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의 접근전략과 발전방향
Strategies to approach the customized health management service to prevent chronic diseases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33 no.4, 2016년, pp.89 - 100  

김영복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 건강증진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Life style modification leads to decrease health risk and change of health status for person at health risk. This study aimed to suggest essential components and effective strategies for customized health management service to provide individual and risk group in public and private heal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우리나라의 공공보건의료조직에 의해 주도적으로 추진된 사업을 분석하였으므로, 민간조직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내용을 상세히 분석하지 못하였고, 셋째, 건강관리서비스의 수요 창출이라는 주요 쟁점 및 이와 관련된 서비스 비용 부담방식, 재원 확보방안 등을 분석하지 못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개인별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를 도입해야 하는 이유를 제시하고, 향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접근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만성질환 예방을 위해 사회적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개인 중심의 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의 체계적인 수행을 위해 건강관리서비스의 구성요소인 서비스의 범위, 제공체계, 제공기관, 활용기술을 살펴보고, 효과적인 서비스 접근 전략을 모색하여 향후 발전방향을 제안함으로써 건강관리서비스 제도 도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건강관리서비스에 관한 체계적 분석을 위해 우리나라에서 제안된 건강관리서비스 관련 법안과 관련 문헌을 검색하여 체계적인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 서비스 제공기관은 공공과 민간조직으로 구분하였고, 서비스 활용기술은 새롭게 추진되는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세분화한 분류체계에 맞추어 사업의 구성요소가 지닌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의 효과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접근전략을 모색하고, 향후 제도화를 위한 선결과제 및 향후 과제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 이상과 같이 우리나라의 경우 건강관리서비스의 개념이정립되지 못한 상황을 고려하여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가 추구해야 할 접근전략을 제시해보았다. 현재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일부 국가에서도 건강관리서비스 개념 및 가이드라인을 국가별 특성에 맞게 규정하여 운영하고 있으므로, 향후 우리나라도 국민적 건강수요에 기반 한 건강관리서비스 가이드라인을수립하여 공공 및 민간조직의 질 관리를 위한 표준화된 기준으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 관련법안은 법제화가 추진된 2008년 이후의 의원발의 법안을 수집하여 검토하였고, 2010년 이후 발간된 출판물 중 건강관리서비스가 주제어인 연구논문, 보고서, 만성질환예방사업에 관한 지침서, 보도자료, 외국의 사례보고를 검색하여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세계전략을 살펴보기 위해 세계보건기구(WHO)의 만성질환 보고서를 검토하였다.
  • 즉 근거 중심의 개인의 건강관리를 위해 건강검진 결과 및 빅데이터를 활용하고, ICT를 활용하여 개인 및 지역, 기업의 건강관리사업을 활성화시키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관리서비스란 무엇인가? 건강관리서비스는 환자 뿐만 아니라 고위험군, 건강인의 만성질환 예방 및 관리를 위해 건강에 바람직하지 못한 생활습관을 개선하고자 마련된 예방사업이다. 우리나라에 서는 건강관리서비스 제도와 관련하여 개인 건강정보 및 의료민영화 등의 문제로 법제화를 추진하지 못하였으나, 건강위험요인의 적절한 관리가 만성질환을 예방하는 효과 가 명확히 입증되고 있으므로, 이에 중장기적인 검토를 지속시켜 나가야 한다.
우리나라 제4차 국민 건강증진종합 계획에서 건강생활습관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결정요인 중 우선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할 중점과제를 무엇으로 규정하였는가? , 2013). 우리나라에서도 제4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에서 국민들의 건강생활습관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결정요인 중 우선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할 중점과제를 금연, 절주, 신체활동, 영양 등으로 규정하고 건강생활실천을 확산시키기 위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2015). 또한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건강검진 결과와 연계한 사후관리 서비스에서 건강증진의 효과가 입증된 바 있다(Lee et.
고혈압・당뇨병등록관리사업을 환자 등록사업이라는 측면에서 개인 중심의 서비스로 사업 특성을 전환하는데 어떤 어려움이 있는가? 반면 대표적인 질병 예방 및 관리사업인 고혈압・당뇨병등록관리사업은 지역사회 주민의 건강수준 향상을 위해 공공부문에서 인구 집단에 기반하여 추진하였으나, 환자 등록사업이라는 측면에서 개인중심의 서비스로 사업의 특성이 전환되고 있다. 그러나 인력 및 예산 지원의 제한점 등으로 인하여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로 규정짓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Everett-Murphy, K., Mash, B., & Malan, Z. (2013). Helping people change. The Chronic Disease Inititive for Africa (CDIA). Retrieved from http://www.ichange4health.co.za 

  2. Everett-Murphy, K., Steyn K., Matthews C., Petersen Z., Odendaal H., Gwebushe, N., & Lombard, C. (2010). The effectiveness of adapted, best practice guidelines for smoking cessation counselling with pregnant smokers attending public sector antenatal clinics in Cape Town, South Africa. Acta Obstetricia et Gynecologica Scandinavia, 89(4), 478-490. 

  3. Kaiser Permanente. (2016). Health & Wellness Program. Retrieved from https://www.kaiserpermanente.org 

  4. Kim, C. W. (2016). How do you change the digital health care in medicine?, Fall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for Public Health Education. pp.79-87. 

  5. Kim, D. J. (2016). Report of non-medical health management service in Japan. Retrieved from https://www.kihasa.re.kr/web/introduction/foreign/view.do?menuId17&tid41&bid203&ano669. 

  6. Lee, A. K., Lee, S., Kang, I. O., Jung, B., Han, J. T., & Park, I. S. (2007). The Effect of Follow-Up Management Service on Health Promotion: for High Risk Population Classified in Health Screening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4(1), 127-138. 

  7. Lee, S. H. (2016). Digital health care cases in Korea, Fall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for Public Health Education. pp.91-111. 

  8. Lee, W. C., Kim, Y. B., Lee, S. Y., Kim, H. R., & Ha, H. S. (2013).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 of health management services in Korea. Seoul, Korea Life Insurance Assoication & General Insurance Association of Korea. 

  9. Lee, Y. T., Lee, K. I., Kang, D. W., Park, J. S., & Jo, K. M. (2011). A study on the standardized system of health management service. Policy study 10-9.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 Management Center for Health Promotion. 

  10. Metabolic Syndrome Management Center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6). Metabolic Syndrome Project. Retrieved from http://5check.or.kr 

  1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Management service on chronic disease, 2016-532. Retrieved from http://www.nhis.or.kr/bbs7/boards/B0040/20762 

  1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July 27). National health screening, smart change. Press release.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2015). The Fourth Korea Health Promotion Plan: 2016-2020. Seoul,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14.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 Management Center for Health Promotion. (2007). Health Screening and Health Promotion Service in Japan. Seoul, Management Center for Health Promotion. 

  15. Ministry of Legislation. (2016). Law of school health. Retrieved from http://www.law.go.kr. 

  16.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2016). Enable investment plan. 9th Trade and investment meeting. Seoul.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17.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s. (2016). Health Information: Health Screening. Retrieved from http://hi.nhis.or.kr/aa/ggpaa001/ggpaa001_m03.do 

  18.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5). Social influence and counterplan of ICT-based healthcare service. 

  19. Park, N. S. (2016). Empowerment of Health Education Specialist in digital health care market, Fall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for Public Health Education. pp.127-139. 

  20. Puska, P. (2002). Successful prevention of non-communicable diseases: 25 year experiences with North Karelia Project in Finland, Public Health Medicine, 4(1), 5-7. 

  21. Stanford Medicine. (2016). Health improvement program. Retrieved from http://med.stanford.edu/hip.html 

  22.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2). Prevention and control of noncommunicable diseases: Formal meeting of Member States to conclude the work on the comprehensive global monitoring framework, including indicators, and a set of voluntary global targets for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noncommunicable diseases, Geneva, WHO Press. 

  23.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3). Draft comprehensive global monitoring framework and targets for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noncommunicable diseases. Geneva, WHO Press. 

  2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Global status report on noncommunicable disease 2014. Geneva, WHO Pres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