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각적 바이오피드백 시뮬레이션훈련이 불완전 척수손상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Visual Biofeedback Simulation Training for Balance in Patients with Incomplete Spinal Cord Injur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1 no.11, 2011년, pp.194 - 203  

박창식 (호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강권영 (서남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불완전 척수손상환자에게 시각적 바이오피드백 시뮬레이션훈련의 적용을 통해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불완전 척수손상환자 중 기능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ASIA장애척도 C, D환자 15명을 실험군 7명, 대조군 8명으로 무작위 분류하였다. 균형진단과 바이오피드백 훈련이 가능한 Tetrax Interactive Balance System을 이용하여 시각적 바이오피드백 시뮬레이션훈련을 6주간 일주에 3회씩, 1회에 15분간 총 18회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집단 내 전과 후의 차이는 대응표본 t검정을 시행하였고, 두집단 사이 전후 변화량의 차이는 독립표본 t검정을 사용하였다. 실험군은 자세 흔들림을 측정하는 안정성지수와 낙상의 위험정도를 나타내는 낙상지수 및 각각의 체중 변화를 감지하는 체중분포도(A, C, D, LEFT, HEEL)와 체중분포지수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자세조절능력을 나타내는 동조화에서는 좌우뒤꿈치(AC)간과 좌우앞꿈치(BD)간을 제외하고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5). 대조군은 체중분포도(A, C, LEFT)에서만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5).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변화량에서 체중분포도(A, B, C, HEEL)와 안정성지수 및 낙상지수, 그리고 동조화 AD에서만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이 연구의 결과로 볼 때 불완전 척수손상환자에게 부가적으로 균형증진을 위한 시각적 바이오피드백 시뮬레이션훈련은 균형능력향상에 있어서 유용할 것이며 추후 더 많은 연구들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visual biofeedback simulation training for patients with incomplete spinal cord injuries. Fifteen people with an ASIA impairment scale of C and D,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method, were studied.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seven peop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의 목적은 불완전 척수손상환자에게 시각적 바이오피드백 시뮬레이션훈련을 통해 자세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임상에서 효과적인 균형능력 증진을 위한 재활치료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더 나아가 균형운동을 체계화시키는데 자료를 제공하고, 불완전 척수손상환자의 보행기능 향상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시각적 바이오피드백 훈련이 불완전 척수 손상환자의 균형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에 위치한 종합병원에 내원하는 불완전 척수손상환자로 실험군 7명, 대조군 8명으로 나누어 6주간 운동을 실시하였다.
  •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30]는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과 감각운동 통합의 결여 및 전정기관 이외에도 다리와 척추의 근골격계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감각자극에만 중점을 두어 결과에 대한 폭넓은 해석이 어려우나 감각과 운동기능이 잔존하고 인지기능과 동기부여가 높은 불완전 척수손상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균형에 미치는 요소를 제한하였다. Tetrax의 시각적 바이오피드백 시뮬레이션훈련은 전통적인 균형훈련 방법과 감각자극을 이용해 가상의 환경에서 과제를 수행해 나가는 것으로서 앞서 언급한 가상현실 시스템과 같은 의미로 척수손상 재활에서의 부가적인 치료방법으로 가능성이 연구되고 있다[6].
  • 지금까지 척수손상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대부분이 상지 근력향상에 관한 운동 프로그램과 보상작용을 이용한 기능증진이 전부였고, 기능향상의 한계를 극복하기위한 연구와 노력이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불완전 척수손상환자에게 시각적 바이오피드백 시뮬레이션훈련을 통해 자세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임상에서 효과적인 균형능력 증진을 위한 재활치료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더 나아가 균형운동을 체계화시키는데 자료를 제공하고, 불완전 척수손상환자의 보행기능 향상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각적 바이오피드백 훈련이 불완전 척수 손상환자의 균형증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첫째, 실험군은 운동전보다 6주 후에 안정성지수와 체중분포지수, 체중분포도(A, C, D, LEFT, HEEL)와 동조화(AB, CD, AD, BC) 그리고 낙상지수에서 통계학적 유의성이 있었고(p<.05), 체중분포도 B와 동조화 AC, BD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표 2]. 대조군은 체중분포도(A, C, LEFT)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5), 안정성지수, 체중분포지수, 체중분포도(B, D, HEEL), 동조화(AB, CD, AC, BD, AD, BC)와 낙상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p>.05)[표 3]. 둘째, 운동 적용 6주 후,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변화량에서 안정성지수와 체중분포도(A, B, C, HEEL), 동조화 AD와 낙상지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5), 체중분포도(D, LEFT), 체중분포지수와 동조화(AB, CD, AC, BD, BC)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p>.05)[표 4].
척수손상환자의 궁극적인 재활 목적은 무엇인가? 척수손상환자의 궁극적인 재활 목적은 제한된 활동 안에서 최대한 독립적인 생활을 영위하는 것이다[3]. 이러한 목표를 이루기 위해 재활과정의 중요한 부분은 운동손상과 감각손상을 개선하는 것으로 균형감각의 손상은 정상적인 자세유지를 어렵게 만든다.
척수손상은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가? 경제발전에 따른 각종 재해와 사고로 인해 척수손상의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고, 의학의 발달로 생존율이 높아지면서 척수손상환자의 재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1]. 척수손상은 손상 수준이하에서 감각과 운동의 심각한 기능소실과 삶의 질에 갑작스런 변화를 가져온다. 가정과 사회에서의 역할 변화, 영구적인 기능장애로 사회적 고립과 역할 상실, 가족과 사회에 경제적인 부담, 수치심과 우울증 등을 갖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한주랑, "척수손상환자의 우울과 신체상과의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2. 김선옥, 임난영, "척수손상환자의 사회적 지지와 재활동기", 근관절건강학회지, 제16권, 제1호, pp.66-79, 2009. 

  3. L. D. Hollar, Spinal cord injury. In: Trombly CA, editor. Occupational therapy for physical dysfunction, 4th edition. Baltimore(MD): Williams & Wilkins, 1995. 

  4. J. W. Middleton, P. J. Sinclair, R. M. Smith, and G. M. Davis, "Postural control during stance in paraplegia: effects of medially linked versus unlinked knee-ankle-foot orthoses," Arch Phys Med Rehabil, Vol.80, No.12, pp.1558-1565, 1999. 

  5. Y. J. Potten, H. A. Seelen, J. Drukker, J. P. Reulen, and M. R. Drost, "Postural muscles responses in the spinal cord injured persons during forward reaching," Ergonomics, Vol.42, No.9, pp.1200-1215, 1999. 

  6. R. Kizony, L. Raz, N. Katz, H. Weingarden, and P. L. Weiss, "Video-capture virtual reality system for patients with paraplegic spinal cord injury," J Rehabil Res Dev, Vol.42, No.5, pp.595-608, 2005. 

  7. H. A. Seelen, Y. J. Potten, J. J. Adam, J. Drukker, F. Spaans, and A. Huson, "Postural motor programming in paraplegic patients during rehabilitation," Ergonomics, Vol.41, No.3, pp.302-316, 1998. 

  8. S. P. Burns, D. G. Golding, W. A. Rolle Jr, V. Graziani, and J. F. Ditunno Jr., "Recovery of ambulation in motor-in-complete tetraplegia," Arch Phys Med Rehabil, Vol.78, No.11, pp.1169-1172, 1997. 

  9. 김태윤, 신영일, 이형수, "트레드밀을 이용한 불완 전 척수손상자 보행훈련의 사전 연구", 대한물리치료학회지, 제15권, 제4호, pp.869-880, 2003. 

  10. Y. J. Jassen-Potten, H. A. Seelen, J. Drukker, T. Huson, and M. R. Drost, "The effect of seat tilting in pelvic position, balance control, and compensatory postural muscle use in paraplegic subjects," Arch Phys Med Rehabil, Vol.82, No.10, pp.1393-1402, 2001. 

  11. Y. J. Jassen-Potten, H. A. Seelen, J. Drukker, F. Spaans, and M. R. Drost, "The effect of footrests on sitting balance in paraplegic subjects," Arch Phys Med Rehabil, Vol.83, No.5, pp.642-648, 2002. 

  12. I. Bromley, Tetraplegia and paraplegia: A guide for physiotherapists, 5th edition. Edinburgh (Scotland): Churchill Livingstone, 1998. 

  13. P. L. Weiss, and N. Katz, "The potential of virtual reality for rehabilitation," J Rehabil Res Dev, Vol.41, No.5, pp.vii-x, 2004. 

  14. M. T. Schultheis, and A. A. Rizzo, "The application of virtual reality technology in rehabilitation," Rehabil Psych, Vol.46, No.3, pp.296-311, 2001. 

  15. C. G. Song, J. Y. Kim, and N. G. Kim, "A new postural balance control system for rehabilitation training based on virtual cycling," IEEE Trans Inf Technol in Biomed, Vol.8, No.2, pp.200-207, 2004. 

  16. G. Riva, "virtual reality in rehabilitation of spinal cord injuries: a case report," Rehabil Psych, Vol.45, No.1, pp.1-8, 2000. 

  17. J. H. Ku, D. P. Jang, B. S. Lee, J. H. Lee, I. Y. Kim, and S. I. Kim,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virtual driving simulator for the spinal injury patient," Cyberpsychol Behav Vol.5, No.2, pp.151-156, 2002. 

  18. T. Tossavainen, M. Juhola, I. Pyykko, H. Aalto, and E. Toppila,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stimuli for force platform posturography," Int J Med Inform, Vol.70, No.2-3, pp.277-283, 2003. 

  19. http://www.sunlightmedical.com/international/html/productTetrax.html 

  20. 장기연, 우희순, "여성노인에게 적용한 낙상예방작업치료가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3호, pp.233-240, 2010. 

  21. P. J. Brown, R. J. Marino, G. J. Herbison, and J. F. Ditunno Jr, "The 72-hour examination as a predictor of recovery in motor complete quadriplegia," Arch Phys Med Rehabil, Vol.72, No.8, pp.546-548, 1991. 

  22. B. Morganti, G. Scivoletto, P. Ditunno, J. F. Ditunno, and M. Molinari, "Walking index for spinal cord injury(WISCI): criterioin validation," Spinal Cord, Vol.43, No.1, pp.27-33, 2005. 

  23. M. Lacour, L. Bernard-Demanze, and M. Dumitrescu, "Posture control, aging, and attention resources: models and posture-analysis methods," Neurophysiol Clin, Vol.38, No.6, pp.411-421, 2008. 

  24. 김명옥, 정한영, 이재준, 이준호, 정형준, 좌경림, "급성기후 척수손상환자에서 보행척도로 Berg균 형검사의 의의", 대한재활의학회지, 제34권, 제5 호, pp.513-517, 2010. 

  25. J. Dornan, G. R. Fernie, and P. J. Holliday, "Visual input: its importance in the control of postual away," Arch Phys Med Rehabil, Vol.59, No.12, pp.586-591, 1978. 

  26. L. M Nashner and J. F. Peters, "Dynamic posturography i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dizziness and balance disorders," Neurol Clin, Vol.8, No.2, pp.331-349, 1990. 

  27. M. A. Pastor, B. L. Day, and C. D. Marsden, "Vestibular induced postural responses in Parkinson's disease," Brain, Vol.116, No.5, pp.1177-1190, 1993. 

  28. R. A. Geiger, J. B. Allen, J. O'Keefe, and R. R. Hicks, "Balance and mobility following stroke:effects of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s with and without biofeedback/forceplate training," Phys Ther, Vol.81, No.4, pp.995-1005, 2001. 

  29. R. E. Barclay-Goddard, T. J. Stevenson, W. Poluha, M. Moffatt, and S. P. Taback, "Force platform feedback for standing balance training after stroke," Cochrane Database Syst Rev, Vol.18, No.4, CD004129, 2004. 

  30. 김현호, 황보각, 유병국, 김명권, "전정중심의 감각통합치료가 발달장애아동의 안구진탕, 시지각,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4호, pp.290-302, 2011. 

  31. A. A. Rizzo, M. T. Schultheis, K. A. Kerns, and C. Mateer, "Analysis of assets for virtual reality applications in neuropsychology," Neuropsychol Rehabil, Vol.14, No.1/2, pp.207-239, 2004. 

  32. A. Lott, E. Bisson, Y. Lajoie, J. McComas, and H. Sveistrup, "The effect of two types of virtual reality on voluntary center of pressure displacement," Cyberpsychol Behav, Vol.6, No.5, pp.477-485, 2003. 

  33. 김보련, 최경효, 전민호, 이명종, 정선주, 장기우, "파킨슨병 환자에서 Textrax를 이용한 균형 능력 의 평가", 대한재활의학회지, 제33권, 제5호, pp.539-546, 2009. 

  34. F. S. Duran, L. Lugo, L. Ramirez, and E. Eusse, "Effects of an exercise program on the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Arch Phys Med Rehabil, Vol.82, No.10, pp.1349-1354,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