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북 일부 지역 초등학교 고학년 대상 '영양·식생활 가이드북'을 활용한 영양교육 효과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Using Dietary Guidebook in Higher Grade Elementary Students of Jeonbuk Area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3 no.1, 2018년, pp.13 - 27  

박미란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숙배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인간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with a dietary guidebook for children on dietary attitude, nutrition knowledge and nutrient intakes. Methods: The subjects were 54 higher grade elementary students (27 educated vs. 27 non-educated). The educated grou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전라북도 익산 지역에 있는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학년을 대상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와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가 공동 개발한 식생활교육용 교재를 활용하여 영양 교육을 실시하고 교육 전·후 대상자들의 식생활 태도 및 식습관, 영양지식과 영양섭취 개선 정도를 평가하여 영양교육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미리 손질하여 준비된 과일, 견과류, 떠먹는 요구르트, 시리얼을 나누어준 뒤, 준비된 컵에 과일을 층층이 쌓은 후, 고형 요구르트를 얹고 시리얼과 다진 견과류를 뿌려 완성하도록 하였다. 완성한 간식을 먹어보고, 건강한 간식을 먹어본 소감과 자신이 알고 있는 또 다른 건강한 간식에 대하여 이야기 하도록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와 식품의약품 안전처가 공동 개발한 ‘어린이 영양·식생활·건강관리를 위한 식생활 가이드북’을 활용하여,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영양교육을 실시한 후, 영양지식, 식태도, 에너지 및 영양소 섭취에 있어서 영양교육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 아동의 식생활 태도와 영양소 섭취에 있어서 유의미한 긍정적인 개선을 위하여, 교육 내용에 있어서 병원에서 소아 비만 영양교육 및 상담 지도에 널리 이용되는 식품교환법을 활용하여, ‘개인 맞춤 하루 필요 에너지 및 하루 식품군 단위수’ 교육을 추가적으로 구성된다면, 영양지식 뿐 아니라, 올바른 식사섭취를 도모하는 식생활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보아진다. 이에 학령기 아동의 올바른 식생활 교육에 활용할 개인 맞춤형 영양교육 자료 및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제안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령기는 어떤 시기인가? 학령기는 만 6세부터 사춘기 변화가 시작될 때까지의 연령층으로서, 이 시기는 신체적 성장속도가 비교적 완만하나 사춘기 이전의 제 2의 급속한 성장을 준비하는 시기이다[1]. 어릴 때의 식습관은 성장 발육뿐만 아니라 인지발달, 성격형성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 시기에 잘못된 식습관은 영양과잉 혹은 부족을 불러일으킬 수 있고, 이것은 성장기 뿐 아니라 성인이 되어서도 나쁜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2].
학령기 아동에게 영양교육이 필요한 이유와 장점은 무엇인가? 즉, 영양교육은 건강증진을 위해 건전한 식행동을 습득하는 과정이며, 타의에 의해서가 아니라 교육 대상자 스스로가 자발적으로 식행동을 습득하고 유지하도록 돕는 과정이다[8]. 또한, 이 시기의 아동들은 아직 가치관이 완전히 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지속적인 영양교육을 통해 스스로 올바른 식생활을 꾀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9], 이는 성장 후 영양 불균형으로 인하여 초래되는 질병 예방을 도모할 수 있다 [10]. 따라서 식습관이 형성되기 시작하는 학령기 아동 대상 영양교육의 중요성이 매우 강조되고 있다.
어릴 때의 식습관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학령기는 만 6세부터 사춘기 변화가 시작될 때까지의 연령층으로서, 이 시기는 신체적 성장속도가 비교적 완만하나 사춘기 이전의 제 2의 급속한 성장을 준비하는 시기이다[1]. 어릴 때의 식습관은 성장 발육뿐만 아니라 인지발달, 성격형성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 시기에 잘못된 식습관은 영양과잉 혹은 부족을 불러일으킬 수 있고, 이것은 성장기 뿐 아니라 성인이 되어서도 나쁜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2]. 따라서 학령기 아동들의 정상적인 성장과 발달을 위해서 균형 있는 영양소의 섭취와 건강한 식습관을 형성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Brown JE. Nutrition throughout the life cycle. 4th ed. United States: Cengage learning; 2010. p. 311. 

  2. Koo JO, Lee JW, Choi YS, Kim JH, Lee JH. Life cycle nutrition. Seoul: Hyoilbooks; 2006. p. 229-231. 

  3. Kim OH, Park HA, Cho YG, Kim KW, Hur YI, Song JH et al. Health status and nutrient intakes of 5th grade elementary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Korean J Community Nutr 2010; 15(6): 717-726. 

  4. Jeong NY, Kim KW. Nutrition knowledge and eating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 2009; 14(1): 55-66. 

  5. Lee YM. Eating trends in Korean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2006; 11(6): 819-835. 

  6. Kang SA, Lee JW, Kim KE, Koo JO, Park DY. A study of the frequency of food purchase for snacking and its related ecological factors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2004; 9(4): 453-463. 

  7. Han HM, Lee SS.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the application for the elementary students: Focused on sugar intake education. Korean Assoc Pract Arts Educ 2008; 21(2): 111-131. 

  8. Son SM, Lee KH, Kim KW, Lee YK. The actual nutrition education and counseling. Seoul: Life science; 2010. p. 96-107, 189. 

  9. Kim KA, Lee YK.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using animations on the nutrition knowledge, eating habits and food prefer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0; 15(1): 50-60. 

  10. Lee JW, Lee HS, Chang NS, Kim JM. The relationship between nutrition knowledge scores and dietary behavior, dietary intakes and anthropometric parameters among primary school children participating in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Korean J Nutr 2009; 42(4): 338-349. 

  11. Cheong HS, Lee HR. A study on the conditions of the nutrition educations and the perceptions of the nutrition teachers and dieticians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in Gyeongnam area. J Basic Sci 2013; 30(1): 41-59. 

  12. Park YH, Kim HH, Shin KH, Shin EK, Bae IS, Lee YK. A survey on practice of nutrition education and perception for implementing nutrition education by nutrition teacher in elementary schools. Korean J Nutr 2006; 39(4): 403-416. 

  13. Her ES, Lee KH. Development of computer-aided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for the school children. Korean J Nutr 2002; 35(7): 791-799. 

  14. Ly SY, Kang HK, Yang IS, Kang MH. Analysis of contents of nutrition information on the internet. J Korean Diet Assoc 2004; 10(2): 224-234. 

  15. Lim ES, Cho YS, Kim SN, Kim SB. Development and effects' analysis of nutrition education pamphlet for the higher grades elementary students: focused on individual daily needed Food Exchange Uni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6): 689-706. 

  16. Son MJ, Cho YS, Kim SN, Seo HJ, Kim SB. Development and effects' analysis of nutrition education pamphlet for the lower grades elementary students: Focused on individual daily needed Food Exchange Uni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1; 16(6): 647-660. 

  17. Kim KA, Lee YK.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using animations on the nutrition knowledge, eating habits and food prefer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0; 15(1): 50-60. 

  18.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oul: Han-Arum Publishing co.; 2015. pp. vi-xii, 6, 53. 

  19. Oh JY, Kim SB. Development and effects analysis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diabetes mellitus at community health center: focus on individual daily energy requirements and food exchange uni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0; 15(4): 485-497. 

  20.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Life cycle nutrition management [Internet]. Food safety Korea; 2013 [Updated 2015 Aug 24; cited 2016 May 5]. Available from: http://www.foodsafetykorea.go.kr/portal/board/boardDetail.do 

  21. Park SH.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2014. 

  22. Cho JH, Kim SB, Kim SK, Kim MH, Kim GS, Kim SN et al. Development of "Children's Food Avatar" Application for Dietary Education. Korean J Community Nutr 2013; 18(4): 299-311 

  23. Hyun TS, Yon MY, Kim SH, Kim NH, An SM, Lee SM et al. Development of a nutrition education website for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2003; 8(3): 259-269. 

  24. Park YS, Lee JW, Seo JS, Lee BK, Lee HS, Lee SK. Nutrition education and counselling. 5th ed. Paju: Kyomunsa; 2014. p. 299-311 

  25. Lee HL, Lee KE, Ko KS, Hong EA. Relationship between Broca index of late school-aged children and their mothers' eating, cooking, and exercise habi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6; 45(10): 1488-1496. 

  26. Lee KA. Activity-based nutrition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Nutr 2003; 36(4): 405-417. 

  27. You JS, Kim SM, Chang KJ. Nutritional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 of the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aejeon area by gender and skipping breakfast. Korean J Nutr 2009; 42(3): 256-267. 

  28. Lim JY, Na HB. Effects of a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Gyeonggi-do rura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11; 16(1): 1-13. 

  29. Jung JY, Choi HS, Lee JS, Kim SY, Park HJ, Kim MO. Nutrition through the life cycle. Seoul: Kwangmoonkag; 2012. p. 161-168. 

  30. Thompson J, Manore M, Vaughan L. The science of nutrition. Boston: Benjamin Cummings; 2010. p. 338, 360-376. 

  31. Kim YN, Na HJ. Food sources of thiamin, riboflavin and niacin based on food composition table and national annual food supply data in food balance sheet. Korean J Nutr 2001; 34(7): 809-820. 

  32. Lee YJ, Kim GM, Chang KJ. The analysis of effect on nutrition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chon. J Korean Diet Assoc 2000; 6(2): 86-96. 

  33. Kim MJ. Comparison of food and nutrient intake between weekday and weekend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by gender in Busan and some parts of Kyungsangnamdo. J Nutr Health 2013; 46(4): 332-345. 

  34. Kim YJ, Choi YJ, Kim HS. Factors related to calceneal broadband ultrasound attenuation, anthropometric indexes and nutrient intakes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Chungnam. Korean J Community Nutr 2013; 18(4): 312-323. 

  35. Lee KH, Choi IS, Oh SH. A study on intake/excretion of sodium in Korean children. Korean J Nutr 1995; 28(8): 749-758. 

  36. Heo OS, Oh SH, Shin HS, Kim MR. Mineral and heavy metal contents of salt and salted-fermented shrimp. Food Sci Biotechnol 2005; 37(4): 519-524. 

  37. Shin HH. Dietary sodium intake and cardiovascular diseases. Korean J Community Nutr 2002; 7(3): 391-393. 

  38.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2) [Internet].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cited 2016 Dec 20].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index.do. 

  39. Lee HJ, Lee CH, Lee KS, Jung YJ, Ha SH, Jung YY et al. Survey on sodium contents in meals of school food service and sodium intakes of students in Busan and Gyeongsangbuk-do.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0; 39(1): 85-91. 

  40. Kim BR, Cho YE.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Kangneu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1; 30(4): 739-74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