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공위성 구조체는 발사환경과 궤도환경하에서 탑재체 및 여러 구동기 등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위성체의 형상설계가 이루어지면 상세설계를 위하여 발사체에서 공급하는 규격에 의한 준정적하중을 사용하여 구조해석을 수행한다. 이 때 준정적하중을 이용하여 설계된 위성체의 구조 건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발사체 업체는 위성체와 발사체를 연성한 후 연성하중해석을 수행한다. 현재 개발중인 위성체의 경우, 연성하중해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위성체 모델을 Craig-Bampton 모델로 축약한 후, 발사체 제작업체로 전달하였다. 발사체 제작업체에서는 위성체 모델과 발사체 모델을 이용하여 연성하중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가속도 결과와 변위결과를 계산하여 이를 전달하였다. 전달받은 가속도 결과와 변위결과로부터 위성체는 안전하게 설계되었으며, 위성체 내/외부에서 간섭이나 충돌의 위험성이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atellite structure should be designed to support safely the payload and several actuators under launch and on-orbit environments. After the configuration design of satellite, the structural analysis is performed using quasi-static load provided by launch vehicle manufacturer for detail design of s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모든 구속조건을 제거한 상태이므로, 강성해석을 수행하면 총 6개의 강체모드가 나와야 한다. 또한, 변형에너지의 확인을 통하여 부적절하게 모델이 구속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해석 결과 모두 이상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 위성체에 영향을 미치는 준정적하중은 주로 100Hz 이하의 저주파 대역이므로, 본 논문에서는 Craig-Bampton 모델 생성시 150Hz까지 고려하여 모델축약을 수행하였다. 또한, 위성체의 주요 구조부재와 전자장비들의 가속도 및 변 위를 구하기 위하여 가속도 변환행렬과, 변위 변환행렬을 함께 발사체 제작업체에 제공하였다. 발사체 제작업체는 제공받은 위성체 Craig-Bampton 모델과 발사체 모델을 연성하여 연성하중해석을 수행하였다.
  • 먼저 단위 강제변위 및 회전을 부여시에는 3방향의 병진 및 회전방향으로 각각 단위변위, 단위요소하중, 단위노드하중을 부여하여 모델에 이상이 없는지를 확인한다. 이를 통하여 유한요소모델링시 부적절하게 구속을 부여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 또한, 위성체의 주요 구조부재와 전자장비들의 가속도 및 변 위를 구하기 위하여 가속도 변환행렬과, 변위 변환행렬을 함께 발사체 제작업체에 제공하였다. 발사체 제작업체는 제공받은 위성체 Craig-Bampton 모델과 발사체 모델을 연성하여 연성하중해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가속도 변환행렬과 변위 변환행렬을 이용하여 가속도 결과와 변위 결과를 도출하고 이를 위성체 업체에 전달하였다.
  • 표 6에는 위성체 주요 부재의 최대가속도 결과를, 표 7에는 위성체의 주요 전자박스들의 최대가속도 결과를 나타내었다. 위성체 구조부재의 경우, 설계시 사용하였던 설계극한하중(DLL, Design Limit Load)과 비교하였으며, 전자박스의 경우 역시 각 전자박스의 설계극한하중과 비교하였다. 위성체 구조부재의 경우, 종방향으로 11g, 횡방향으로 3.
  • 변위변환행렬에서 정의된 위치로부터 변위 결과는 표 8에 나타나 있다. 위성체 내부 부재간 및 위성체와 발사체간 간섭이나 충돌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변위결과들을 모두 비교하였다. 위성체 내부에서는 최대 변위가 1mm 이내이며, 위성체 외부에서는 최대 변위가 2mm 이내였다.
  •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Craig-Bampton 모델로 위성체를 축약한 후, 발사체 제작업체에 제공하게 된다[4][5]. 위성체에 영향을 미치는 준정적하중은 주로 100Hz 이하의 저주파 대역이므로, 본 논문에서는 Craig-Bampton 모델 생성시 150Hz까지 고려하여 모델축약을 수행하였다. 또한, 위성체의 주요 구조부재와 전자장비들의 가속도 및 변 위를 구하기 위하여 가속도 변환행렬과, 변위 변환행렬을 함께 발사체 제작업체에 제공하였다.
  • 위성구조체는 발사환경과 궤도환경하에서 탑재체 및 여러 구동기 등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위성체의 형상설계가 이루어지면, 구조체의 상세 설계를 위하여 발사체에서 공급하는 규격에 의한 준정적하중을 사용하여 구조해석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 경우 유한요소모델의 한계 및 발사하중의 변화 요인 때문에 이를 검증할 필요성이 발생한다.
  • 이 때 불충분하거나 부정확한 발사체의 예측 하중자료라든지 위성체의 물리적 특성에 의해 예기치 않은 하중이 위성체에 작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준정적하중을 이용하여 설계된 위성체 구조부재의 건정성을 판단하기 위한 방안으로 발사체 업체에 의한 연성하중해석(CLA, Coupled Load Analysis)이 수행된다. 연성하중해석은 위성체 모델과 발사체 모델을 결합하여 발사시 유기되는 발사하중을 전체 연성모델에 부가함으로써 위성체에 작용하는 하중을 구하는 방법이다[1][2][3].
  • 모델축약을 수행하기 전에 먼저 현재의 유한요소모델이 이상이 없는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아래에 나타난 것과 같이 3 가지를 확인함으로써 유한요소모델의 건정성을 판단하였다.
  • 표 2에 나타난 총 4개의 행렬을 발사체 제작 업체에 제공을 하였으며, 발사체 제작업체에서는 발사체 모델과 위성체 모델을 연성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연성해석을 수행하기 전에 먼저 발사체 제작업체에서는 위성체 Craig-Bampton 모델이 이상이 없는지를 확인한다.
  • 표 6을 보면 모든 위성체 구조 부재의 연성하중해석 결과가 설계극한하중보다 작음을 알 수 있다. 표 7에 나타난 전자장비들의 가해지는 가속도의 경우, 종방향과 횡방향의 모든 가속도를 RSS(Root Sum Squre) 하여 최대극한하중과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위성체 내부의 모든 전자장비들은 발사 환경하에서 충분히 안전함을 확인하였다.

대상 데이터

  • 또한, 우리가 위성체 내부에서 알고자 하는 가속도의 경우, 주요 구조 부재의 위치와 전자장비들이 장착되는 위치 등을 고려하여 총 534개의 자유도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변위의 경우, 발사체와 가장 가까운 위성체 외부 부분 및 내부 충돌이나 간섭이 우려되는 부분을 고려하여 303개의 자유도를 선정하였다. 이로서 가속도변환행렬 및 변위변환행렬은 534 X 126, 303 X 126 의 행렬로 나타내어진다.
  • 따라서, 표 2와 같이 질량행렬과 강성행렬은 126 X 126 의 행렬로 나타내어진다. 또한, 우리가 위성체 내부에서 알고자 하는 가속도의 경우, 주요 구조 부재의 위치와 전자장비들이 장착되는 위치 등을 고려하여 총 534개의 자유도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변위의 경우, 발사체와 가장 가까운 위성체 외부 부분 및 내부 충돌이나 간섭이 우려되는 부분을 고려하여 303개의 자유도를 선정하였다.

이론/모형

  • 이러한 연성하중해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먼저 위성체 모델을 Craig-Bampton 모델로 축약한 후 발사체 업체로 제공하였다. 발사체 제작업체에서는 위성체 Craig-Bampton 모델과 발사체 모델을 이용하여 연성하중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제공하였다. 제공받은 가속도 결과로부터 위성구조체는 안전하게 설계되었으며, 발사환경하에서 안전하게 전자장비들을 지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연성하중해석을 위한 유한요소모델 축약은 Craig-Bampton 방법을 이용한다 [2]. Craig- Bampton 모델의 기본 이론은 다음과 같다.
  • 위성체 모델을 Craig-Bampton 모델로 축약시, 축약하고자 하는 주파수 대역을 선정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위성체의 발사시 발생하는 과도하중은 100Hz 이내에서 발생한다.
  • 그림 1에 나타난 유한요소모델에 대한 모델링 정보는 표 1과 같다. 유한요소모델링은 Ideas를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해석은 MSC/Nastran 을 이용하였다. 유한요소모델링시 사용한 단위는 다음과 같다.
  • 이 때 준정적하 중을 이용하여 설계된 위성체의 구조 건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발사체 업체는 위성체와 발사체를 연성한 후, 연성하중해석을 수행한다. 이러한 연성하중해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먼저 위성체 모델을 Craig-Bampton 모델로 축약한 후 발사체 업체로 제공하였다. 발사체 제작업체에서는 위성체 Craig-Bampton 모델과 발사체 모델을 이용하여 연성하중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제공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한요소모델의 건정성을 판단하기 위해 확인해야 할 3 가지는? ◦ 단위 강제변위 및 회전 부여시 확인 ◦ 경계조건 자유 상태에서 강성평행 체크 ◦ 단위 중력 부여시 확인
위성구조체는 어떻게 설계되어야 하는가? 위성구조체는 발사환경과 궤도환경하에서 탑재체 및 여러 구동기 등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위성체의 형상설계가 이루어지면, 구조체의 상세 설계를 위하여 발사체에서 공급하는 규격에 의한 준정적하중을 사용하여 구조해석을 수행한다.
연성하중해석이란 무엇인가?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준정적하중을 이용하여 설계된 위성체 구조부재의 건정성을 판단하기 위한 방안으로 발사체 업체에 의한 연성하중해석(CLA, Coupled Load Analysis)이 수행된다. 연성하중해석은 위성체 모델과 발사체 모델을 결합하여 발사시 유기되는 발사하중을 전체 연성모델에 부가함으로써 위성체에 작용하는 하중을 구하는 방법이다[1][2][3]. 연성하중해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위성체 모델을 발사체 제작업체에 제공하여야 하는데, 위성체의 전체 유한요소모델은 보안성을 이유로 발사체 제작업체에 제공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 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

  1. T. P. Sarafin, "Spacecraft Structures and Mechanisms', Space Technology Library, 1995 

  2. 황도순, 김진희, 이주훈, 김성훈, 김경원, "저궤도 인공 위성의 예비연성하중해석 결과 평가", 한국항공우주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지, pp. 869-872, March 2004 

  3. 황도순, "인공위성의 CLA 모델 및 평가", 한국항공우주학회, 26(7), pp. 108-115, November 1998. 

  4. R. R Craig and M. C Bampton, "Coupling of Substructures for Dynamic Analysis", AIAA Journal, 6(8), pp. 1313-1319, 1968. 

  5. W. A. Benfield and R. F Hruda, "Vibration Analysis of Structures by Component Model Substitution", AIAA Journal, 9(7), pp. 1255-1261, 197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