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개 지역 농부에서 근골격계 통증에 대한 스트레칭 운동의 효과
The Effects of Stretching Exercise to Musculoskeletal pain in the Community-Dwelling Farmer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2 no.10, 2011년, pp.4523 - 4530  

정복희 (호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김정자 (호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양충용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재활의학교실, 원광의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농작업자에게 스트레칭 운동을 적용하여 근골격계 통증에 대한 개선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28명의 일개 지역 농촌거주자가 참여하였으며 무작위 추출법에 의해 스트레칭군(n=13, $59.67{\pm}4.77$세)과 대조군(n=15, $61.44{\pm}10.41$세)으로 나누었다.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방식을 이용하였으며, 작업관련 근골격계 질환의 증상을 갖는 신체 6부위에서 통증의 강도와 하루시기 중 통증변화에 따른 통증의 강도를 시각적 상사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스트레칭군에서는 4주 동안 전체 12회의 스트레칭 치료가 실시되었다.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통증의 특성에서 두군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스트레칭 적용 4주후, 스트레칭군에서 팔/팔꿈치관절을 제외한 거의 모든 관절부위와 하루 중 통증정도가 치료 전에 비해 그리고 대조군에 비해 각각 유의한 개선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스트레칭은 지역사회 주거 노인 농부에서 근골격계 통증의 조절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 방법 중 하나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stretching management on musculoskeletal joint pain in community indwelling elderly farmers. The study included 28 residents who lived in a rural community. All participants were assigned randomly to either the stretching group (n=13, $59.67{\pm}4.77$...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 농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 관련 연구들은 주로 농작업자에서 만성 질환 및 근골격계 질환의 특성, 유병률, 발생 위험도 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5,15,16], 이중 매우 다양한 농작업의 유형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 발생의 위험도 관련 연구는 주로 농장, 축산 및 낙농, 과수재배 등의 노동집약적 서양식 농장 작업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5,6] 수경 재배에 의존하는 한국의 농작업 행태에서 개별 재배 단위에 대한 연구와 농작업자에서 예방 및 치료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태로, 이중 수경 재배 농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에 관한 스트레칭 효과의 체계적 연구는 매우 미미한 상태 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작업자에서 스트레칭을 적용하여 근골격계의 통증에 대한 조절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골격계 질환은 어디에 관여되는 질병인가? 농작업자에서는 다른 인구 집단에서보다 근골격계 질환의 유병률이 높은데[5, 6]. 이는 농작업자들이 노령화와 관련된 육체적 손상, 정신적 스트레스 등에 광범위하게 노출되어 있으며, 농작업에는 육체적 손상과 관련된 고도의 작업량, 중량물의 이동, 몸통의 구부림과 비틀림, 진동, 불편한 자세에서 장시간 작업 등의 다양한 신체적 위험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5,6], 근골격계 질환은 몸의 지지구조, 신경, 건, 근에 관여되는 질병으로[7], 농작업자에서 근골격계 질환의 발생 위험도는 매우 높은 상태로 이는 농작업 종사자의 생산성, 건강관련 보건 문제, 삶의 질 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2]. 지금까지 직업관련 근골격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었으며 특히 컴퓨터 관련 작업자[9,10], 전화 응대 센터 상담원[11] 등과 같은 영상표시장치(video display terminal) 작업자[12]에서 스트레칭이 관절 가동 운동을 증가시키고, 근골격계 질환의 예방에 관여함이 보고 되었다[13].
농작업에서 근골격계 통증이 발생하기 쉬운 여러 위험인자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치료방법으로 무엇이 제안되었는가? 농작업에서 근골격계 통증 중 요통의 경우 체간 전굴 또는 비틀림과 심한 육체노동이, 어깨관절통증은 반복적인 작업자세(굴곡과 외전)가, 목통증은 반복과 힘(force) 등이 알려진 위험인자이다[7]. 따라서 이러한 위험인자에대한 치료로 스트레칭이 제안되었으며 이러한 스트레칭의 적용은 스포츠 손상에서 유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스트레칭을 시행함으로써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는 보고에 기인한다[21].
농업의 산업적 의의는? 한국에서 농업은 매우 중요한 기간산업이다. 그러나 급속한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농가인구는 1970년에 전체 인구의 4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Statistics Korea, Report on the Agriculture & Fishery Establishment Survey in 2010, In: Survey Outlines in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pp. 2011. (Korean). 

  2. K. Lee, H. S. Lim, Work-related injuries and diseases of farmers in Korea, Ind Health, Vol. 46(5), pp. 424-34, 2008. 

  3. N. Thelin, S. Holmberg, P. Nettelbladt, A. Thelin, Mortality and morbidity among farmers, nonfarming rural men, and urban referents: a prospective population-based study, Int J Occup Environ Health, Vol. 15(1), pp. 21-8, 2009. 

  4. S. A. McCurdy, D. J. Carroll, Agricultural injury, Am J Ind Med, Vol. 38(4), pp. 463-80, 2000. 

  5. K. Walker-Bone, K. T. Palmer,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farmers and farm workers, Occup Med (Lond), Vol. 52(8), pp. 441-50, 2002. 

  6. F. A. Fathallah,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labor-intensive agriculture, Appl Ergon, Vol. 41(6), pp. 738-43, 2010. 

  7. B. P. Bernard,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workplace factors: A crtical review of epidemiologic evidence for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he neck, upper extremity, and low back. USDHHS, PHS, CDC, NIOSH Pub. No. 97-141, In: Cincinnati OH, U.S. Depar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pp. 1997. 

  8. M. H. Sun, I. S. Park, G. Y. Jo, Survey of the musculoskeletal pain among farmers in the rural community, Korean J Rural Med, Vol. 16, pp. 40-7. (Korean), 1991. 

  9. R. A. Henning, P. Jacques, G. V. Kissel, A. B. Sullivan, S. M. Alteras-Webb, Frequent short rest breaks from computer work: effects on productivity and well-being at two field sites, Ergonomics, Vol. 40(1), pp. 78-91, 1997. 

  10. L. Trujillo, X. Zeng, Data entry workers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response to the "stop and stretch" software program, Work, Vol. 27(2), pp. 111-21, 2006. 

  11. D. H. Lacaze, C. Sacco Ide, L. E. Rocha, C. A. Pereira, R. A. Casarotto, Stretching and joint mobilization exercises reduce call-center operators' musculoskeletal discomfort and fatigue, Clinics (Sao Paulo), Vol. 65(7), pp. 657-62, 2010. 

  12. A. C. Matias, G. Salvendy, T. Kuczek, Predictive models of carpal tunnel syndrome causation among VDT operators, Ergonomics, Vol. 41(2), pp. 213-26, 1998. 

  13. B. R. da Costa, E. R. Vieira, Stretching to reduce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J Rehabil Med, Vol. 40(5), pp. 321-8, 2008. 

  14. J. B. Carter, E. W. Banister, Musculoskeletal problems in VDT work: a review, Ergonomics, Vol. 37(10), pp. 1623-48, 1994. 

  15. J. B. Carter, E. W. Banister, Musculoskeletal problems in VDT work: a review, Ergonomics, Vol. 37(10), pp. 1623-48, 1994. 

  16. J. B. Park, K. J. Lee, S. W. Lee, J. G. Kim, H. G. Chung, The study of effects of musculoskeletal risk factors on farmer's syndrome, korean J Rural Med, Vol. 25, pp. 11-21. (Korean), 2000. 

  17. S. Burt, J. H. Boiano, Health Hazard Evaluation Report (HETA 88-361-2091),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Vol, pp. 1990. 

  18.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The guideline of survey about risk factor relating to musculoskeletal disorders, Incheon, Korea, translated by Sangchul Ron, pp. 2003. 

  19. H. O. Oh, S. Kam, C. H. Han, B. D. Hwang, H. J. Mun, B. J. Cha, et al.,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symtom in rural farmers, J Rheumatol Health, Vol. 8(1), pp. 86-108. (Korean), 2001. 

  20. J. Rosecrance, G. Rodgers, L. Merlino, Low back pain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among Kansas farmers, Am J Ind Med, Vol. 49(7), pp. 547-56, 2006. 

  21. E. Witvrouw, N. Mahieu, L. Danneels, P. McNair, Stretching and injury prevention: an obscure relationship, Sports Med, Vol. 34(7), pp. 443-9, 2004. 

  22. S. Holmberg, A. Thelin, E. Stiernstrom, K. Svardsudd, The impact of physical work exposure on musculoskeletal symptoms among farmers and rural non-farmers, Ann Agric Environ Med, Vol. 10(2), pp. 179-84, 2003. 

  23. M. W. Nonnenmann, D. Anton, F. Gerr, L. Merlino, K. Donham, Musculoskeletal symptoms of the neck and upper extremities among Iowa dairy farmers, Am J Ind Med, Vol. 51(6), pp. 443-51, 2008. 

  24. L. M. Martin, M. Leff, N. Calonge, C. Garrett, D. E. Nelson, Validation of self-reported chronic conditions and health services in a managed care population, Am J Prev Med, Vol. 18(3), pp. 215-8,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