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황장애 환자의 초기부적응 심리도식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i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원문보기

Anxiety and mood = 대한불안의학회지, v.7 no.2, 2011년, pp.85 - 91  

우나영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성심병원 정신과학교실) ,  이병욱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성심병원 정신과학교실) ,  이홍석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성심병원 정신과학교실) ,  정명훈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정신과학교실) ,  이중서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성심병원 정신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공황장애 환자의 심리도식 특성을 조사하였다. 대조군에 비해 환자군은 상태 및 특성불안, 우울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YSQ 중에서는 유기/불안정, 위험/질병에 대한 취약성 도식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환자군에서 ST-AI로 평가한 불안 수준은 모든 심리도식과, BDI로 평가한 우울 수준은 특권의식/과대성을 제외한 14개 도식과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대조군에서는 훨씬 적은 수의 도식만이 상관관계를 보였다. 환자군에서 위험/질병에 대한 취약성, 유기/불안정 도식이 특성불안 수준을 가장 잘 예측하였으며 의존/무능, 유기/불안정 도식은 상태불안 수준을, 결함/수치심, 복종 도식은 우울 수준을 가장 잘 예측하였다. 이를 종합할 때, 초기부적응 심리도식은 공황장애의 발병과 경과 그리고 치료 반응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향후 대규모 집단을 대상으로 공황장애 환자의 심리도식 특성을 파악하고 치료에 접목시키는 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maladaptive schemas i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Methods : Patients (n=35) included people who had met the DSM-IV-TR criteria for panic disorder. The normal control group (n=35) were those people who had no psychiatric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공황장애 환자의 심리도식 특성을 조사하였다. 대조군에 비해 환자군은 상태 및 특성불안, 우울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YSQ 중에서는 유기/불안정, 위험/질병에 대한 취약성 도식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 본 연구에서는 공황장애 환자의 초기부적응 심리도식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 Stopa22는 우울한 기분을 유도하는 자극을 준 뒤에는 정서적 억제, 결함 도식의 점수가 증가하고 즐거운 기분을 유도하는 자극을 준 뒤에는 과대/권능 도식의 점수가 증가하여 가하고 심리도식의 점수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그는 심리도식은 변하지 않고 유지되나 기분이나 상황의 변화에 따라 특정 도식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다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 15 이런 점을 고려할 때 Young의 초기부적응 도식은 공황장애의 발병 기전에 대한 이해, 치료적 활용 및 그에 따른 효과나 경과 예측 등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Young의 초기부적응 도식을 이용하여 공황장애 환자의 심리도식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황장애는 어떤 정신 질환의 동반 이환율이 높은가? 공황장애는 갑작스러운 공황발작과 이후 그에 대한 예기불안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다른 불안장애에 비하여 질병에 대한 인식과 걱정이 높고 행동반경이 제한되며 주변 사람에 대한 의존이 높아지므로 사회경제적 기능장애를 초래하기 쉽다. 공황장애는 평생 유병율이 약 1~4%이며 주요우울장애, 물질남용 등 다른 정신질환의 동반 이환율도 높다.1
공황장애의 발생에 관한 가설에는 어떤 이론들이 알려져 있는가? 공황장애의 발생에 관한 가설로는 생물학적 이론, 학습이론, 정신역동이론, 인지이론이 알려져 있고, 최근에는 이러한 이론들을 통합하고자 하는 모델이 제시되었다. 신경생화학적으로는 norepinephrine과 serotonin, GABA 등 신경전달물질체계 이상과 연관될 가능성이 제시되었으며 신경해부학적으로는 조건화된 불안이 시상전핵으로부터 편도를 통하여 시상하부, 뇌간, 중뇌로 투사되어 자율신경계를 활성화시킨다는 가설이 있다.
학습이론은 공황장애의 발생이 어떻게 이루어 진다고 보는가? 신경생화학적으로는 norepinephrine과 serotonin, GABA 등 신경전달물질체계 이상과 연관될 가능성이 제시되었으며 신경해부학적으로는 조건화된 불안이 시상전핵으로부터 편도를 통하여 시상하부, 뇌간, 중뇌로 투사되어 자율신경계를 활성화시킨다는 가설이 있다.2 학습이론은 불안에 대하여 조건화된 자극이 내부적으로 공포를 활성화시키며 공황발작을 일으키는 것으로 설명한다.3,4 정신역동이론은 생애 초기의 사건이나 외상이 성적 긴장, 공격적 충동, 대인 갈등과 같은 정신내적 갈등을 야기하며 특히 부모와의 부적절한 관계나 애착문제가 있었을 때 위험한 것으로 인지했던 장면을 떠올리게 만드는 경험을 하게 되면 공황발작이 발생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Roy-byrne P, Craske M, Stein M. Panic disorder. Lancet 2006;368: 1023-1032. 

  2. Gorman JM, Kent JM, Sullivan GM, Coplan JD. Neuroanatomical hypothesis of panic disorder, revised. Am J Psychiatry 2000;158:58-67. 

  3. Bouton ME, Mineka S, Barlow DH. A modern learning theory perspective on the etiology of panic disorder. Psychol Rev 2001;108:4-32. 

  4. Poulton R, Menzies RG. Nonassociative fear acquisition: a review of the evidence from retrospective and longitudinal research. Behav Res Ther 2002;40:197-208. 

  5. Bush FN, Milrod BL, Singer MB. Theory and technique in psychodynamic treatment of panic disorder. J Psychother Pract Res 1999;8: 234-242. 

  6. Bandelow B, Spath C, Tichauer G, Broocks A, Hajak G, Ruther E. Early traumatic life events, parental attitudes, family history, and birth risk factors i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Compr Psychiatry 2002;43:269-278. 

  7. Fava L, Morton J. Causal modeling of panic disorder theories. Clin Psychol Rev 2009;29:623-637. 

  8. Young JE, Klosko JS, Weishaar ME. Schema therapy: a practitioner's guide. New York: Guilford Press;2003. 

  9. Koh SH, Lim KY, Cho SM, Chung YK. The comparison study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in subjects with panic disorder.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4;43:706-711. 

  10. Kim YC, Woo HW. Defense mechanism in panic disorder.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8;37:415-421. 

  11. Kim YC. Childhood parental loss and life events before panic onset in panic patient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6;35:96-106. 

  12. Halvorsen M, Wang CE, Richter J, Myrland I, Pedersen SK, Eisemann M, et al. Early maladaptive schemas, temperament and character trait in clinically depressed and previously depressed subjects. Clin Psychol Psychother 2009;16:394-407. 

  13. Cockram DM, Drummond PD, Lee CW. Role and treatment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in Vietnam Veterans with PTSD. Clin Psychol Psychother 2010;17:165-182. 

  14. Unoka Z, Tolgyes T, Czobor P, Simon L. Eating disorder behavior and early maladaptive schemas in subgroups of eating disorders. J Nerv Ment Dis 2010;198:425-431. 

  15. Schmidt NB, Joiner TE, Young JE, Telch MJ. The schema questionnaire: Investigation of psychometric properties and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a measure of maladaptive schemata. Cognit Ther Res 1995;19:295-321. 

  16. Young JE, Brown G. Young Schema Questionnaire (revised ed.) In Young JE (Ed.) Cognitive therapy for personality disorders: A schema-focussed approach. 2nd ed. New York: Cognitive Therapy Center;1994. 

  17. Young JE. Young schema questionnaire short form. New York: Cognitive Therapy Center;1998. 

  18. Baranoff J, Oei T, Cho SH, Kwon SM. Factor structure and internal consistency of the Young Schema Questionnaire (Short Form) in Korean and Australian samples. J Affect Disord 2006;93:133-140. 

  19. Beck AT, Ward CH, Mendelson M, Mock J, Erbaugh J.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 Gen Psychiatry 1961;4:561-571. 

  20. Hahn HM, Shin YW, Kim KH, Yoon DJ, Chung KJ. A standardization study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in Korea.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86;25:487-502. 

  21. Spielberger CD, Gorsuch RL, Lushene RE.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1970. 

  22. Stopa L, Waters A. The effect of mood on responses to the Young Schema Questionnaire: short form. Psychol Psychother 2005;78:45-57. 

  23. Petrocelli JV, Glaser BA, Calhoun GB, Campbell LF. Early maladaptive schemas of personality disorder subtypes. J Pers Disord 2001;15: 546-559. 

  24. Dutra L, Callahan K, Forman E, Mendelsohn M, Herman J. Core schemas and suicidality in a chronically traumatized population. J Nerv Mental Dis 2008;196:71-74. 

  25. Andrews G. Comorbidity and the general neurotic syndrome. Br J Psychiatry 1996;30:76-84. 

  26. Bandos A, Gomez-Benito J, Balaguer G.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trait version: does it really measure anxiety? J Pers Asess 2010;92:560-567. 

  27. Stallard P. Early maladaptive schemas in children: Stability and differences between a community and a clinic referred sample. Clin Psychol Pscyhother 2007;14:10-18. 

  28. Glittelman R, Klein DF. Relationship between separation anxiety and panic and agoraphobia disorders. Psychopathology 1984;17:56-65. 

  29. Lim KY, Kim CK, Noh JS. The Characteristics of panic attack symptoms in panic disorder patients. J Korean Neuropsychiat Assoc 1996; 35:839-848. 

  30. Lee SY, Kim JH, Kum YR, Kand EH, Lee DS, Yu BH. Effect of the short-term treatment of paroxetine on psychological states in panic disorder. J Korean Neuropsychiat Assoc 2004;43:312-319. 

  31. Lim SL, K JH. Evaluation of catastrophizing and clinical application -a standardization study of Korean Anxious Thoughts and Tendencies Scale. J Korean Neuropsychiat Assoc 2002;21:189-2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