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 뇌졸중 환자의 일어서기 훈련 시 시각적 피드백과 청각적 피드백이 균형과 수행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Comparison of Visual and Auditory Biofeedback during Sit-to-stand Training for Performance and Balance in Chronic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10 no.4, 2015년, pp.59 - 68  

이동현 (대전대학교 물리치료학과 보건의료대학원) ,  최성진 (대전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일반대학원) ,  최호석 (대전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일반대학원) ,  신원섭 (대전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omparison of visual and auditory biofeedback during sit-to-stand training in patients with stroke. METHODS: Thirty-five subjects with chronic stroke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 visual feedback group (12 subjects), an auditory feedback g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뇌졸중 환자의 가장 일반적인 문제점은 균형과 비대칭적인 움직임이고, 최근 연구들에서 균형능력은 자동적이나 반사에 의해 조절되는 것이 아니라 과제 자체를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향상된다고 보고하였고, 바이오피드백 훈련이 그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Cheng 등, 2004; Bonan 등, 2004). 따라서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일어서기 훈련 시, 시각적 피드백과 청각적 피드백을 적용하여 일어서기 동작의 기능적 수행 능력과 균형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 또한 일어서기 동작의 수행력 평가에서 양적 평가가 강조되고 움직임의 질적인 수준의 평가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일어서기 과제 동안 저비용의 정확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임상적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시각적 피드백을 이용한 훈련과 청각적 피드백을 이용한 훈련이 뇌졸중 환자들의 일어서기 동작의 수행 능력과 균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의 일어서기 훈련 시, 시각적 바이오피드백과 청각적 바이오피드백을 적용하여 일어서기 동작의 기능적 수행 능력과 균형능력의 효과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시각적 피드백과 청각적 피드백을 적용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일어서기 동작의 수행능력의 양적인 향상보다 질적인 향상에 효과가 있었으며, 균형능력에 효과를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은 균형에 장애를 주는 어떤 특징을 가지는가? 뇌졸중은 뇌혈관의 경색과 출혈의 문제로 심각한 신경학적 문제가 발생하여 운동 및 감각 기능의 저하를 일으킨다(Lee와 Shin, 2014; Camargos 등, 2009). 체중을 이동하는 능력의 상실로 인해 신체균형능력이 소실되어 비대칭적인 자세의 문제점이 발생되며 이로 인해 수의적인 운동수행 능력의 장애와 기능적인 활동을 감소시키는 문제를 가지게 된다(Yoon 등, 2015; Mercer 등, 2009).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환자들은 불안정한 서기와 균형에 장애를 가지게 된다(Bohannon과 Smith, 1987).
뇌졸중 환자의 균형 회복을 위한 치료적 중재 방법으로 어떤 것들이 시행되었는가 지금까지 뇌졸중 환자의 균형 회복을 위한 치료적 중재방법으로 근력훈련, 과제지향훈련 등을 이용한 운동학습 방법 등이 시행되었다(Jun 등, 2014). 손상된 신체의 움직임을 자극하고, 반복적인 능동적 움직임을 훈련하는 방법은 신경가역성의 효과를 발생시킨다 (Shepherd, 2001).
뇌졸중 환자의 체중을 이동하는 능력의 상실은 환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뇌졸중은 뇌혈관의 경색과 출혈의 문제로 심각한 신경학적 문제가 발생하여 운동 및 감각 기능의 저하를 일으킨다(Lee와 Shin, 2014; Camargos 등, 2009). 체중을 이동하는 능력의 상실로 인해 신체균형능력이 소실되어 비대칭적인 자세의 문제점이 발생되며 이로 인해 수의적인 운동수행 능력의 장애와 기능적인 활동을 감소시키는 문제를 가지게 된다(Yoon 등, 2015; Mercer 등, 2009).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환자들은 불안정한 서기와 균형에 장애를 가지게 된다(Bohannon과 Smith, 1987). 또한 균형능력, 근력, 유연성이 떨어져서 일어서기 또는 앉기와 같은 일상생활활동 중에 낙상 등의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한다(Nyberg와 Gustafson, 1995). 일어서기 동작은 독립적인 일상생활에 필수적인 기능적 동작으로, 하지 근육과 분절의 움직임으로 신체를 전방으 로 추진하는 동안 몸의 균형을 유지하는 능력을 필요로 한다(Hughes와 Schenkman, 1996; Fujimoto와 Chou, 2012; Carr와 Shepherd,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hn MH, Park KD, You YY. The effect of feedback on somesthetic video game training for improving balance of stroke patients. J Korean soc phys med. 2012;7(4):401-09. 

  2. Berg K, Wood-Dauphinee S, Williams J. The balance scale: Reliability assessment with elderly residents and patients with an acute stroke. Scand J Rehabil Med. 1995;27(1):27-36. 

  3. Bohannon RW, Smith MB. Interrater reliability of a modified ashworth scale of muscle spasticity. Phys Ther. 1987; 67(2):206-7. 

  4. Bonan IV, Yelnik AP, Colle FM, et al. Reliance on visual information after stroke. Part ii: Effectiveness of a balance rehabilitation program with visual cue deprivation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 Phys Med Rehabil. 2004;85(2):274-8. 

  5. Briere A, Nadeau S, Lauziere S, et al. Knee efforts and weight-bearing asymmetry during sit-to-stand tasks in individuals with hemiparesis and healthy controls. J Electromyogr Kinesiol. 2013;23(2):508-15. 

  6. Camargos ACR, Rodrigues-de-Paula-Goulart F, Teixeira-Salmela LF. The effects of foot position on the performance of the sit-to-stand movement with chronic stroke subjects. Arch Phys Med Rehabil. 2009;90(2):314-9. 

  7. Carr J, Shepherd R. Neurological rehabilitation: Optimizing motor performance(2nd ed) London. Churchill Livingstone. 2010. 

  8. Cheng PT, Chen CL, Wang CM, et al. Leg muscle activation patterns of sit-to-stand movement in stroke patients. Am J Phys Med Rehabil. 2004;83(1):10-6. 

  9. Cheng PT, Wu SH, Liaw MY, et al. Symmetrical body-weight distribution training in stroke patients and its effect on fall prevention. Arch Phys Med Rehabil. 2001;82 (12):1650-4. 

  10. Cho HY, An SH, Lee YB, et al. The usability of sit to stand test performance in chronic stroke. J Korean soc phys med. 2013;8(4):549-58. 

  11. Choi HS, Shin WS. Validity of the lower extremity functional movement screen in patient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J Phys Ther Sci. 2015;27(6):1923. 

  12. Chou SW, Wong AM, Leong CP, et al. Postural control during sit-to stand and gait in stroke patients. Am J Phys Med Rehabil. 2003;82(1):42-7. 

  13. Dickstein R, Nissan M, Pillar T, et al. Foot-ground pressure pattern of standing hemiplegic patients major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improvement. Phys Ther. 1984;64(1):19-23. 

  14. Engardt M, Ribbe T, Olsson E.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feedback to enhance stroke patients' symmetrical body-weight distribution while rising/sitting down. Scand J Rehabil Med. 1993;25(1):41-8. 

  15. Fujimoto M, Chou LS. Dynamic balance control during sit-to-stand movement: An examination with the center of mass acceleration. J Biomech. 2012;45(3): 543-8. 

  16. Hughes MA, Schenkman ML. Chair rise strategy in the functionally impaired elderly. J Rehabil Res Dev. 1996;33(4):409. 

  17. Ji SG, Nam GW, Kim MK, et al. The effect of visual feedback training using a mirror on the balance in hemiplegic patients. J Korean soc phys med. 2011;6(2):153-63. 

  18. Jun HJ, Lee JS, Kim KJ, et al. Effect of auditory biofeedback training and kicking training on weight-bearing ratio in patients with hemiplegia. J Korean soc phys med. 2014;9(4):363-73. 

  19. Ki KI. The Effect of repetitive feedback training of plantar pressure sense for weight shift during gait in chronic hemiplegia patients. Doctor's Degree. Daejeon University. 2014. 

  20. Kim SK. The effective factors on balance in stroke patients. Korea Sport Research. 2008;19(6):125-34. 

  21. Lee KY, Shin WS. The effects of closed kinetic and open kinetic chain exercises using knee reposition sense in chronic stroke patients. J Kor Phys Ther. 2014;26(3):182-90. 

  22. Lomaglio MJ, Eng JJ. Muscle strength and weight-bearing symmetry relate to sit-to-stand performance in individuals with stroke. Gait Posture. 2005;22(2): 126-31. 

  23. Mercer VS, Freburger JK, Chang SH, et al. Measurement of paretic-lower-extremity loading and weight transfer after stroke. Phys Ther. 2009;89(7):653-64. 

  24. Mirelman A, Herman T, Nicolai S, et al. Audio-biofeedback training for posture and balance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J Neuroeng Rehabil. 2011;8:35. 

  25. Nyberg L, Gustafson Y. Patient falls in stroke rehabilitation a challenge to rehabilitation strategies. Stroke. 1995;26 (5):838-42. 

  26. Park DS, Lee DY, Choi SJ,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balancia using wii balance board for assessment of balance with stroke patients. J Korea Acad Industr Coop Soc. 2013;14(6):2767-72. 

  27. Park JH, Kim YM, Lee NK. The effects of repetitive sit-to-stand training with a paretic-side asymmetrical foot position on the balance of chronic stroke subjects. J Kor Phys Ther. 2015;27(3):169-73. 

  28. Sackley CM, Lincoln NB. Single 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visual feedback after stroke: Effects on stance symmetry and function. Disabil Rehabil. 1997;19(12): 536-46. 

  29. Seo DK, Oh DW, Lee SH. Effectiveness of ankle visuoperceptual-feedback training on balance and gait functions in hemiparetic patients. J Kor Phys Ther. 2010;22(4):35-41. 

  30. Shepherd RB. Exercise and training to optimize functional motor performance in stroke: Driving neural reorganization? Neural Plast. 2001;8(1-2):121-9. 

  31. Tung FL, Yang YR, Lee CC, et al. Balance outcomes after additional sit-to-stand training in subjects with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2010; 24(6):533-542. 

  32. Van Vliet PM, Wulf G. Extrinsic feedback for motor learning after stroke: what is the evidence? Disabil Rehabil. 2006;28(13-14):831-40. 

  33. Whitney SL, Wrisley DM, Marchetti GF, et al. Clinical measurement of sit-to-stand performance in people with balance disorders: Validity of data for the five-times-sit-to-stand test. Phys Ther. 2005;85(10): 1034-45. 

  34. Yoon MR, Choi HS, Shin WS. Effects of the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and the abdominal expansion maneuver on grip strength, balance and pulmonary function in stroke patients. J kor phys ther. 2015;27(3): 147-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