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한 영양표시 교육의 효과 평가
Assessment of Nutrition Label Education in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16 no.3, 2010년, pp.226 - 238  

박희정 (강릉원주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이정숙 (소야 초등학교) ,  김은경 (강릉원주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s of nutrition label education in children. The students of three randomly selected sixth-grade classes at an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were classified into a control group, an indirect (written message to parents) education group, and a direct (t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속초시에 소재한 S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6학년 일곱 개 학급 중 세 학급 아동을 대상으로하여 임의로 대조군, 가정통신문교육군, 아동교육군으로 나눈 뒤 대조군을 제외한 두 군의 아동을 대상으로 영양표시에 대한 영양교육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아동교육군에게는 재량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총 6회(주 1∼2회)에 걸쳐 영양교육을 실시하였고, 가정통신문교육군에게는 아동교육군의 영양교육 내용을 가정통신문으로 만들어 학부모가 내용 숙지 후 아동을 교육할 수 있도록 안내장과 함께 집으로 발송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영양표시에 대한 영양교육 전 ․ 후의 영양지식과 영양표시에 대한 인지도를 평가할 뿐만 아니라 실제 아동들의 식품 선택 상황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재현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 영양적인 간식(스낵류, 우유류) 선택의 실제 상황을 연출하여 아동들이 식품을 선택하게 하는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영양교육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스낵류의 경우, 대조군에서는 지방 함량이 각각 10% 이하를 선택한 아동의 비율이 사전 test보다 사후 test에서 증가한 반면 10% 이상을 선택한 아동의 비율은 감소하였으나 지방함량과 교육여부와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설정

  • 아동교육군에게 실시한 영양교육과 동일한 내용을 가정통신문으로 만들어 총 6회(주 1∼2회)에 걸쳐 수업 종례 시간에 담임교사가 아동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아동들이 가정통신문을 집으로 가져가 학부모에게 전달하면 학부모가 내용을 숙지 후 아동들을 교육할 수 있도록 협조문도 함께 가정으로 발송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양표시제도의 목적은? 이러한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하여 창안된 제도가 식품의 영양표시제도(nutrition label)이다. 영양표시제도는 식품표시 항목 중의 하나로서 개별 식품에 함유된 영양소의 종류와 함량 등을 표시함으로써 소비자들에게 적절한 영양정보를 제공하여 합리적인 식품선택과 건강관리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이 1997). 따라서 영양표시는 초등학생들을 위한 유용한 영양교육 도구로서 활용이 가능하다.
우리나라의 식습관 및 식품소비 패턴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이유는? 우리나라는 경제성장에 따른 생활수준의 향상, 핵가족의 증가, 아동 및 청소년의 의식구조 변화, 여성의 교육수준 향상과 사회참여도의 증가로 인한가사노동 시간의 단축 등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의해 식습관 및 식품소비 패턴이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전 등 199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5; Yi & Yang 2005). 통계청의 한 조사(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8)에 따르면 현재 한국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1970년대에는 39.
가공식품에 들어 있는 영양소 함량을 정확히 알 수가 없어 창안된 제도는? 이러한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하여 창안된 제도가 식품의 영양표시제도(nutrition label)이다. 영양표시제도는 식품표시 항목 중의 하나로서 개별 식품에 함유된 영양소의 종류와 함량 등을 표시함으로써 소비자들에게 적절한 영양정보를 제공하여 합리적인 식품선택과 건강관리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이 199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손혜숙, 장유경 (1997): 식품의 영양표시 또는 식품 등의 표시기준에 대한 이해. 식품과학과 산업 30(2):69-76 

  2. 식품의약품안전청 (2006): 식품 등의 표시기준 일부 개정고시안 

  3. 이송은 (1997): 가공식품의 영양표시제도 실태조사. 한국소비자보호원 

  4. 전세영, 양지용, 하태익, 최윤정 (1993): 식사요법. 광문각 

  5. 최혜미, 박영숙 (2003): 21세기 식생활관리. 교문사 

  6. Ahn Y, Ko SY, Kim KY (2009): Evaluation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14(3):266-276 

  7. Chang SO (1997): A study on the current nutrition labeling practices for the processed foods retailed in the supermarket in Korea. Korean J Nutr 30(1):100-108 

  8. Chang SO (2000): A study on the perception, use, and demand of housewife-consumers for nutrition label. Korean J Nutr 33(7):763-773 

  9. Chang SO, Lee O, Lee KS (2008): Intake of processed foods and the effects of nutrition label education in 5th grade children. J Korean Diet Assoc 14(2):166-175 

  10. Cho SH, Yu HH (2007):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dietary habits and awareness of food-nutrition labelling by girls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2(5): 519-533 

  11. Food and Drug Administaration: Nutrition Label. Available from: http://nutrition.kfda.go.kr/nutrition/main.htm. Accessed May, 2010 

  12. Han HY, Kim EK, Park KW (1997):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on nutrition knowledge, food attitude, food habits, food preference and plate wast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served by the national school lunch program. Korean J Nutr 30(10):1219-1228 

  13. Han JN (2007): A study on indication of food nutrition and reality on consuming snacks by middle school students. Masters degree thesis. Daegu Haany University. 

  14. Her ES, Lee SG, Part HJ, Lee KH (2005): Effect-evaluation on nutrition education in related curriculum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focused on change of dietary habits. Korean J Community Nutr 10(6):795-804 

  15. Jeong HS (2008): Necessity of education of nutrition labels for improving children's eating habits. Masters degree thesis. Ulsan University of Education. 

  16. Joo NM, Yoon JY, Kim OS, Park SH, Ko YJ, Kim JY (2006): A study on the awareness of female-consumers for nutrition labeling system. Korean J Food Culture 21(2):209-215 

  17. Kang SA, Lee JW, Kim KE, Koo JO, Park DY (2004): A study of the frequency of food purchase for snacking and its related ecological factors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9(4):453-463 

  18. Kim DS, Lee JW (2002): Use and recognition of nutrition labelings in processed food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J Korean Diet Assoc 8(3):301-310 

  19. Kim EK (1995): Nutrition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Seoul and Kangnung Area. Korean J Nutr 28(9): 880-892 

  20. Kim YH, Joo HO (2004): Elementary schoolers' skipping breakfast. Korean J Acad Child Health Nurs 10(4):488-495 

  21. Lee IS, Choi BS, You DR, Park YM (2002): College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of the nutrition labels on food package. Korean J Dietary Culture 17(3):299-308 

  22. Lee JE, Jung IK (2005): The perception of parents on the eating habits and nutritional education of their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Home Economics Assoc 43(7): 67-77 

  23. Lee JJ (1994): The study of variables related to children's consumer behavior. Masters degree thesis. Sook Myung Women's University. 

  24. Lee JS (2003): The effects of gender, obesity rate,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attitude on the dietary self-efficacy of adolescents. Korean J Community Nutr 8(5):652-657 

  25. Lee KJ, Lee YH (2004a): Consumer's recognition and using state about food-nutrition labelling system among twenties. J East Asian Soc Diet Life 14(1):54-63 

  26. Lee KJ, Lee YH (2004b): A study on the dietary life of housewives and their usage practices of food-nutrition labelling. J East Asian Soc Diet Life 14(2):161-174 

  27. Lee YJ, Kim GM, Chang KJ (2000): The analysis of effect on nutrition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chon. J Korean Diet Assoc 6(2):86-96 

  28. Lee YJ, Lee SY (2004c): A comparative study on nutrition knowledge, eating behavior and nutrient intake for students at elementary school with and without nutrition education program. J East Asian Soc Diet Life 14(6):561-570 

  29. Lee YM, Lee MJ, Kim SY (2005):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through discretional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focus on improving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in 4th -, 5th -, and 6th-grade students. J Korean Diet Assoc 11(3):331-340 

  3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3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3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33.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8): Annual report on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34. O'Dea JA, Abrsham S (2000): Improving the body image, eating attitudes and behaviors of young male and female adolescents: a new educational approach that focuses on selfesteem. Int J Eat Disord 28(1):43-57 

  35. Oh SI, Jang YA (2004): A study on nutrition composition labeling and nutrition claim practices for the processed food. Korean J Food Cookery Sci 20(1):100-111 

  36. Park YC, Cho SH, Lee HG (1989): The effect of knowledge about foods on the foods purchasing. Korean J Soc Food Sci 5(2):63-73 

  37. Park YH, Kim HH, Shin EK, Bae IS, Lee YK (2006): A survey on practice of nutrition education and perception for implementing nutrition education by nutrition teacher in elementary school. Korean J Nutr 39(4):403-416 

  38. Rothman RL, Housam R, Weiss H, Davis D, Gregory R, Gebretsadik T, Shintani A, Elasy TA (2006): Patient understanding of food labels: the role of literacy and numeracy. Am J Pre Med 31(5):391-398 

  39. Shin EK, Lee HS, Lee YK (2004):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in obese children and their parents(II)-Focus on nutrition knowledge, eating behaviors, food habit and nutrient intakes. Korean J Community Nutr 9(5):578-588 

  40. Yi BS, Yang IS (2005): An exploratory study for identifying factors related to breakfast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1(1):25-38 

  41. Yoon HS, Yang HL, Her ES (2000):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diversi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5(3): 513-521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