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질환 노인을 위한 운동교실 통합 자기관리교육 프로그램(하하프로그램)의 개발과정과 내용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he Contents of the Self-management Education Program Integrated with Exercise Training (HAHA program) for Older Adults with Chronic Diseases 원문보기

근관절건강학회지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18 no.2, 2011년, pp.169 - 181  

김선호 (선문대학교 간호학과) ,  송미순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박연환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송욱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  조비룡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과) ,  임재영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분당병원 재활의학과) ,  소위영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paper presents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he final contents of the sellf-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integrated with exercise training (Healthy Aging Happy Aging, HAHA program) for community residing older adults with chronic diseases. Methods: The program evaluation methodology w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지역사회 고혈압 노인과 당뇨병 노인들의 요구를 기초로 간호학, 의학, 체육학 전문가가 공동으로 개발한 대상자 중심의 만성질환자 자기관리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과정과 내용을 서술하였다. 복합적인 행동중재를 사용한 연구결과를 학술지에 출판시 지면의 제한으로 프로그램 개발과정과 내용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을 효과평가에 포함할 수 없으므로 프로그램의 개발과정과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흔히 따로 보고하고 있다(Alewijnse, Mesters, Metsemakers, & Borne,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고혈압, 당뇨병이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program evaluation 방법을 적용하여 대상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질병 자기관리교육과 운동훈련이 통합된 프로그램을 개발한 과정과 내용을 서술하는 것이다.
  • 본 원고에서는 program evaluation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성질환 노인을 위한 자기관리교육 통합 운동프로그램(하하프로그램)의 개발 과정과 내용을 서술하였다. 본 연구자들이 개발한 하하프로그램에는 운동 전 위험스크리닝과 관리, 자기 관리교육, 운동, 개별면담의 4가지 요소가 포함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이 다른 연령층에 비해 유병율이 높은 이유는? 노인은 노화에 따른 변화로 인해 다른 연령층에 비해 유병율이 높으며, 여러 가지 질병을 동시에 갖고 있는 경우가 많다(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의 86.
노년기 만성질환 중에서도 합병증으로 장애유발이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질환은? 7%가 한 개 이상의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데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Keimyung University, 2009), 이는 개인적으로는 고통과 활동 장애의 원인이 되며 삶의 질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장기간의 진료로 국민의료비의 증가 요인이 된다. 노년기 만성질환 중에서도 합병증으로 장애유발이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질환은 고혈압과 당뇨병이다. 이런 질환이 있는 노인들이 합병증 예방을 위한 전략들을 이해하고 수행하는 것은 노인자신 뿐 아니라 간호사나 의료인들의 중요한 관심사이다.
노인 만성질환자가 자기관리 측면에서 이행해야 할 내용 중 운동은 어떠한가? 노인 만성질환자가 자기관리 측면에서 이행해야 할 내용은 식이, 투약, 병원방문 외에도 운동이 포함된다. 그러나 노인들은 적절한 운동의 방법을 모르거나 알아도 습관화 되지 못하여 효율적인 운동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Song, Lee, & Shim, 2009). 그러므로 노인들의 만성질환자 자기 관리프로그램에 운동 관련 지식만을 제공할 것이 아니라 노인들이 활용할 수 있는 운동기술을 훈련하고 이를 습관화 할 수 있는 전략이 추가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insworth, B. E. & Youmans, C. P. (2002). Tools for physical activitiy counseling in medical practice. Obesity Research, 10 Suppl, 69S-75S. 

  2. Alewijnse, D., Mesters, I., Metsemakers, J., & Borne, B. (2002). Program development for promoting adherence during and after exercise therapy for urinary incontinence.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48, 147-160. 

  3.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2006).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7th ed.). Boltimore: Williams & Wilkins. 

  4. Ballard J. E., McFarland C., Wallace L. S., Holiday D. B., & Roberson G. (2004). The effect of 15 weeks of exercise on balance, leg strength, and reduction in falls in 40 women aged 65 to 89 year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Women's Association, 59(4), 255-61. 

  5. Bernard, M. (2000). Promoting health in old age. Critical issues in self health care. Buckingham, Philadelphia: Open University Press. 

  6. Crosby, R. A., DiClement, R. J., & Salazar, L. F. (2006). Research Methods in Health Promo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7. Deakin, T. A., McShane, C. E., Cade, J. E., & Williams, R. (2005). Group based training for self-management strategies in people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8(2), doi:10.1002/14651858.CD003417.pub2 

  8. Fitzpatrick, J. L., Sanders, J. R., & Worthen, B. L. (2004). Program evaluation Alternative approaches and practical guidelines (3rd ed.)(pp 129-151). Boston: Pearson Education Inc. 

  9. Funnell, M. M., Brown, T. L., Childs, B. P., Haas, L. B., Hosey, G. M., Jensen, B., et al. (2007). National standards for diabetes self-management education. The Diabetes Educator, 33, 599-614. 

  10. Jongno-Gu Senior Welfare Center. (2007) Needs Assessment for Program Development. Seoul: Jongno-Gu Senior Welfare Center Press. 

  11. Kim, S. H. & Song, M, S. (2008). Comparison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programs for the aged with hypertension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0(2), 152-163. 

  12. Kim, Y. J., Kim, C. S., & Park, I. H. (2004). Effects of aquatic exercise program on pain, flexibility, grip strength, self-care activities and helplessness in patients having osteoarthritis. The Journal of Rheumatology Health, 11(2), 127-135. 

  1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January). 2008 Korean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Seoul: Author. 

  14. Krueger, R. A. & Casey, M. A. (2000). Focus groups- A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search (3r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 

  15. Lee, L. L., Arthur, A., & Avis, M. (2007). Evaluating a community-based walking intervention for hypertensive older people in Taiwa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reventive Medicine, 44(2), 160-166. 

  16. Lorig, K. & Holman, H. (2003). Self-management education : history, definition, outcomes and mechanisms. Annals of Behavior Medicine, 26(1), 1-7. 

  17. Marwick, T. H., Horden, M. D., Miller, T., Chyun, D. A., & Bertoni, A. G. (2009). Exercise training for type 2 diabetes mellitus: impact on cardiovascular risk: a scientific statement for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119(25), 3244-3262. 

  18.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Keimyung University (2009). 2008 Survey of welfare need and living condition of elderly. Daegu: Author. 

  19.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2006). Self-management. Retrieved April, 4, 2011, from http://report.nih.gov/nihfactsheets/ViewFactSheet.aspx?csid70&keyS 

  20. Newman, S., Steed, L., & Mulligan, K. (2009). Chronic physical illness: self-management and behavioral interventions. New York: McGraw Hill. 

  21. Park, Y-H., Song, M., Cho, B. Lim, J., Song, W., Kim, S. et al. (2011). The effects of an integrated health education and exercise program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with hypertens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82, 133-137. 

  22. Pascoe, G. C. & Attkisson, C. C. (1983). The evaluation Ranking scale: A new methodology for assessing satisfaction.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6, 335-347. 

  23. Robinson, J. I. & Rogers, M. A. (1994). Adherence to exercise program: recommendation. Sports Medicine, 17(1), 39-52. 

  24. Royse, D., Thyer, B. A., Padgett, D. K., & Logan, T. K. (2006). Program evaluation. an introduction. Monterey California: Thompson Brooks/Cole. 

  25. Song, M., Lee, M., & Shim, B. (2009). Barriers to and facilitators of self-management adherence in Korean older adults with type 2 diabetes. International Journal of Older People Nursing, 5, 211-218. 

  26. Stretcher, V. J., DeVillis, B. M., Becker, M. H., & Rosenstock, I. M. (1986). The role of self-efficacy in achieving health behavior change. Health Education Quarterly, 13(1), 73-91. 

  27. Stringer, E. & Genat, W. (2004). Action research in health. Upper Saddle River: Pearson Prentice Hall. 

  28. Thomas, S., Reading, J., & Shephard, R. J. (1992). Revision of the Physical Activity Readiness Questionnaire (PAR-Q). Canadian Journal of Sport Science, 17(4): 338-345. 

  29.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7). National diabetes education program. Retrieved April, 4, 2011, from http://ndep.nih.gov. 

  30.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7). National High blood pressure education program. Retrieved April, 4, 2011, from http://www.nhlbi.nih.gov/about/nhbpep/nhbp_pd.ht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