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뭄빈도해석을 통한 가뭄심도-지속시간-생기빈도 곡선의 유도
Derivation of Drought Severity-Duration-Frequency Curves Using Drought Frequency Analysis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44 no.11, 2011년, pp.889 - 902  

이주헌 (중부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창주 (중부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에서 발생했던 과거 가뭄사상의 정량적 평가를 위한 가뭄심도-지속기간-생기빈도(Severity-Duration-Frequency, SDF) 곡선을 유도하기 위해서 가뭄지수를 이용한 빈도해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지점으로는 4대강 유역을 중심으로 하는 기상청 산하의 서울, 대전, 대구, 광주, 부산관측소를 선정하였으며 강수자료는 1974~2010년(37년)의 강수 자료를 이용하였다. 가뭄빈도해석에는 기상학적 가뭄지수인 SPI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를 선정하였으며 확률분포형에 대한 적합도 검정에서는 일반극치분포(GEV, Generalized Extreme Value)가 최적의 확률분포형으로 선정되었다. 가뭄지수의 빈도해석 통하여 유도된 주요 관측소별 SDF (Severity-Duration-Frequency) 곡선을 이용하여 과거의 주요 가뭄사상에 대한 재현기간을 제시하였으며 1994~1995년 가뭄의 경우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하는 극심한 가뭄으로서 광주관측소에서는 50~100년, 부산관측소에서는 100~200년의 높은 재현기간을 나타내었다. 그밖에 1988~1989년 가뭄의 경우 서울관측소에서는 300년의 재현기간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using drought index had implemented for the derivation of drought severity-duration-frequency (SDF) curves to enable quantitative evaluations of past historical droughts having been occurred in Korean Peninsular. Seoul, Daejeon, Daegu, Gwangju, and Busan weather s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과거 한반도에서 발생했던 과거 가뭄사상의 정량적 평가를 위한 SDF 곡선을 유도하기 위하여 한반도내의 주요 기상관측소에 대한 점빈도해석(Point 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기상청 산하 59개의 전 관측소 중 비교적 자료 보유기간이 길고,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유역을 대표할 수 있는 서울, 대전, 대구, 광주, 부산관측소를 선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선정된 관측소의 강수자료는 1974~2010년(37년)의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5개 관측소의 위치 정보는 Table 1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빈도해석을 위한 확률분포형을 선정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수문자료 해석에 사용되는 Gamma, GEV(General Extreme Value), Gumbel, Log-Gumbel, Lognormal, Log-Pearson type III, Weibull, Wakeby 분포형에 대해 적합도 검정을 실시하였다. Table 4는 적합도 검정을 실시한 분포형 중 수문자료에서도 극심한 가뭄 등의 분석에 이용하는 Gamma, Weibull, Log-Gumbel, GEV, Gumbel, Lognormal 분포형의 적합도 검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에서 발생했던 과거 가뭄사상의 정량적 평가를 위해 대표적인 기상학적 가뭄 지수인 SPI를 선정하여 기상관측소별로 지속기간 6개월의 SPI를 산정하였다.
  • 반면에 1994~1995년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한 가뭄의 경우에는 대구, 부산관측소에서는 재현기간은 100~200년의 빈도를 나타내었지만 대전관측소의 20~30년의 재현기간을 갖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SDF 곡선을 통한 과거가뭄의 재현기간 추정은 가뭄의 지속기간을 어떻게 설정하는 가에 따라서 동일한 관측소에서도 다소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SPI 가(-1) 이하의 값을 갖는 연속적인 가뭄현상에 대해서 분석한 것임을 밝혀두는 바이다.
  • 한편, 본 연구에서 사용될 SPI 가뭄지수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산정된 지속기간 6개월의 SPI가 과거가뭄을 정량적으로 잘 표현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과거가뭄을 대상으로 지수의 정확성을 검토하였다. 검토를 위한 가뭄사상은 조사된 가뭄관련 보고서 및 미디어에 보도된 기사를 토대로 조사한 1976~1978년, 1981~1982년, 1988년, 1994~1995년, 2000~2002년 및 2007~2009년의 대형 가뭄을 선정하였다.

가설 설정

  • (1993, 1995)은 가뭄은 상대적으로 물의 수요에 비해 물의 부족을 유발하는 강수량의 감소에 의해 시작된다는 것에 착안하여 SPI를 개발하였다. 즉, 강수량이 부족하면 용수 공급원인 지하수량, 적설량, 저수지 저류량, 토양함유수분, 하천유출량 등에 각기 다른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으로부터 개발한 것이다. SPI는 특정한 시간에 대한 계산 시간단위를 3, 6, 12, 24개월 등과 같이 설정하고, 시간단위별로 강수 부족량을 산정하여 개개의 용수공급원이 가뭄에 미치는 영향을 산정하는 방법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뭄을 정량화 하는 기술이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실정인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기후변화와 기상이변으로 우리나라에 홍수 및 가뭄 등의 자연재해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홍수와 달리 가뭄은 그 기간에 따라 그 피해를 산정하기 쉽지 않다. 하지만, 진행속도가 느려 대처할 여유가 많기 때문에 가뭄에 대한 대책수립을 위해 가뭄을 정량화 하는 기술이 어느 때보다도 필요한 실정이다. 가뭄을 정량화 하는 방법으로는 가뭄지수를 활용하는 방법이 가장 일반적이며 그 밖에도 가뭄의 빈도해석을 통한 가뭄의 재현기간, 지속기간, 심도 등의 수문변수를 활용하는 방법이 있다.
가뭄을 정량화 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하지만, 진행속도가 느려 대처할 여유가 많기 때문에 가뭄에 대한 대책수립을 위해 가뭄을 정량화 하는 기술이 어느 때보다도 필요한 실정이다. 가뭄을 정량화 하는 방법으로는 가뭄지수를 활용하는 방법이 가장 일반적이며 그 밖에도 가뭄의 빈도해석을 통한 가뭄의 재현기간, 지속기간, 심도 등의 수문변수를 활용하는 방법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건설교통부(1995). 가뭄기록조사 보고서 

  2. 건설교통부(2000). 1999년도 수자원관리기법개발연구조사 보고서-제1권 한국 확률강우량도 작성. pp. 29-72. 

  3. 건설교통부(2002). 2001 가뭄기록조사 보고서 

  4. 건설교통부(2005). 가뭄관리모니터링체계수립. pp. 74-114. 

  5. 건설교통부(2006). 가뭄관리정보링체계수립. pp. 228-301. 

  6. 건설교통부(2007). 가뭄정보시스템 시험운영-1차년도 보고서. pp. 38-74. 

  7. 국토해양부(2008). 가뭄정보시스템(물공급 Guideline 중심으로) 보고서. pp. 11-128. 

  8. 경민수, 김상단, 김보경, 김형수(2007). "군집분석을 통한 수문학적 가뭄의 가뭄심도-가뭄면적-가뭄지속기간 곡선의 작성."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7 권, 제3B호, pp. 267-276. 

  9. 김대하, 유철상(2006). "가뭄심도-지속기간-빈도해석을 통한 우리나라 가뭄의 공간분포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9호, pp. 745-754. 

  10. 김창주, 서지원, 박민재, 신정수, 이주헌(2011). "기후변화에 의한 한반도의 미래 가뭄 경향성 분석."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방재학회, pp. 205. 

  11. 김보경, 김상단, 경민수, 김형수(2006). "가뭄심도-영향면적-지속기간곡선을 이용한 가뭄의 시공간적 정량화."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1991-1995. 

  12. 김호성, 박진혁, 윤재영, 김상단(2010). "극한가뭄의 시공간적 특성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SAD 곡선의 적용."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30 권, 제6B호, pp. 561-569. 

  13. 연제문, 김태웅, 이정규, 위성욱(2006). "이변수 가뭄 해석 을 통한 서울지점의 가뭄평가." 한국수자원학회 학술 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1121-1215. 

  14. 이주헌, 정상만, 김성준, 이명호(2006). "가뭄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 I. 정량적 가뭄모니터링을 위한 가뭄지수의 적용성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9호, p. 890. 

  15. 장연규, 김상단, 최계운(2006). "SPI 가뭄지수의 EOF 분석을 이용한 가뭄의 시공간적인 특성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8호, pp. 671- 702. 

  16. Ghosh, S., and Mujumdar, P.P. (2007). "Nonparametric methods for modeling GCM and scenario uncertainty in drought assessment."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43, No. 7, W07405-W07406. 

  17. Grinsted, A., Moore, J.C., and Jevrejeva, S. (2004). "Application of the cross wavelet transform and wavelet coherence to geophysical time series." Nonlinear Processes in Geophysics, Vol. 11, No. 5-6, pp. 561-566. 

  18. Khadr, M. (2009). "Analysis of Meteorological Drought in the Ruhr Basin by Using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World Academy of Scien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57, pp. 607-616 

  19. Loukas, A., Vasiliades, L., and Tzabiras, J. (2008). "Climate change effects on drought severity." Advances in Geosciences, Vol. 17, pp. 23-29. 

  20. Lehner, B., Doll, P., Alcamo, J. (2008). "Estimating the impact of global change on flood and drought risks in Europe: a continental, integrated analysis." Climatic Change, Vol. 75, No. 3, pp. 273- 299. 

  21. Mckee, T.B., Doesken, N.J., and Kleist, J. (1993).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of time scales. 8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Jan., Aneheim, CA, pp. 179-184. 

  22. McKee, T.B., Doesken, N.J., and Kleist, J. (1995). Drought monitering with multiple time scales preprints. 9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15-20 Janiary, Dallas, TX, pp. 233-236. 

  23. Mishra, A.K., and Singh, V.P. (2009). "Analysis of drought severity-area frequency curves using a general circulation model and scenario uncertainty."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114, D06120 

  24. Vidal, J.P., and Wade, S. (2007). "A multimodel assessment of future climatological droughts in the United Kingdom."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29, No. 14, pp. 2056-207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