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본 연구는 LH의 다가구임대주택 철거 신축사업에 대비하여 노후주택에 대한 해체공사비를 합리적 근거에 의하여 예측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소형주택 해체공사 수행 현황과 작업 프로세스를 조사하고 공사비 견적전문가 면담을 통해 해체공사비 산정실태를 파악하였다. 아울러 공공건설공사의 '예정가격 산정기준'과 '건설폐기물 처리비 산정기준', 선행연구 및 문헌을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의 하나로 표준품셈에 기초한 해체공사 원가계산체계와 내역체계 및 관련 일위대가를 제안하고, 이를 활용하여 지상 2~3층 규모의 다가구임대주택에 대한 해체공사 예정가격을 산출하였다. 산출 결과, 1개 동당 해체공사비는 18,331천원, 바닥면적(
This study is aiming at estimating the demolition cost of deterioration housing by the rational method in order to provide for the demolition and new build project of the rental multi-family housing of LH. We investigated the actual state of demolition construction and work process of small size housing, and analysed an actual condition of estimation for the demolition cost through an advice by the expert of construction cost estimate. Furthermore, the 'estimation standard for the predetermined amount', 'estimation standard for the disposal cost of construction wastes' and precedent studies in public construction work were considered. As one of results in this study, cost accounting system, breakdown system and construction cost for the demolition work based on the standard of estimate were proposed and the predetermined amount of demolition construction for the multi-family housing with 2 or 3 floors could be produced by them. Eventually, It is estimated that the demolition cost per a multi-family housing is about 18,331,000(won) and 104,000(won) per floorage(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기존 주택 매입임대사업 | 기존 주택 매입임대사업은 무엇인가? |
도심지 내 최저 소득계층이 현 생활권에서 현재 수입으로 거주할 수 있도록 기존 주택을 매입하여 임대하는 사업
정부는 2004년부터 도심지 내 최저 소득계층이 현 생활권에서 현재 수입으로 거주할 수 있도록 기존 주택을 매입하여 임대하는 사업인 ‘기존 주택 매입임대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여기서 ‘기존 주택’이란 「주택법」이나 「건축법」에 따라 이미 사용 중인 주택을 말하며, 매입대상 주택은 「건축법 시행령」 별표 1에 따른 ‘단독주택’, ‘다중주택’, ‘다가구주택’과 ‘국민주택규모 이하의 공동주택(다세대주택)’이다. |
국민임대주택 | 국민임대주택사업에서 매입, 공급하는 주택은 무엇이 대부분을 차지하는가? |
다가구주택과 다세대주택
사업시행자인 LH는 기존 주택을 매입 및 개・보수하여 ‘국민임대주택’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2004년부터 2009년까지 총 4,108개 동(총 30,020세대)을 공급하였다. 매입, 공급한 주택은 다가구주택과 다세대주택(이하 ‘다가구임대주택’)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
정부 | 정부는 언제부터 기존 주택 매임임대사업을 시행하고 있는가? |
2004년
정부는 2004년부터 도심지 내 최저 소득계층이 현 생활권에서 현재 수입으로 거주할 수 있도록 기존 주택을 매입하여 임대하는 사업인 ‘기존 주택 매입임대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여기서 ‘기존 주택’이란 「주택법」이나 「건축법」에 따라 이미 사용 중인 주택을 말하며, 매입대상 주택은 「건축법 시행령」 별표 1에 따른 ‘단독주택’, ‘다중주택’, ‘다가구주택’과 ‘국민주택규모 이하의 공동주택(다세대주택)’이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