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오디를 첨가한 불고기양념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ulgogi Marinade Prepared with Mulberry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11, 2011년, pp.1589 - 1596  

조종락 (목포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승철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  김정목 (목포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비자들의 건강과 기호를 고려하면서도 생리활성 기능을 지닌 기능성 소재인 오디를 5, 10, 15, 20% 첨가하여 고추장 불고기양념을 제조한 후 일반성분, pH, 당도, 색도, 항산화력을 분석하고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일반성분에서는 수분함량은 대조구에서 62%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오디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H는 첨가량에 따라 다소 감소하였으나 모든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당도와 색도는 오디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과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환원력을 측정한 결과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인 증가는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과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이 증가하였고, 환원력은 10% 첨가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관능평가에서 오디 15% 첨가구에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임으로써 오디를 첨가한 고추장 불고기양념의 배합비로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생리활성 기능을 지닌 오디를 고추장 불고기양념에 활용함으로써 제품의 품질을 향상하고 오디의 활용도를 높이는데도 도움이 되리라 여겨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ulberry was added to bulgogi marinade sauce at concentrations of 5, 10, 15, and 20%. Moisture content, crude ash, crude protein, and crude fat in the control group were 62.2~62.6%, 3.5~3.6%, 2.2~2.4%, and 1.5~1.6%, respectively. The moisture content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mulberry content. C...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건강 지향 욕구 충족을 위한 다양한 효능, 효과가 입증된 오디를 이용하여 고추장 불고기양념을 제조하고 품질 특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의 일반적인 불고기 소스의 품질을 향상하고 나아가 오디의 소비 활성화에도 일조를 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건강 지향 욕구 충족을 위한 다양한 효능, 효과가 입증된 오디를 이용하여 고추장 불고기양념을 제조하고 품질 특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의 일반적인 불고기 소스의 품질을 향상하고 나아가 오디의 소비 활성화에도 일조를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디를 이용한 가공식품 개발 시 저장 및 유통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무엇인가? 다량의 안토시아닌 색소를 지니고 있으며 오디의 생리활성 기능에 대한 연구결과로는 항당뇨 효능 (2), 오디 안토시아닌 색소의 쥐 대동맥의 수축․이완 작용 구명(3), 오디추출물의 콜레스테롤 억제효능(4), 오디분획물의 지질대사 및 간장기능에 미치는 영향(5,6), 오디 추출물의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7) 등이 있다. 이러한 생리활성 기능을 갖는 오디는 조직이 무르고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서 수확 후 빠른 품질저하가 발생하므로 생과로서의 이용이 어렵다. 더구나 안토시아닌 색소는 빛과 열에 매우 불안정하므로 오디를 이용한 가공식품의 개발이 제한되어 있다(8).
오디란 무엇인가? 오디는 뽕나무(Morus alba L.) 열매로서 한방에서 상심, 상실, 오심, 흑심 등으로 불리며, 뽕나무과(Moraceae) 뽕나무속(Morous)의 성숙한 과실로서 6월~7월경에 흑자색을 나타낼 때 수확한다. 다량의 안토시아닌 색소를 지니고 있으며 오디의 생리활성 기능에 대한 연구결과로는 항당뇨 효능 (2), 오디 안토시아닌 색소의 쥐 대동맥의 수축․이완 작용 구명(3), 오디추출물의 콜레스테롤 억제효능(4), 오디분획물의 지질대사 및 간장기능에 미치는 영향(5,6), 오디 추출물의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7) 등이 있다.
불고기양념은 어떤 원료를 이용하여 제조하는가? 불고기양념은 간장, 당류, 식염, 양파를 기본원료로 하고그 위에 각종 양념(마늘, 파, 참깨, 고춧가루 등)을 혼합한 것으로써 우리 고유의 식품인 불고기에 맛과 향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말하며, 최근 웰빙 지향 추세에 부응하기 위하여 산사와 현초를 이용한 돈육불고기양념(19), 오미자즙 첨가 불고기소스(20), 당귀 추출액과 매실 염절임액 첨가 불고기소스(21), 인삼사포닌 첨가 불고기소스(22) 등 기능성 식재료를 첨가한 불고기 소스의 제조 시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Choi YO. 2000. Studies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functional soybean curd containing natural materials. M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Daegu, Korea. 

  2. Kim TW, Kwon YB, Lee JH, Yang IS, Youm JK, Lee HS, Moon JY. 1996. A study on the antidiabetic effect of mulberry fruits. Korean J Seric Sci 38: 100-107. 

  3. Park SW, Jung YS, Ko KC. 1997. Quantitative analysis of anthocyanins among mulberry cultivars and their pharmacological screening. J Korean Hort Sci 38: 722-724. 

  4. Kim SY, Lee WC, Kim HB, Kim AJ, Kim SK. 1998. Antihyperlipidemic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from mulberry leaves in cholesterol-induced hyperlipidemia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1217-1222. 

  5. Kim HB, Kim SY, Ryu KS, Lee WC, Moon JY. 2001.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mulberry fruit on the lipid metabolism and liver function in cholesterol-induced hyperlipidemia rats. J Korean Seric Sci 43: 104-108. 

  6. Kim SL, Kim SK, Park CH. 2002. Comparisons of lipid, fatty acids and tocopherols of different buckwheat species. Food Sci Biotechnol 11: 332-336. 

  7. Kim SY, Park KJ, Lee WC. 1998.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Morus Spp. fruit extract. Korean J Med Crop Sci 6: 204-209. 

  8. Jung GT, Ju IO, Choi DG.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and manufacture of mulberry wine. Korean J Food Preserv 12: 90-94. 

  9. Kim HB, Kim AJ, Yuh CS, Chang SJ. 2003. Sensory characteristics and nutritional analysis of sherbet ice-cream with mulberry fruit. Korean J Seric Sci 45: 85-59. 

  10. Kim AJ, Kim MW, Woo RY, Kim MH, Lim YH.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Oddi-Pyun prepared with various levels of mulberry fruit extract.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 708-714. 

  11. Hong JH, An SH, Kim MJ, Park GS, Choi SW, Rhee SJ.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lberry fruit Seolgidduk added with citric acid.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 777-782. 

  12. Lee JH, Woo KJ, Choi WS, Kim AJ, Kim MW.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arch Oddi-dasik added with mulberry fruit juice.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629-636. 

  13. Kim AJ, Yuh CS, Bang IS, Park HY, Lee GS. 2007. An investigation the prepara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Oddi jelly using mulberry fruit powder. Korean J Food & Nutr 20: 27-33. 

  14. Hur M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with addition of mulberry powder. MS Thesis.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15. Lee SB, Lee KH, Lee K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with mulberry extrac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 805-811. 

  16. Park GS, Jung AL, Shin YJ.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 made Oddi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 1014-1021. 

  17. Lee YJ, Sim CH, Chun SS. 2009. Phys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chiffon cake prepared with mulberry powder. Korean J Food & Nutr 22: 508-516. 

  18. Lee YJ, Ryu HS, Chun S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ad dressing prepared with mulberry fruit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537-544. 

  19. Lee SH, Jeong EJ, Jung TS, Park LY. 2009. Antioxidant activities of seasoning sauces prepared with Geranium thunbergii sieb. et Zucc. and Crataegi fructus and the quality changes of seasoned pork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57-63. 

  20. Nam JS, Choi SK, Kim DS. 2010.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ulgogi sauce with various amount of Omija extract juice. Korean J Culinary Res 16: 247-259. 

  21. Lee SH, Park ML, Lee SH, Kim HR, Choi SK, Choi SH.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bulgogi seasoning sauce prepared with Angelica gigas Nakai extract and salted liquid of Prunus mume. Korean J Culinary Res 16: 247-263. 

  22. Cho SH, Park BY, Yoo YM, Chae HS, Wyi JJ, Ahn CN, Kim JH, Lee JM, Kim YK, Yun SG. 2002.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ork bulgogi containing ginseng saponin.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2: 30-36. 

  23. AOAC. 1995. Office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69-74. 

  24. Kim DO, Jeong SW, Lee CY. 2003. Antioxidant capacity of phenolic phytochemicals from various cultivars of plums. Food Chem 81: 321-326. 

  25. Kim DO, Lee KW, Lee HJ, Lee CY. 2002. Vitamin C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VCEAC) of phenolic phytochemicals. J Agric Food Chem 50: 3713-3717. 

  26. Mau JL, Lin HC, Song SF. 2002. Antioxidant properties of several specialty mushrooms. Food Res Int 35: 519-526. 

  27. Yu SM, Chang CM. 1996. Development of processed foods using mulberry fruit. Rural Resource Development Institute, Suwon, Korea. p 19-33. 

  28. Kim EO, Lee YJ, Leem HH, Seo IH, Yu MH, Kang DH, Choi SW. 2010. Comparison of nutritional and functional constituent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ulberrys from seven different Morus alba L. cultiv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467-1475. 

  29. Kim MH, Ko KC, Lim SH, Yu YS. 1980. Study on the usability of mulberry fruit. Fruit characteristics of mulberry. Coll of Agric Bull SNU 5: 221-223. 

  30. Ishikura N. 1975. A survey of anthocyanins in fruits of some Angiosperms. I Bot Mag Tokyo 88: 41-45. 

  31. Kim HB, Kim AJ, Kim SY. 2003. The analysis of functional materials in mulberry fruit and food product development trends. Food Sci Industry 36: 49-60. 

  32. Morazzoni P, Malandrino S. 1988. Anthocyanins and their aglycons as scavengers of free-radicals and antilipoperoxidant agents. Pharmacol Res Comm 20(Suppl. II): 254. 

  33. Kim IS. 2007. A study on the consumers' use of processed food of Prunus mume and development of processed food. MS Thesis. Yeungnam University, Gyeongbuk, Korea. p 59-73. 

  34. Choi SW. 2005. Development of high quality functional foods using mulberry (Morus spp) fruit. Minister of Agriculture Report, Daegu, Korea. p 2-17. 

  35. Park YS. 2002.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contents of polyphenolic compounds of medical herb extrac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2: 23-31. 

  36. Lee YJ. 2010. Biological activities of mulberry fruit extract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rocessed foods with mulberry fruit powder. PhD Dissertatio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Jeonnam, Korea. 

  37. Jeong CH, Shim KH. 2006.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latycodon grandiflorum leaves and stems. J Korean Soc Food Sci Nur 35: 511-515. 

  38. Park YK, Choi SH, Kim SH, Han JG, Chung HG. 2007. Changes in antioxidant activity, total phenolics and vitamin C content during fruit ripening in Rubus occidentalis. Korean J Plant Res 20: 461-465. 

  39. Choi YM, Yu KW, Han NS, Koh JH, Lee JS. 2006.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mpounds of commercial red win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286-1290. 

  40. Diplock AT. 1997. Will the 'good fairies' please prove to us that vitamin E lessens human degenerative disease? Free Radic Res 27: 511-532. 

  41. Sa YJ, Kim JS, Kim MO, Jeong HJ, Yu CY, Park DS, Kim MJ. 2010. Comparative study of electron donating ability, reducing power, antimicrobial activity and inhibition of α- glucosidase by Sorghum bicolor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598-6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