)는 주로 여름밤의 달빛을 겨냥한 정원으로 델피니움류(Delphinium spp.), 장미류(Rosa spp.)가 대표적인 수종이다. 꽃의 색은 흰색계열로 조성하였으나, 순수한 흰색에서부터 아이보리색과 실버색을 포함하였으며, 꽃의 형태는 흰색의 단일색에서 오는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해 강한 형태를 사용하였다. 또한 잎의 색은 흰꽃이 잘 돋보일 수 있도록 연록색, 연회색, 밝은 녹황색 잎을 조합하였다. 전반적으로 차가운 색상 계열을 사용하여 신비감과 시원함, 청정함, 밤에 빛이 반사되었을 때 흰꽃과 더불어 매혹적이고 애상적인 이미지를 추구하였다. 화이트 가든의 조경사적 의의는 색의 잠재력을 발견하고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 재식설계기법의 아이디어와 기술로 주제색상을 통한 정원설계의 시발점이 되었으며, 미적 원리에 의한 결합으로 정원예술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In making gardens, garden designers establish a principle using specific colors, collect materials, and combine them with their own aesthetic senses. This study is design mothed through the species and characteristics of flowering plants used in the Barrington court created by Gertrude Jekyll and Si...
In making gardens, garden designers establish a principle using specific colors, collect materials, and combine them with their own aesthetic senses. This study is design mothed through the species and characteristics of flowering plants used in the Barrington court created by Gertrude Jekyll and Sissinghurst's white garden created by Vita Sackville-West, both of which are the most renowned gardens that used the white color. The analysis of each individual plant used in the gardens will be based on the season, colors, shapes, plant heights and aromaticity. Through their gardens, how the flowering plants aesthetically united with each other in creating the white gardens will be reviewed. To represent the freshness of spring, Jekyll planted Campanula spp. and Lilium spp. in the garden. Vita Sackvill-West aims at the moonlight in a summer night and features Delphinium spp., Rosa mulliganii, and R. longicuspis. The color of the flowers is in white, varying from pure white, ivory and silver. To prevent monotony due to monocolor flowers, the forms of the flowers are intense. To make white flowers look better, the colors of leaves include light green, light gray and bright and greenish yellow. Overall, cool colors are used to give a mystique, coolness, cleanness and to produce an fascinating and plaintive atmosphere, getting joined with white flowers and reflected light in the night. The White Garden has made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landscape architecture: it was the starting point of garden design through theme colors, based on the idea and technology of planting design methods that discover the potential of colors and withdraw limits. And it also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advancement of garden art with combinations by aesthetic principles.
In making gardens, garden designers establish a principle using specific colors, collect materials, and combine them with their own aesthetic senses. This study is design mothed through the species and characteristics of flowering plants used in the Barrington court created by Gertrude Jekyll and Sissinghurst's white garden created by Vita Sackville-West, both of which are the most renowned gardens that used the white color. The analysis of each individual plant used in the gardens will be based on the season, colors, shapes, plant heights and aromaticity. Through their gardens, how the flowering plants aesthetically united with each other in creating the white gardens will be reviewed. To represent the freshness of spring, Jekyll planted Campanula spp. and Lilium spp. in the garden. Vita Sackvill-West aims at the moonlight in a summer night and features Delphinium spp., Rosa mulliganii, and R. longicuspis. The color of the flowers is in white, varying from pure white, ivory and silver. To prevent monotony due to monocolor flowers, the forms of the flowers are intense. To make white flowers look better, the colors of leaves include light green, light gray and bright and greenish yellow. Overall, cool colors are used to give a mystique, coolness, cleanness and to produce an fascinating and plaintive atmosphere, getting joined with white flowers and reflected light in the night. The White Garden has made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landscape architecture: it was the starting point of garden design through theme colors, based on the idea and technology of planting design methods that discover the potential of colors and withdraw limits. And it also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advancement of garden art with combinations by aesthetic principle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에서는 영국의 정원사와 식재적인 측면에서 뛰어난 제킬(Gertrude Jekyll)과 비타(Vita Sackvill-West)의 대표적인 작품인 배링턴 코트와 시싱허스트의 화이트 가든에 사용된 초화류 분석을 통해 흰색계통의 초화류 종류와 각 소재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색상결합의 미적원리를 통한 두 사람의 설계기법에 대해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국의 정원사와 식재적인 측면에서 뛰어난 제킬(Gertrude Jekyll)과 비타(Vita Sackvill-West)의 대표적인 작품인 배링턴 코트와 시싱허스트의 화이트 가든에 사용된 초화류 분석을 통해 흰색계통의 초화류 종류와 각 소재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색상결합의 미적원리를 통한 두 사람의 설계기법에 대해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크게 3단계로 나누어서 진행되었다. 우선 정원에서 색상이 중심이 되는 설계가 갖는 의미, 흰색과 화이트 가든의 개념, 비타와 제킬이 화이트 가든을 조성하게 되는 배경과 화이트 가든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살펴보 았다. 다음으로 화이트 가든에 사용된 초화류가 어떤 종류이며, 각 개별식물의 성상과 계절, 꽃의 색, 잎의 색, 꽃의 형태, 질감, 초장, 향기로 구분하여 특성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화이트 가든에 사용된 초화류가 어떤 종류이며, 각 개별식물의 성상과 계절, 꽃의 색, 잎의 색, 꽃의 형태, 질감, 초장, 향기로 구분하여 특성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화이트가든의 초화류 결합방식을 통해 두 사람의 설계기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제안 방법
본 연구의 방법은 주로 정성적인 분석과 귀납적인 사고를 연구의 기초로 하였다. 화이트 가든의 조성배경을 파악하기 위해 문헌을 중심으로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주로 정성적인 분석과 귀납적인 사고를 연구의 기초로 하였다. 화이트 가든의 조성배경을 파악하기 위해 문헌을 중심으로 해석하였다. 화이트 가든의 구성과 색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 식물, 심미적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평면도와 사진의 기술적인 방법을 통해 이루어지며, 현장조사로 보충하였다.
우선 정원에서 색상이 중심이 되는 설계가 갖는 의미, 흰색과 화이트 가든의 개념, 비타와 제킬이 화이트 가든을 조성하게 되는 배경과 화이트 가든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살펴보 았다. 다음으로 화이트 가든에 사용된 초화류가 어떤 종류이며, 각 개별식물의 성상과 계절, 꽃의 색, 잎의 색, 꽃의 형태, 질감, 초장, 향기로 구분하여 특성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화이트가든의 초화류 결합방식을 통해 두 사람의 설계기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시싱허스트는 제킬의 영향을 받아 조성되었고, 배링턴 코트는 제킬의 저서를 통해 재구성되었다. 이러한 어려움으로 인하여 본 연구에서의 주요 관점은 초기의 식재 의도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초화류에 한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1908년「Colour in the Flower garden」의 저서에 색상은 분리된 덧칠이 아니라 조심스럽게 조화된 설계의 부분으로 효과를 말하고 있다. 인상파2)적인 설계가로서 색상은 그녀 디자인의 출발이며, 각 색상의 정원에 대한 특징과 더불어 화이트 가든에 대한 생각을 소개하였다. 이후 제킬의 영향을 받은 비타는 시싱허스트에서 화이트 가든에 대한 생각을 발전시켜 나갔다.
비타는 처음 20년 동안은 로즈 가든이던 장소를 1939년 해롤드에게 편지를 써서 흰색만을 이용한 정원 아이디어를 표현하였다(Lord, 1995). 모든 흰색과 연한 분홍색 꽃의 무리를 계획하였다. 해롤드는 비타의 아이디어에 대해서, 그 지역은 그늘이 많고 원예가로서 블루의 아가판서스의 꽃이 왜 화이트가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회의적인 생각을 답장을 써서 보냈다.
사례지에 사용된 흰색의 초화류를 파악하여 계절, 형태, 색, 초장, 향기로 구분하여 개별식물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제킬과 비타가 화이트 가든을 조성함에 있어 어떠한 미적원리의 방식에 따라 개별식물을 결합시켰는지를 파악한 결과 분위기, 구조, 초점, 풍부함을 위한 것이었다.
정리해 보면 그림 1과 같다. 이것을 바탕으로 미적원리를 만족시키기 위해 사용한 초화류에 대해 두 사람의 설계기법은 어떤 유사점과 차이점을 보였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주택의 전면에 긴 마로니에 길이 있으며, 동쪽에는 개방된 단순한 공간과 서쪽에는 닫혀진 복잡함이 있는 라임 길과 과수원이 있다. 중앙의 백합정원은 이탈리아 정형식 정원의 중심에 백합 연못을 놓는 아이디어에서 착안하였고, 연못주변에 썬큰가든을 조성하는 대신에 테라스를 올리는 수법으로 화단을 조성하였다. 그 옆에 제킬의 아이디어가 집약되어 있는 화이트 정원(White Garden)이 위치하고 있으며, 장미와 아이리스 정원 끝에 배수를 위한 해자를 만들었고, 전통적인 농가주택에 과일과 야채를 스스로 제공하는 키친 정원이 있다.
중심화단에는 꽃색이 흰색(white), 크림색(cream), 은색(silver) 으로 피는 다년초로 식재되어 있고 바깥의 화단에는 일년초를 선택하였다. 빛과 그늘을 생각해서 남쪽면과 북쪽의 식물선택을 달리하고, 스케일과 질감의 대조를 중요하게 생각하여, 안쪽보다 바깥쪽 화단에 초장이 긴 것을 식재하였다.
하나의 지역에 피크가 지나가면 담으로 둘러싸인 다른 구획들(garden room)에서 즐길 수 있게 하였다(Lord, 1995). 기술적으로 원예식물을 개량해서 하나의 프레임 안에서 보다 오래 피도록하여 풍부하게 보이도록 하였다. 시싱허스트의 전체면적은 약 6만m2이고, 화이트 가든의 면적은 1,600m2이다.
즉, 5~6월의 다이안터스, 팬지, 작약, 아이리스, 7월의 델피니움, 6~8월의 초롱꽃, 7~8월의 붓들레야(Buddlea ‘White ball'),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s), 넉줄고사리(Davallia mariesii), 수국(Hydrangea paniculata ‘Grandiflora'), 9월의 일본 아네모네, 8~9월의 다알리아 등이 순차적으로 피도록 하였다.
sempervirens rambler ‘Felicite perpetue')는 오래된 배나무에 우아하게 식재하였다. 이른 저녁에 진하고 만연하는 향기를 위해 코튼 라벤더(Santolana chamacyparissus)를 추가하였다. 제킬은 마돈나 릴리(Lillium candidum)를 식재하여 달콤한 냄새를 정원가득 퍼지게 하였다.
화이트 가든을 조성하면서 초화류를 이해하고 결합하여 원하는 분위기와 아름다움을 위해 계절에 관한 생각과 꽃의 형태, 잎의 색, 초장에 관해 디자인 원칙을 세워나갔다. 두 사람은 흰색을 주제색상으로 정하였지만, 미적 결합의 방식은 유사함 속에서 각자의 스타일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두 사람은 흰색을 주제색상으로 정하였지만, 미적 결합의 방식은 유사함 속에서 각자의 스타일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의도된 분위기를 위한 의도된 계절의 실행과 흰색 꽃으로 고정된 경우 형태로 변화를 주며 단조로움을 극복하기 위한 잎의 색 조합과 골격과 구조를 짜는 방식에 대해 사용한 초화류의 설계기법을 살펴보았다.
비타는 잎의 색은 흰 꽃이 잘 돋보일 수 있으며 풍부함을 느낄 수 있도록 연록색, 연회색, 밝은 녹황색 잎을 다양하게 조합 하였다. 또한 주목의 울타리와 회양목의 진녹색의 배경에서 이러한 잎의 색들은 잘 조화되면서, 흰꽃을 돋보이게 한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주목의 울타리와 회양목의 진녹색의 배경에서 이러한 잎의 색들은 잘 조화되면서, 흰꽃을 돋보이게 한다고 생각하였다. 전반적으로 차가운 색상(cool color) 계열을 사용하여 신비감과 시원함, 청정함, 밤에 빛이 반사되었을 때 흰꽃과 더불어 매혹적이고 애상적인 이미지를 추구하였다. 청록색은 자반풀, 회색잎은 쓴쑥, 알테미시아, 아이리스이고, 블루그린은에렌지움과 시네시오이다(그림 7h).
제킬의 구조는 안과 밖 2개의 톱니바퀴를 구분하여 오래 지속되는 일년초와 다년초를 식재하였다. 또한 빛과 그늘을 구분하였다. 그늘 속 어두운 색상 속에서 우아한 줄기의 백합이 빛나도록 하였다.
또한 빛과 그늘을 구분하였다. 그늘 속 어두운 색상 속에서 우아한 줄기의 백합이 빛나도록 하였다. 즉, 밝은 색상의 작은 초화류들이 주변의 어두운 색상 속에서도 눈에 띄도록 식재하였다.
대상 데이터
화이트 가든의 구성과 색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 식물, 심미적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평면도와 사진의 기술적인 방법을 통해 이루어지며, 현장조사로 보충하였다. 현장조사는 2004년 5월에서 6월과 2009년 7월에서 8월에 이루어졌다. 연구는 크게 3단계로 나누어서 진행되었다.
장미(R. ‘Iceberg'), 죽자초는 꽃이 무리지어 피는 형태이고, 루피너스는 스파이크 형태로 화이트 가든의 중요한 소재로 사용되었다.
제킬은 화려한 장미(R. ‘Iceberg')를 선호하였다(그림 6b).
셋째, 비타는 클레마티스, 죽자초 등과 같이 작고 총총하게 피는 꽃은 대담한 형태의 꽃과는 대조적으로 많은 양을 군식하여 식재하였다. 역시 제킬도 플록스(Pholx drummondii)로 양을 조절하였고, 흰 키타수스를 군식하여 상록 속에 채우기 꽃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작은 꽃의 점묘법 효과를 내는 리베르타아(Libertia grandiflora)와 질네니아를 채우기 꽃으로 즐겨 사용하였다(그림 6c).
제킬의 구조는 안과 밖 2개의 톱니바퀴를 구분하여 오래 지속되는 일년초와 다년초를 식재하였다. 또한 빛과 그늘을 구분하였다.
성능/효과
사례지에 사용된 흰색의 초화류를 파악하여 계절, 형태, 색, 초장, 향기로 구분하여 개별식물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제킬과 비타가 화이트 가든을 조성함에 있어 어떠한 미적원리의 방식에 따라 개별식물을 결합시켰는지를 파악한 결과 분위기, 구조, 초점, 풍부함을 위한 것이었다. 정리해 보면 그림 1과 같다.
흰색이라는 단일색에서 오는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해 꽃의 형태가 강한 것을 사용하였다. 첫째, 주변의 무리지어 식재된 식물군 속에서 첨탑 모양의 강조된 형태를 즐겼다. 둥근 관목 장미 속에서 델피니움의 첨탑 형태가 대조되는 것을 특히 좋아했다.
둘째, 꽃이 홑겹보다는 겹꽃으로 크고 화려한 것을 선호하였다. 이것은 비타의 방식에서 두드러진 것으로 더블로즈, 마가렛, 피버뷰, 다알리아, 작약 등을 식재하였다.
셋째, 비타는 클레마티스, 죽자초 등과 같이 작고 총총하게 피는 꽃은 대담한 형태의 꽃과는 대조적으로 많은 양을 군식하여 식재하였다. 역시 제킬도 플록스(Pholx drummondii)로 양을 조절하였고, 흰 키타수스를 군식하여 상록 속에 채우기 꽃으로 사용하였다.
넷째, 꽃밥이나 꽃의 형태가 큰 것을 선호하였으며 시각적으로 강조되도록 하였다. 제킬은 진한 녹색의 잎이 톱니처럼 있고 작은 꽃들이 밀집되어 빽빽한 반구형의 버튼 모양으로 생긴 톱풀(Achillea alpina)과 엉겅퀴, 절굿대를 선호하였고, 비타는 마가렛(Argyranthemum foeniculaceum)과 에렌지움을 선호하였다.
넷째, 꽃밥이나 꽃의 형태가 큰 것을 선호하였으며 시각적으로 강조되도록 하였다. 제킬은 진한 녹색의 잎이 톱니처럼 있고 작은 꽃들이 밀집되어 빽빽한 반구형의 버튼 모양으로 생긴 톱풀(Achillea alpina)과 엉겅퀴, 절굿대를 선호하였고, 비타는 마가렛(Argyranthemum foeniculaceum)과 에렌지움을 선호하였다.
후속연구
특히 우리나라 자생수종의 50%가 흰색계통(김용기, 2009)이라고 하니 흰색은 정원에서 가능성 있는 소재이며, 미적원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영국의 화이트 가든에 사용된 초화류의 설계기법에 대한 연구는 우리의 소재의 다양성과 개발가능성에 기여하리라 기대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원에서 색상의 역할은 무엇인가?
정원에서의 색상은 전체적인 인상을 결정짓는 것으로 형태와 다른 요소들보다 먼저 작용하여 정원구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Billington, 2002). 정원에서 색상의 역할은 조화를 맞추고, 리듬을 만들며, 특별한 식물이나 시각적인 관심을 통해 초점이 생성되고, 변화를 유도하며 불협화음에서 오는 재미를 이끌어 낼 수 있다. 특히 식물의 색상은 디자인 도구 이상의 가치로서 자연의 선물로까지 표현한다.
정원에서 색상을 중심으로 하는 설계기법이 사용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정원에서 색상을 중심으로 하는 설계기법은 두 가지의 의미에서 사용되고 있다. 우선 색상정원은 특별한 색상의 다양한 품종을 전시하기 위해서 식재된다. 예를 들면, 특별한 계절을 위한 색을 나타내는 시도를 하는 경우로 일년 중 어떤 특별한 시간에 집중하여 성공적으로 만드는 것이다. 일반적인 화단은 한 달에서 세 달까지 유지되고 이것을 식물의 결합으로 연장되도록 한다. 다음은 단색의 색상정원을 보다 정확하게 조성하는 것이다. 정원에서 하나의 색상으로 식재하는 것은 대부분 관찰자를 압도하기 위한 것이다. 식물의 질은 물리적인 조건에 의해 스스로 나타나는 것이나 식물의 양은 정원 설계가가 선택하는 것으로 의도를 결정하는 것이다. 보통의 색상설계는 식물의 배열, 병치, 결합에 의해 회화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화이트 가든의 개념은 무엇인가?
화이트 가든의 개념은 순백색의 흰색(chalk white)뿐만 아니라 어슴푸레한 흰색(snow white), 중심에 노란 술이 있는 흰색 꽃, 유사한 흰색(creme-, pale-, silver-)까지 포함하여 흰색에 가까운 꽃과 불염포, 잎이 흰색과 은색(silver)으로 된 식물의 결합으로 조성되어진 정원을 일컫는다. 문화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공통적으로 내포하고 있는 흰색의 시각적, 상징적 의미를 살펴보면, 우선 순수함의 상징이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