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질환 노인에서 임파워먼트 이론에 근거한 다학제적 자기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a Multi-disciplinary Approached, Empowerment Theory Based Self-management Intervention in Older Adults with Chronic Illnes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5 no.2, 2015년, pp.192 - 201  

박초롱 (예일대학교 간호대학) ,  송미순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조비룡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과) ,  임재영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재활의학과) ,  송욱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  장희경 (서울여자간호대학) ,  박연환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ulti-disciplinary self-management intervention based on empowerment theory an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for older adults with chronic illness. Method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design was used with 43 Korean older ad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다양한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 임파워먼트 전략을 활용한 다학제적 자기관리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노인들의 건강 임파워먼트, 운동관련 자기효능감, 신체운동량 및 신체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한 무작위 통제군 전후 실험 설계 연구이다. 본 연구의 특징은 다른 연령층보다 건강행위 변화가 어려운 노인들에게 유의한 건강 행위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임파워먼트 전략을 사용하여 노인 스스로가 그 동안 인지하지 못했던 건강 행위의 문제점을 발견 및 분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와 계획을 세우고 이에 대한 동료의 피드백과 지지를 받도록 이끌었다는 점에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만성질환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 임파워먼트 전략을 활용한 다학제적 자기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6개월 간 제공하고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노인의 운동관련 자기효능 감에는 유의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나 건강 임파워먼트, 신체활동 량과 신체기능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다학제적 협력으로 건강교육, 운동 프로그램의 전문성을 극대화하고, 건강 임파워먼트 전략을 활용한 만성질환 노인의 자기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노인의 건강 임파워먼트, 운동관련 자기효능감, 신체활동량과 신체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다양한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 임파워먼트 전략을 활용한 다학제적 자기관리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노인들의 건강 임파워먼트, 운동관련 자기효능감, 신체운동량 및 신체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한 무작위 통제군 전후 실험 설계 연구이다. 본 연구의 특징은 다른 연령층보다 건강행위 변화가 어려운 노인들에게 유의한 건강 행위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임파워먼트 전략을 사용하여 노인 스스로가 그 동안 인지하지 못했던 건강 행위의 문제점을 발견 및 분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와 계획을 세우고 이에 대한 동료의 피드백과 지지를 받도록 이끌었다는 점에 있다. 특히, 프로그램 진행 기간 동안 본 연구팀은 다학제적 협력을 통하여 건강 교육과 개별 상담뿐만 아니라 노인에게 적합한 운동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하고, 주기적으로 건강 모니터링을 실시함으로써 노인의 정신신체적 건강을 보다 다각적으로 유지, 증진토록 하였다.

가설 설정

  • 중재군의 건강 임파워먼트 점수는 대조군보다 증가할 것이다.
  • 중재군의 신체기능은 대조군의 신체기능(SPPB) 보다 증가할 것이다.
  • 가설 4. 중재군의 신체기능은 대조군의 신체기능보다 증가할 것이다.
  • 가설 3. 중재군의 신체활동량은 대조군보다 증가할 것이다.
  • 중재군의 운동 관련 자기효능감 점수는 대조군보다 증가할 것이다.
  • 가설 2. 중재군의 운동 관련 자기효능감은 대조군보다 증가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의 신체기능에 맞는 적절한 운동 처방과 의사나 운동전문가의 관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미국의 질병관리본부(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20]에서 제시한 노인을 위한 운동 가이드라인에 의하면 규칙적인 유산소운동과 근력운동은 건강한 노화와 만성질환 관리를 위해 필수적이다. 그러나 보통 2~3개의 만성질환을 갖고 있는 노인의 경우 적절한 신체 활동량 및 운동빈도를 스스로 결정하기 어렵다. 특히, 운동 전문가가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더라도 운동시작 시에 운동의 안전성에 대한 의료적인 평가가 필요하고, 운동관련 손상이나 상해위험성도 높아[18] 운동 중에도 건강상태를 계속 평가해야 한다. 따라서, 노인의 신체기능에 맞는 적절한 운동 처방으로 체력과 연령에 적합한 노인 운동프로그램을 운동 전문가가 개발하고, 의사의 건강검진과 간호사의 건강 모니터 및 관리가 지속되는 다학제적 협력이 필수적이다[5,6,18].
건강 임파워먼트란 무엇인가? 이를 보완하여 장기간에 걸친 효과를 보여주고 있는 접근 방법으로는 건강 임파워먼트 전략이 있다[8,9]. 건강 임파워먼트는 브라질 교육학자 Paulo Freire의 철학, 사회 심리학의 비판 이론, 여성 해방론에서 발생된 임파워먼트 철학[10]을 건강행위에 접목시킨 개념이다. 임파워먼트 이론은 경영학과 사회 복지학, 교육학, 정신 심리학 등 이념적 배경과 접근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되어왔다 [8,11].
임파워먼트 이론은 어떤 학문에 사용되었는가? 건강 임파워먼트는 브라질 교육학자 Paulo Freire의 철학, 사회 심리학의 비판 이론, 여성 해방론에서 발생된 임파워먼트 철학[10]을 건강행위에 접목시킨 개념이다. 임파워먼트 이론은 경영학과 사회 복지학, 교육학, 정신 심리학 등 이념적 배경과 접근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되어왔다 [8,11]. 그 중 건강 분야에서의 임파워먼트, 건강 임파워먼트는 대상자가 건강 전문가가 지시한 사항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존의 전통적 이행개념에서 벗어나 대상자의 자율성을 강조하는 적극적 참여 과정으로 정의된다[8,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hung K, Lee YK, Lee SJ, Lee YH. Analysis of the survey of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Korean older persons.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2. Report No.: Research Report 2012-47-14. 

  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Deaths and mortality [Internet]. Atlanta, GA: Author; 2012 [cited 2014 July 7]. Available from: http://www.cdc.gov/nchs/fastats/deaths.htm. 

  3. Norris SL, High K, Gill TM, Hennessy S, Kutner JS, Reuben DB, et al. Health care for older Americans with multiple chronic conditions: A research agenda.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008;56(1): 149-159. http://dx.doi.org/10.1111/j.1532-5415.2007.01530.x 

  4. Bodenheimer T, Wagner EH, Grumbach K. Improving primary care for patients with chronic illness: The chronic care model, Part 2. JAMA: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02;288(15):1909-1914. 

  5. Jordan JE, Briggs AM, Brand CA, Osborne RH. Enhancing patient engagement in chronic disease self-management support initiatives in Australia: The need for an integrated approach. The Medical Journal of Australia. 2008;189(10 Suppl):S9-S13. 

  6. Huffman M. Health coaching: A new and exciting technique to enhance patient self-management and improve outcomes. Home Healthcare Nurse. 2007;25(4):271-274. http://dx.doi.org/10.1097/01.NHH.0000267287.84952.8f 

  7. Newman SP. Chronic disease self-management approaches within the complex organisational structure of a health care system. The Medical Journal of Australia. 2008;189(10 Suppl):S7-S8. 

  8. Anderson RM, Funnell MM. Patient empowerment: Reflections on the challenge of fostering the adoption of a new paradigm.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2005;57(2):153-157. http://dx.doi.org/10.1016/j.pec.2004.05.008 

  9. Tang TS, Funnell MM, Brown MB, Kurlander JE. Self-management support in "real-world" settings: An empowerment-based intervention.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2010;79(2):178-184. http://dx.doi.org/10.1016/j.pec.2009.09.029 

  10. Rogers ES, Chamberlin J, Ellison ML, Crean T. A consumer-constructed scale to measure empowerment among users of mental health services. Psychiatric Services. 1997;48(8):1042-1047. 

  11. Shearer NB. Health empowerment theory as a guide for practice. Geriatric Nursing. 2009;30(2 Suppl):4-10. http://dx.doi.org/10.1016/j.gerinurse.2009.02.003 

  12. Anderson RM, Funnell MM, Aikens JE, Krein SL, Fitzgerald JT, Nwankwo R, et al. Evaluating the efficacy of an empowerment-based self-management consultant intervention: Results of a two-yea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herapeutic Patient Education. 2009;1(1):3-11. http://dx.doi.org/10.1051/tpe/2009002 

  13. Bandura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1977;84(2):191-215. 

  14. Moattari M, Ebrahimi M, Sharifi N, Rouzbeh J. The effect of empowerment on the self-efficacy, quality of life and clinical and laboratory indicators of patients treated with hemodialysi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2012;10:115. http://dx.doi.org/10.1186/1477-7525-10-115 

  15. Pellino T, Tluczek A, Collins M, Trimborn S, Norwick H, Engelke ZK, et al. Increasing self-efficacy through empowerment: Preoperative education for orthopaedic patients. Orthopedic Nursing. 1998;17(4):48-51. 

  16. Royani Z, Rayyani M, Behnampour N, Arab M, Goleij J. The effect of empowerment program on empowerment level and self-care self-efficacy of patients on hemodialysis treatment. Iranian Journal of Nursing and Midwifery Research. 2013;18(1):84-87. 

  17. Anderson RM, Fitzgerald JT, Gruppen LD, Funnell MM, Oh MS. The diabetes empowerment scale-short form (DES-SF). Diabetes Care. 2003;26(5):1641-1642. 

  18. Bernard M. Promoting health in old age: Critical issues in self health care. Buckingham, UK: Open University Press; 2000. 

  19. de Vries NM, van Ravensberg CD, Hobbelen JS, Olde Rikkert MG, Staal JB, Nijhuis-van der Sanden MW. Effects of physical exercise therapy on mobility, physical functioning, physical activity and quality of life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with impaired mobility, physical disability and/or multi-morbidity: A meta-analysis. Ageing Research Reviews. 2012;11(1):136-149. http://dx.doi.org/10.1016/j.arr.2011.11.002 

  20.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ow much physical activity do older adults need?: Physical activity is essential to healthy aging [Internet]. Atlanta, GA: Author; 2014 [cited 2014 July 7]. Available from: http://www.cdc.gov/physicalactivity/everyone/guidelines/olderadults.html. 

  21. Centers for Medicare & Medicaid Services. Chronic conditions data warehouse: Condition categories [Internet]. Baltimore, MD: Author; 2011 [cited 2014 July 7]. Available from: https://www.ccwdata.org/web/guest/condition-categories. 

  22. Park C, Park YH.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health empowerment scale (K-HES) for older adults. Asian Nursing Research. 2013;7(3):142-148. http://dx.doi.org/10.1016/j.anr.2013.07.004 

  23. Gortner SR, Jenkins LS. Self-efficacy and activity level following cardiac surger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90;15(10):1132-1138. 

  24. Gu MO. A structural model for self care behavior and metabolic control in diabetic patient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2. 

  25. Chun MY.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short form in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012;33(3):144-151. http://dx.doi.org/10.4082/kjfm.2012.33.3.144 

  26. Guralnik JM, Simonsick EM, Ferrucci L, Glynn RJ, Berkman LF, Blazer DG, et al. A short physical performance battery assessing lower extremity function: Association with self-reported disability and prediction of mortality and nursing home admission. Journal of Gerontology. 1994; 49(2):M85-M94. 

  27. Brown SA, Garcia AA, Kouzekanani K, Hanis CL. Culturally competent diabetes self-management education for Mexican Americans: The starr county border health initiative. Diabetes Care. 2002;25(2):259-268. 

  28. Chang AK, Fritschi C, Kim MJ. Nurse-led empowerment strategies for hypertensive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Contemporary Nurse. 2012;42(1):118-128. http://dx.doi.org/10.5172/conu.2012.42.1.118 

  29. Manini TM, Pahor M. Physical activity and maintaining physical function in older adults.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2009;43(1): 28-31. http://dx.doi.org/10.1136/bjsm.2008.0537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