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들숨근 훈련이 경수손상환자의 호흡기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Inspiratory Muscle Strengthening Training on the Respiratory Functions and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ervical Spinal Cord Injury Patients 원문보기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8 no.11, 2013년, pp.1785 - 1792  

심유진 (한국국제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문옥곤 (군장대학교 물리치료과) ,  최완석 (한국국제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김보경 (한국국제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척수손상환자들에게 호흡기계 합병증의 발생률과 이로 인한 사망률은 여전히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 중 폐렴이 가장 주요한 사망의 원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남자 경수손상환자들에게 들숨근 강화를 목적으로 한 호흡운동이 호흡기능 및 삶의 질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마비수준 C4-C6의 아급성, 만성 경수손상 환자 중 현재 흡연을 하지 않는 남자 환자 17명이었으며, 주 3회, 총 6주간 들숨근 강화훈련을 실시하였다. 훈련 전후에 호흡곤란척도와 삶의 질을 자가측정 하였다. 연구 결과 호흡기능변화는 만성군에서만 유의한 감소(p<0.01)가 있었다. 삶의 질 변화에서는 아급성군은 VT(활력)에만 유의한 향상(p<0.05)이 있었고, 만성군은 GH(전반적인 건강상태), BP(통증), VT(활력)에서 유의한 향상(p<0.05, p<0.01)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들숨근 강화훈련이 호흡곤란을 경감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켰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patients suffering from spinal cord injuries, both of the possibility of having complications with the respiratory system and the related fatal rate are still high, while pneumonia is the most important cause of these fatalities.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find out what effects does a br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수손상환자들에게 들숨근육 강화를 통한 호흡운동이 호흡기능 및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아급성 및 만성 경수손상환자를 대상으로 6주간 들숨근 강화 훈련을 실시하여, 호흡기능과 삶의 질에 유의한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 Kang 등[13]은 경수 손상 환자들의 감소된 기침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들숨근육의 기능 향상에 초점을 둔 심폐물리치료를 실시한 결과 들숨의 기능은 유의하게 향상되진 않았지만 기침 방법이나 기침 용량은 확연하게 증가하였다고 하여 경수 손상 환자들에게 심폐물리치료를 통한 들숨근육의 강화 중재가 꼭 고려되어야 한다고 하였다[13]. 본 연구에서는 들숨근 강화 훈련을 통한 호흡 기능 향상을 호흡 곤란 척도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즉, 호흡 곤란 척도가 운동 후 감소하였다면 호흡 기능은 증가한 것이고, 운동 후 증가하였다면 호흡 기능은 감소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경수손상 환자에게 들숨근 강화 훈련이 호흡 기능 및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결과 호흡 기능은 아급성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만성군에서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삶의 질 변화에서는 아급성군에서 VT(활력)에 유의한 향상이 있었고, 만성군에서는 GH(전반적인 건강상태), BP(통증), VT(활력)에서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들숨근 강화 훈련은 무엇으로 구성된 호흡운동인가? 들숨근 강화 훈련은 들숨근 강화와 지구력 강화로 구성된 호흡운동으로서 Respifits을 이용하여 주 3회 실시하였다. Respifits은 측정과 훈련이 가능한 기기로, 각 환자들의 상태에 맞게 측정에 따른 적절한 운동강도의 적용이 가능하고, 운동 진행상태가 변화되는 것을 바이오피드백을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에 보여주기 때문에, 보다 능동적인 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척수가 절단된 경우 어떤 문제가 생기나? 척수가 절단된 경우 호흡근육들이 손상된 레벨의 아래에 있다면 마비가 되거나 상위척수의 지배를 받게 되고, 손상된 레벨의 위에 있다면 더욱 심한 호흡 장애가 생기게 된다[2]. 경수손상환자들은 이러한 호흡기계 합병증이나 호흡부전 같은 호흡장애를 가지게 되는데[1], 호흡기계 합병증은 상위 사지마비 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흔한 합병증 중 하나로, 급성이든 만성이든 C5 또는 그 이상의 환자들 중 80% 이상에서 나타난다[3].
척수손상 시 의존적인 삶을 살게 되는 이유는? 척수손상은 영구적인 장애를 남기게 되어 전 생애에 걸쳐 많은 손실을 수반하여, 개인의 삶은 물론 사회 전반에 영향을 준다. 척수는 손상 후 완치가 어렵고, 운동 및 감각기능, 방광기능, 배변기능, 호흡기능 및 성기능 장애 등 여러 장애 뿐 아니라 계속되는 여러 가지 합병증으로 의존적인 삶을 살아가게 된다[7]. 척추손상 환자들은 신체적 변화와 함께 사회적 활동의 참여가 제한되고 경제적인 능력의 저하로 독립적인 삶에 어려움을 겪게 되어 의존적인 삶을 살게 됨으로써 상대적으로 환자의 삶의 만족도가 낮아지게 되는데, 이 가운데 호흡기계 합병증은 피로, 우울, 수면장애 등의 증상을 더욱 가속화시킴으로써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더하게 되어, 척수손상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8], [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laxton R, Wong D, Chung F, Fehlings M, "Predictors of hospital mortality and mechanical ventilation in patients with cervical spinal cord injury", Can J Anaesth, Vol. 45, No. 2, pp. 144-149, 1998. 

  2. Chen C, Lien I, Wu M, "Respiratory function in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ies", Effects of Posture, Paraplegia, Vol. 28, No. 2, pp. 81-86, 1990. 

  3. Ehrlich M, Manns P, Poulin C, "Respiratory training for a person with c3-c4 tetraplegia", Aust J Physiother, Vol. 45, No. 4, pp. 301-307, 1999. 

  4. Reiter M, Totzauer A, Werner I, Koessler W, Zwick, H, Wanke T, "Evaluation of inspiratory muscle function in a healthy austrian population- practical aspects", Respiration, Vol. 73, No. 5, pp. 590-596, 2006. 

  5. Koessler W, Wanke T, Winkler G, Nader A, Toifl K, Zwick H, "2 Years' experience with inspiratory muscle training in patients with neuromuscular disorders" Chest, Vol. 120, No. 3, pp. 765-769, 2001. 

  6. Dell'Ago P, Gaspar R, Chiappa G, Stein R, Ribeiro J, "Inspiratory muscle training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and inspiratory muscle weakness; a randomized trial", J Am Coll Cardiol, Vol. 47, No. 4, pp. 757-763, 2006. 

  7. Song CS, "A grounded theory approach to the adaption process of the spinal cord injuried pers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2010. 

  8. Cho AR, "Effect of the respiratory trainingfocused music therapy program on physical respiratory function and the quality of life for cervical spinal cord injured patients", Graduate school of sungshin women's university, 2010. 

  9. Lee YK, Youn HS, "Usefulness of modified Borg scale in assessing dyspnea", Clin Nur Res, Vol. 10, No. 2, pp. 173-185, 2005. 

  10. Kim TD, "Effect of the intergrated rehabilitation program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funct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ving among the elderly with stroke", Graduate school of hanyoung theological university, 2009. 

  11. Choi SA, "A Study on the Factor affect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hronic stroke patients", Sungkyunkwan University, 2004. 

  12. Gross D, Ladd H, Riley E, Macklem P, Grassino A, "The effect of training on strength and endurance of the diaphragm in quadriplegia", AM J Med, Vol. 68, No. 1, pp. 27-68, 1980. 

  13. Kang SW, Shin JC, Park CI, Moon JH, Rha DW, Cho DH, "Relationship between inspiratory muscle strength and cough capacity in cervical spinal cord injured patients", Spinal Cord, Vol. 44, No. 4, pp. 242-248, 2006. 

  14. Berlowitz D, Tamplin J, "Respiratory muscle training for cervical spinal cord injury", Cochrane Database Syst Rev. Vol. 19, No. 7, 2013. 

  15. Walker J, Cooney M, Norton S, "Improved pulmonary function in chronic quadriplegics after pulmonary therapy and arm ergometry", Paraplegia, Vol. 27, No. 4, pp. 278-283, 1989. 

  16. Wanke T, Formanek D, Lahrmann H, Brath H, Wild M, Wagner C, Zwick H, "Effects of Combined Inspiratory Muscle and Cycle Ergometer Training on Exercise Performance in Patients with COPD", Eur Respir J, Vol. 12, No. 7, pp. 2205-2211. 1994. 

  17. Fujiwara T, Hara Y, Akahoshi K, Chino N, "Relationship between shoulder muscle strength and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score among C6 tetraplegics", Spinal Cord, Vol. 37, No. 1, pp. 58-61, 1999. 

  18. Lee EJ, "The effect of music therapy with a respiratory training on respiratory rehabilitation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suffering from pneumoconiosis", Graduate school of sungshin women's university, 2009. 

  19. Lee CK, "Effects of an inpatient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on dyspnea, exercise capacity,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for patients with chronic lung disease", Taehan Kanho Hakhoe Chi, Vol. 37, No. 3, pp. 343-352, 2007. 

  20. Winkler G, Zifko U, Nader A, Frank W, Zwick H, Toifl K, Wanke T., "Dose Dependent Effects of Inspiratory Muscle Training in Neuromuscular Disorders", Muscle Nerve. Vol. 23, No. 8, pp. 1257-1260. 2000. 

  21. Park BY, Ko DS, Park HS,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 and Quality of Life among some Elderly",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8, No. 6, pp. 941-948, 2013. 

  22. Seo EJ, Beak HH, Kim JJ, "The Effect of Direct Swallowing Treatment on the Swallowing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of the Stroke Patient",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8, No. 9, pp. 1413-1420, 2013. 

  23. Kim JW, Oh MH, Chung HA, "Disabled People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relationship",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8, No. 1, pp. 173-180,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